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가 신상품 확산에 미친 영향: 한국 영화 시장의 사례
The Impact of COVID-19 on New Product Diffusion: Evidence from the Korean Movie Market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마케팅연구, 38(4), pp.1-21 Nov, 2023
Subject
경영학
Language
한국어
ISSN
1229-456X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영화 시장에서 팬데믹 이전과 이후의 신상품 확산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팬데믹이 어떠한 영향을미쳤는지를 실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팬데믹 이전에 영화의 확산 패턴을 모형화하던 접근법이 팬데믹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할 것인지를 진단하고자 한다. 팬데믹 이전과 이후에 개봉한 영화 중 흥행 성적을 기준으로상위 50편씩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주별 관객수를 지수 분포의 일반형인 감마 분포와 와이불 분포에 적합시켜모수를 추정였다. 그 결과, 감마 분포와 와이불 분포 모두 형태 모수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비율 모수와 척도 모수에서 추정값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나 나타났다. 이는 팬데믹 이후 초기 관객수의 감소 속도가빨라지고, 시장 포화치에 다다르는 시점이 빨라졌음을 의미한다. 즉, 코로나바이러스-19로 인해 한국 영화 시장에서의 신상품 확산 속도가 증가하였다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감마 분포와 와이불 분포 모두에서 추정된 확산패턴과 실제 확산 패턴의 오차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시장의 역학이 변화하여 기존의 확산 모형으로는팬데믹 이후의 신상품 확산을 예측하기 어려워졌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scertain the impact of the pandemic on the diffusion patterns of new films in the South Korean movie market by comparing pattern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onset. Furthermore, it seeks to evaluate whether the methodologies used to model film diffusion patterns prior to the pandemic remain valid after the pandemic outbreak. For the study, 50 top-performing films released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box office performance. Weekly audience counts were then fitted to the generalized exponential distributions, namely the gamma and Weibull distributions, to estimate paramet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shape parameters for both distributions, there was a notable decrease in the rate and scale parameters. This implies an accelerated decline in the initial audience counts after the pandemic and a hastened approach to market saturation. In essenc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diffusion speed of new products in the South Korean movie market has increased due to the effects of COVID-19. Moreover,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actual diffusion patterns and those estimated using both the gamma and Weibull distributions widened significantly, indicating that the market dynamics have shifted, rendering traditional diffusion models less effective in predicting post-pandemic product diffusion patte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