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파신호의 ERP와 BMP를 이용한 이미지트레이닝 평가 지표 개발
The Development of Image Training Evaluation Index using ERP and BMP of EEG Signal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스포츠사이언스, 41(3), pp.165-174 Dec, 2023
Subject
체육
Language
한국어
ISSN
2093-3363
Abstract
실제 운동수행을 할 때와 머릿속으로 운동수행 장면을 시연하는 이미지트레이닝 할 때의 사건유발전위(ERP)와 대뇌 네트워킹(BMP)의 유사성 을 규명하게 된다면 향후 선수 개인의 이미지트레이닝 적용에 있어 숙련 단계와 그에 따른 효과적인 적용 방법을 개발하여 스포츠현장에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배드민턴 선수 35명을 대상으로 배드민턴 기술 중 신체적 움직임이 가장 적고 폐쇄성 기술 특성의 서비스 (service)로 셔틀콕과 라켓을 든 상태에서 서비스를 넣기 위한 준비자세에서 서비스를 넣기 위해 라켓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직전까지의 뇌파 신호 를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뇌파 신호 수집은 락싸(Laxtha)사의 QEEG-64FX 뇌파장비와 2ch Flexible Ag-AgCl 건식 뇌파캡을 사용하여 양쪽 귓불과 목 뒷부위에 참조전극(reference electrode)를 부착하고 전두엽(F3, F4), 두정엽(P3, P4), 운동영역(C3, C4), 후두엽(O1, O2)에 해 당 부위에서의 뇌파 활성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배드민턴의 서비스 기술에 대한 실제 운동수행과 이미지트레이닝 시의 사건유발전위(ERP) P300의 잠재기와 진폭의 유사성과 대뇌 네트워킹을 검증하고자 자료분석 방법으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유의성 기준은 p<.05이다. 뇌파신호를 활용하여 실제 운동수행과 이미지트레이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동일한 운동과제에 대한 뇌파신호 의 반응 패턴에서 시각적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후두엽에서의 진폭과 잠재기를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의 뇌파신호 진폭과 잠재기가 유사한 것으로 나 타난것과 함께 대뇌 네트워킹에서도 운동영역과 후두엽에서의 차이를 제외한 모든 대뇌 영역 간 유사한 네트워킹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If the similarity between the event trigger potential (ERP) and the cerebral networking (BMP) during actual exercise performance and image training that demonstrates the exercise performance scene in the head is identified, the proficiency level and It is to develop an effective application method accordingly and provide it to the sports field.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35 badminton players were subjected to the least physical movement among badminton techniques and a racquet was used to put the service in the ready position to put the service while holding the shuttlecock and racket. EEG signals up to just before the start of movement were extracted and used for analysis. EEG signal collection was performed using Laxtha’s QEEG-64FX EEG and a 32ch Flexible Ag-AgCl dry EEG cap, with reference electrodes attached to both earlobes and the back of the neck, and the frontal (F3, F4) and parietal lobes (P3, P4), motor areas (C3, C4), and occipital lobe (O1, O2) were collected EEG activity data in the corresponding area. In order to verify the similarity of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event related potential P300 and cerebral networking during image training and actual exercise performance for badminton service skills, an independent t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s a data analysis method. The significance standard for analysis results is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