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린햄커먼 여성평화캠프의 운동문화(movement culture) 분석
A Study on the Movement Culture in Greenham Common Women’s Peace Camp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대구사학, 147(0), pp.355-388 May, 2022
Subject
역사학
Language
한국어
ISSN
1225-9039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vement culture of the Greenham Common Women’s Peace Camp.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and symbolic system of the camp and the resistance behavior. Women campers had to decide and practice everything on their own in the camps from making daily lives to participating in resistance practices. Camp’s main struggle was carried out by restoring and remaking the maternal myths and women’s culture in a new symbolic system, which had been suppressed in patriarchal societies. It was a way of subverting the image of a snake portrayed as evil in male mythology or discovering the value of a witch as a healer. Camp participants renewed the meaning of the symbol and positively made the legacy their own. In addition, resistance songs, which were actively created and sung in Greenham Common,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the women’s collective identity. Various resistance songs produced in Greenham created a strong solidarity consciousness among colleagues and made a courages to confront the opponents. Furthemore the songs have created a new perception of the world for participants in the resistance performance. It provided new informations to the campers and generated the new knowledges about the world. The Greenham Common Women’s Peace Camp was a valuable historical experience in women’s practice in the anti-nuclear movement.
본 연구는 그린햄커먼 여성평화캠프에서 이뤄진 저항문화 분석을 목표로 한다. 본고에서는 캠프의 생활양식과 상징체계가 저항행동과 어떠한 관계 속에서 작동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린햄커먼 평화캠프는 여성들만의 공간 구성을 통해 일상적인 생활을 꾸려나가는 것에서부터 저항적 실천 참여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여성 스스로 결정하고, 실천했다. 캠프의 주된 투쟁 모티프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억압받아왔던 모성 신화, 여성 문화를 복원하고 이를 새로운 상징체계로 만들며 진행되었다. 남성 신화에서 악으로 묘사되는 뱀의 이미지를 전복하거나 치유자로서 마녀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는 방식이었다. 캠프 참여자들은 상징의 의미를 새롭게 하고 그 유산을 긍정적으로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또한 그린햄커먼에서 활발하게 만들어지고 불려졌던 저항가요를 집단 정체성의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했다. 그린햄에서 제작된 여러 저항가요들은 동료들 간의 강한 결속력을 만들고, 의식을 고양시키며, 반대자들과 맞서는 용기를 생성시켰다. 저항가요는 저항 행동의 참여자들로 하여금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만들어 내었다. 그것은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지식을 생성하기 때문이었다. 이를 통해 필자는 그린햄커먼 여성평화캠프가 핵무장반대운동의 측면에서도, 반전운동에서 여성적 실천의 의미에서도 가치 있는 역사적 경험이었음 밝히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