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튜브 운동 콘텐츠 시청 대학생의 운동지속과정 검증에 관한 연구: 건강행동과정접근모형을 이용하여
Validation of Exercise Duration Processes among YouTube Exercise Content Viewers: Application of the 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교육문제연구, 40(1), pp.175-196 Mar, 2022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1598-8317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exercise duration among YouTube exercise content viewers by using the 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HAPA) model. This study conducted online survey to collect data and a total of 258 data was used for final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we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revealed effects of health risk perception, positive expectancy and action self-efficacy on exercise intention in the motivational phase. Second, the model revealed effects of maintenance self-efficacy and exercise intention in exercise planning, and action self-efficacy on maintenance self-efficacy in the volitional phase. Third, the model revealed effect of recovery self-efficacy and exercise planning on exercise duration, and maintenance self-efficacy on recovery self-efficacy in the action phase. Forth, exercise planning had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intention and exercise du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tervention strategies for enhancing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as those in the HAPA model, are required when producing media contents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in public. In particular, the full mediating role of exercise plan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intention and exercise duration suggests that detailed strategies for continuous exercise participation should be presented to those who only intend to exercise but not perform it.
본 연구는 유튜브 운동 콘텐츠 시청자의 운동지속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건강행동과정접근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유튜브 운동 콘텐츠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측정모형 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동기적 단계에서 건강위험지각, 이득, 행동 자기효능감은 운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장애는 운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지적 단계에서 운동의도와 유지 자기효능감은 운동계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 자기효능감은 유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동단계에서 유지 자기효능감은 복구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의도는 운동지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운동계획과 복구 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의도와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운동계획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중들의 운동참여증진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 제작에 있어 건강행동과정접근 모형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다양한 심리적 변인들을 강화시키기 위한 중재전략이 요구됨을 말해주며, 운동의도를 지녔지만 운동을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지속적인 운동참여를 위한 세부적인 전략을 제시해주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