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공동양육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The Effect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Coparenting on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Actor Effects and Partner Effect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0(1), 23, pp.67-83 Mar, 2019
Subject
심리과학
Language
한국어
ISSN
2466-233X
2093-9833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APIM) between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coparenting and considered the mediation model with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as an outcome. Using the 7~8th waves of PSKC(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study included 1,555 households with mothers, fathers, and childr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her own and fathers’ coparenting of family integration/coparenting of conflict. However,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his own coparenting of family integration/coparenting of conflict.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associated with mothers’ coparenting of family integration, but was associated with mothers’ coparenting of conflict. Mothers’ coparenting of family integr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r own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These findings emphasized parents’ coparenting and spillover effect between couple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본 연구는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사용하여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자신과 배우자의 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공동양육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7~8차년도에 모두 참여한 어머니, 아버지와 아동으로 총 1,555 가구이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가족통합적 공동양육이 높아지고, 갈등적 공동양육이 낮아지는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상대방효과에서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아버지의 가족통합적 공동양육과 갈등적 공동양육에 영향을 미쳤으며,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어머니의 갈등적 공동양육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가족통합적 공동양육의 매개효과만이 유의하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부모의 성차는 결혼만족도와 가족통합적 공동양육과의 관계 및 부모의 갈등적 공동양육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간의 관계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공동양육의 상호의존성과 가족체계 안에서의 아동의 행복감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