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시대 공공기관의 노동이사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bor Director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Degital Age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7(11), 224, pp.231-239 Nov, 2022
Subject
컴퓨터학
Language
English
ISSN
2383-9945
1598-849X
Abstract
The labor director system to be introduced into the company law, the labor director must be explained in the Korean company law and the inevitability of its introduction must be persuaded. Conflicts with shareholders' right to appoint institutions are also a task that must be resolved. Management has absolute meaning for shareholders who receive dividends from operating profit. On the other hand, for workers who are guaranteed the right to collective action and are paid for their labor according to the contract law and the labor law, the management must be considered as a partner in labor-management cooperation, so the labor director system may cause confusion. There are growing calls to create a system that can form a 'relationship of understanding,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way from the existing 'control and command'-centered manpower management that causes labor-management confrontation and the system can also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high-handed personnel administration in public institutions.
노동이사제도가 회사법에 도입되기 위해서는 노동이사가 우리 회사법 속에서 설명되어야 하고 도입의 불가피성이 설득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주의 기관 선임권과의 갈등도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영업이익에 연동하는 배당을 받는 주주들에게 경영진은 절대적 의미를 갖는다. 반면 단체행동권을보장받고 노동의 대가를 계약법과 노동법에 의해 지급받는 노동자에게 경영진은 노사협력의 파트너로서의 위치에 있다고 보아야 하므로 노동이사제도는 자칫 혼동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노사대결을유발하는 기존의 ‘통제와 명령’ 중심의 인력관리에서 벗어나 ‘이해와 참여, 협력하는 관계’를 형성할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고 기관의 이해당사자인 노동자들의 직접경영참여를 통하여 공공기관 낙하산 임용 폐해를 개선할 수 있다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