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집단효능감의 매개 효과
Nursing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간호행정학회지, 28(5), pp.568-575 Dec, 2022
Subject
간호학
Language
한국어
ISSN
2288-4955
1225-93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of nursing managers, which is recognized by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Methods: Survey data from 121 new nurses were analyze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ransformational and servant leadership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the mediating variable was the collective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efficacy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Furthermore,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athway. Res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 collective efficacy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o promot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nursing delivery system or induce an organizational atmosphere that allows the employees to perform together effectively. It is believed that managers and nurses should work co-operatively and create a model system that helps them achieve their common goals that correspond with the aims, values, and beliefs of the organization.
목적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를 촉진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신규간호사가 인식한 간호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리더십이 신입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집단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 신규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조직사회화간의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계층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경로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집단효능감은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신입간호사의 조직적 사회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간호관리자는 그들의 요구를 반영함으로써 동기부여를 할 수 있어야 하며, 교육을 통해 조직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이나 친밀감을 심어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면담을 통한 충분한 의사소통과 긍정적인 태도와 존중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서로 신뢰를 쌓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상호협력할 수 있도록 간호전달체계를 조직하거나 조직분위기를 유도해야 하며, 조직의 목표, 가치, 신념을 향해 함께 나아갈 수 있도록 협력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