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물질흐름원가회계와 공손/작업폐물 원가계산의 비교
Material Flow Cost Accounting and Spoilage/Scrap Costing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관리회계연구, 17(1), pp.179-198 Apr, 2017
Subject
회계학
Language
한국어
ISSN
1598-978X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Material Flow Cost Accounting(MFCA) with traditional spoilage and scrap costing to clarify the properties of MFCA more accurately. The detailed analysis of material flow and measurement of material loss quantity is critical for material loss costing of MFCA while the measurement of product physical units and degree of completion is for spoilage costing. The calculation of material costs may be quite similar, but the calculation of the system costs may differ. Scrap costing, which is a part of joint products costing, is very different from the material loss costing since the former is based on the net realizable value while the latter is not. The material loss costing of material flow cost accounting is similar to applying the same physical measurement method of joint cost allocation to scrapes as well as main products. However, there is a question whether this non-traditional method is appropriate for material loss costing. Considering the low value of scrap and in technical situations where the scrap quantity can not be reduced in most cases, this assigns an overly exaggerated value to the material loss cost.
본 연구는 물질흐름원가회계를 이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기존의 공손회계 및 작업폐물 회계와 비교하여 물질흐름원가회계의 특징을 좀 더 정확히 밝히고자 한다. 먼저 물질흐름원가회계가 사용하는 원가개념들을 전통적 원가개념과 비교하여 명확히 하였다. 물질이란 개념은 재료와 거의 유사하나 에너지나 소모성 물질을 포함하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시스템원가는 노무비와 제조경비에서 에너지 원가와 폐기물 관리비를 제외한 금액으로 볼 수 있다. 물질흐름원가회계의 물질손실은 상세한 물질흐름의 파악과 물질손실의 물량 측정이 중요하며 공손/감손 원가계산은 물량측정과 완성도의 측정이 중요하다. 물질원가(재료원가)의 계산은 상당이 비슷할 수 있으나 시스템원가(가공원가)의 계산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전통적 원가회계 중 결합원가계산의 일부인 작업폐물회계는 원가계산이 아닌 순실현가능가치(순처리비)에 기초하므로 물질흐름원가회계의 물질손실 원가계산과 아주 다르다. 물질흐름원가회계의 방법은 결합원가계산이 적용되는 연산품 생산의 환경에서 결합원가의 물량기준 배부법을 작업폐물에도 적용하는 것과 유사하나, 이것이 물질손실에 대한 적절한 원가 반영이냐는 판단의 문제가 있다. 작업폐물의 낮은 가치를 고려하고 대부분의 경우 작업폐물의 양을 기업이 줄이지 못하는 기술적인 상황에서 이는 물질손실원가에 대한 지나치게 과장된 수치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