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유아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상호작용, 유아기 행복감과 아동기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child interaction,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interaction, early childhood happiness and childhood happiness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유아교육연구, 41(6), pp.261-283 Nov, 2021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2733-9637
1226-956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child interaction,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interaction, early childhood happiness, and childhood happiness. For analysis, data from the 7th and 8th round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and 785 children(400 boys and 385 girls)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plus 6.0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arent-child inter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hood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and childhood happiness, respectively.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child interac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hood happiness through childhood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hood happiness through peer play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oles of parents and teachers are different in promoting children's happiness. Peer play interaction is important because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in early childhood has a longitudinal effect on the childhood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experienced by children affects their happiness through play with their peer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유아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상호작용, 유아기 행복감과 아동기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경험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패널조사 7차, 8차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한 연구대상은 유아 785명(남400명, 여 385명)이었다.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료분석방법으로 Mplus 6.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를 알아보면, 첫째, 부모-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기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또래 놀이상호작용과 유아기 행복감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둘째, 부모-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기 행복감을 매개로 아동기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또래 놀이상호작용을 매개로 유아기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가 아동기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유아가 경험하는 교사와의 관계가 또래와의 놀이를 통하여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므로아동의 행복감을 촉진하는데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다르게 작용하고, 또래 놀이상호작용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