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Pop 댄스음악의 라우드니스 변화 연구 : 1992년부터 2021년까지 멜론차트 상위권 댄스음악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Loudness in K-Pop Dance Music : Focusing on the Top-ranked Dance Music on Melon Chart from 1992 to 2021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7(1), pp.61-69 Jan, 2023
Subject
학제간연구
Language
한국어
ISSN
2384-017X
1976-6211
Abstract
디지털 마스터링의 등장은 음원 제작자들 간의 음량 전쟁을 심화시켰는데 이것을 라우드니스 워 라고한다. 본 연구에서는 K-Pop 댄스음악의 라우드니스워 의 현상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멜론 연도별 차트에서 1992년부터 2021년까지 상위 10곡씩 총300곡의 댄스음악을 선정하여 라우드니스 레벨과 주파수 대역별 레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1992년 이후 K-pop 댄스음악의 라우드니스는 꾸준히 증가하였는데, 특히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가장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 중반 라우드니스레벨은 현재의 라우드니스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다만 2000년대에는 라우드니스가 큰 음원과 작은 음원이 혼재해 있는 양상이었지만 2010년대 이후에는 동시대의 음원 간 라우드니스의 편차가 크지 않고 전반적으로 큰 라우드니스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주파수 대역별 레벨에서는 저음역대인 0Hz~125Hz 구간이꾸준히 증가한 것에 비해 중저음역대인 125Hz~500Hz 구간은 꾸준히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댄스음악에서저음역대의 라우드니스에 대한 증가가 가장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라우드니스 워에 대한 비판과 반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던 2000년대이후에도 K-Pop 댄스음악 음원 제작자들의 큰 라우드니스를 선호한 것과 더불어, 시대별 장르 유행 변화, 디지털 플러그인 발전 등에 따른 변화로 판단된다.
The advance of digital mastering has intensified the loudness war among music producers. In this study, in order to empirically understand the loudness war of K-Pop dance music, a total of 300 dance songs, the top 10 from 1992 to 2021, were selected from the Melon annual chart, and the RMS level and frequency bands level changes were analyzed. As results of the analysis, the loudness of K-pop dance music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1992, especially from the 1990s to the 2000s, and the loudness level was little different from the current loudness in the mid-2000s. However, in the 2000s, relatively small loudness songs were existed in top chart, but since the 2010s, the deviation of loudness was not large. In addition, at the level of each frequency band, the low-band 0Hz-125Hz section steadily increased, while the mid- to low-band 125Hz-500Hz section steadily decreased. Through this, it could be seen that the increase in low-band loudness was the highest in dance music. This change is judged to be due to changes in genre trends by era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plug-ins, along with the preference of large loudness by K-Pop dance music music producers even after the 2000s, when criticism and reflection on loudness war were steadily rai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