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수소 공급망 동향 분석
Analysis of Hydrogen Supply Chain Trend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교통연구, 31(1), 92, pp.37-50 Mar, 2024
Subject
국제/지역개발
Language
한국어
ISSN
2713-7090
1738-4028
Abstract
수소에너지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강력한 수단으로 수소차의 보급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그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수소에너지와 관련된 대중의 인식과 수소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촉진·저해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소와 관련된 뉴스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분석을 통해 수소에 대한 민간부문의 관심과 관련 정책의 동향을 분석하고 수소차, 수소충전소와 같은 수소공급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수소경제, 수소 관련 정책에 따라 위험물로써 인식되던 수소가 친환경 에너지로써 인식되고 수소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수소에너지 인식의 개선과 함께 안전, 규제와 같은 저해 요인에 대해 안전 기준, 규제 완화와 같은 단어가 등장하며 수소를 보급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사항에 대한 이슈가 제기되는 상황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거와는 달리 수소 인프라 중 수소차충전소의 초기 보급단계에 맞추어 접근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수소에 대한 인식의 개선 및 인프라 확충에 대한 논의의 증가추세는 향후 수소에너지의 확산과 다양한 연계 정책수립 및 규제 완화에 기여하고 수소 경제를 활성화를 위한 연구 및 관련 사업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scent of hydrogen energy is pivotal for carbon neutrality, with a noticeable rise in the adoption and public interest towards hydrogen vehicles. This study aims to gauge public sentiment on hydrogen energy by harvesting and scrutinizing hydrogen-related news data via text mining methodologies. Our analysis delineates the trends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engagement with hydrogen and associated policies, as well as discerns perceptions regarding the hydrogen supply chain, encompassing hydrogen vehicles and refueling stations. Previously perceived predominantly as a hazard, hydrogen has transitioned in its public image to a valuable energy resource, largely due to advancements in the hydrogen economy and relevant policies. The lexicon reflecting this transformation featured terms like "safety standards" and "deregulation," countering prior concerns of safety and stringent regulations. This evolving recognition augments the potential for broader hydrogen energy adoption and facilitates the formulation of supportive policies and dereg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