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Comparing Perceived Harm and Tobacco Regulations for Heat-not-burn Tobacco and Conventional Cigarette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22(2), pp.49-103 Jul, 2023
Subject
신문방송학
Language
한국어
ISSN
2671-5856
2093-2707
Abstract
Heat-not-burn tobacco, a novel tobacco product that involves steaming solids instead of burning like traditional cigarettes, has been experiencing a growing demand among consumers. However, concerns about its potential harm and the effectiveness of regulatory policies have arisen. Existing research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scientific and political aspects, neglecting the perspectives of consumers who are both tobacco consumers and targets of regulation. Thu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erceptions of harm associated with various cigarette types and assess the efficacy of current tobacco regulation polic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mokers and non-smokers. Participants evaluated the harmfulness of heat-not-burn tobacco and traditional cigarettes based on smell, personal health experiences, and addiction potential, despite acknowledging the lack of scientific evidence. Furthermore, they deemed current tobacco regulation policies ineffective and expressed the need for purpose-driven policies based on objective ground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by offering a consumer-centric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tobacco products and relevant regulatory policies.
궐련형 전자담배는 기존의 연초를 태우는 방식이 아닌 연초 고형물을 기기를 통해 찌는 방식으로 신종 담배의 한 유형이다. 궐련형 전자담배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에 대한 논란과 이에 따른 규제 정책의 혼선이 끊임없이 일고 있다. 그러나 각종 담배에 대한 연구는 과학적, 정책적 접근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담배 소비의 주체이자 정책의 대상자인 소비자 입장의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흡연자와 연초, 궐련형 전자담배 흡연자 모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각종 담배의 유해성에 대한 인식과 현재 담배 규제 정책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은 연초와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을 비교할 때 냄새, 건강 문제 경험, 중독성 등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여전히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각종 담배 규제 정책의 경우 정책의 실효성이 부족하다고 평가하며, 궐련형 전자담배에 대한 규제 정책 시행에 있어 정책의 목적과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본 연구는 궐련형 전자담배를 포함하여 각종 담배와 관련 규제 정책을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정책 입안자들과 실무자들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