학술논문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을 이용한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에 있어 양전자방출 컴퓨터 단층촬영술의 유용성
Availability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for the Diagnosis of the Soft Tissue Tumor through Ultrasound-Guided Biopsy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대한정형외과학회지, 56(5), pp.398-403 Oct, 2021
Subject
정형외과학
Language
한국어
ISSN
2005-8918
1226-2102
Abstract
목적: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을 위해서는 생검이 필요하지만, 육종 등 이질성을 가진 종양들의 특징상 정확한 부위의 채취가 어려워 수술적 개방 생검으로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초음파 유도하 침생검이 진단율을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공명 관류영상(magnetic resonance perfusion)에서 발견된 연부조직 종양을 진단하는 데 있어 초음파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양전자방출 컴퓨터 단층촬영술(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의 유용성에 대해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자기공명 관류영상에서 발견된 연부조직의 종양에 대해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을 시행한 총 152예의 환자들 중 최종 진단을 얻어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와 비교할 수 있었던 86예에 대해 그 정확도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총 86예의 환자를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을 시행한 50예와 자기공명 관류영상과 PET–CT를 함께 시행한 36 예로 나누어 그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여 PET–CT가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고자 하였다. 결과: 총 86예의 환자들 중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을 시행한 50예 중에서는 34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일치하였으며, 자기공명 관류영상과 PET–CT를 함께 시행한 36예 중에서는 32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 일치하여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연부 조직 육종만 따로 분류한다면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을 시행한 12예 중에서 6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 일치하였고 자기공명 관류영상과 PET–CT 를 함께 시행한 18예 중에서는 17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 일치하여 마찬가지로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연부조직 종양을 진단함에 있어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은 정확도가 높은 유용한 검사로 알려져 있지만 육종의 경우 이질성이 있어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으로는 정확한 생검 부위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PET–CT 영상은 이러한 연부조직 종양에서침 생검 부위를 특정하고 정확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 biopsy is needed to diagnose soft tissue tumors. However,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pinpoint the site of a tumor due to the heterogeneity of sarcomas. Thus, even when an open biopsy is conducted, it is difficult to diagnose a soft tissue tumor. In such cases, an ultrasound (US)-guided biopsy is used to improve the diagnostic accuracy. This study evaluated the accuracy of US-guided biopsy for a diagnosis of soft tissue tumors found initially in a magnetic resonance (MR) perfusion and assessed the availability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for a diagnosis of soft tissu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8, the US-guided biopsy was performed on 152 patients with a suspected soft tissue tumor found in an MR perfusion and 86 cases were definitively diagnosed with a soft tissue tumor. The accuracy of the US-guided biopsy was assessed retrospectively. Among the 86 cases, only MR perfusion was used before the biopsy in 50 cases, while both MR perfusion and PET–CT was conducted on 36 cases. The accuracy was analyzed to determine if the PET–CT could improve the precision of a biopsy. Results: From 86 cases, 34 out of 50 cases, in which only MR perfusion had been conducted, matched the result of the definitive diagnosis and the US-guided biopsy. 32 out of 36 cases, in which both PET–CT and MR perfusion were conducted, matched the definitive diagnosis and the US-guided biopsy. These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curacy of US-guided biopsy. In the case of soft tissue sarcomas, 6 out of 12 cases, in which only MR perfusion had been conducted, matched the result of the definitive diagnosis and the USguided biopsy. 17 out of 18 cases, in which both PET–CT and MR perfusion were conducted, matched the definitive diagnosis. Moreover US-guided biops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curacy of US-guided biopsy. Conclusion: In diagnosing soft tissue tumors, a US-guided biopsy is a well-known tool for its high accuracy. However, the heterogeneity of sarcoma makes it difficult to locate the exact site for a biopsy using only MR perfusion. Thus, the use of PET–CT will meaningfully improve the accuracy of a diagnosis by precisely targeting the site for the US-guided biop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