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활성탄 함유량에 따른 광촉매(TiO2) 시멘트 시편의 전기비저항 특성
Electrical resistivity characteristics for cement specimens with TiO2 according to activated carbon content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22(5), pp.591-610 Sep, 2020
Subject
토목공학
Language
한국어
ISSN
2287-4747
2233-8292
Abstract
Concrete with activated carbon and titanium dioxide (TiO2) has been used to reduce the particulate matter (PM) in 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due to the high performance of nitrogen oxides (NOx) abatement. Damage (e.g. crack, spalling, or detachment) can be caused by the environmental and ageing effects on the surface of the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concrete, installed on the tunnel lin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existence of spalling on the concrete surface for maintaining performance of NOx reduction. In this study, a basic research was performed for feasibility of spalling evaluation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characteristics. Given the test results, the electrical resistivity was decreased as the ratios of activated carbon (0~15%) and TiO2 (0~25%) were increased for specimens. Under a dry condition, electrical resistivity of cement specimens, mixed with activated carbon and TiO2, was decreased up to 2.3 times, compared with the normal cement specimen. In addition, under saturation conditions (degree of saturation: 85~98%), electrical resistivity of cement specimens with activated carbon, was decreased up to 3.5 times, compared with the normal cement specimen. Regardless of the condition (dry or saturated), the difference of electrical resistivity values shows the range of 2.3~2.8 times between the mixing specimen (with activated carbon (15%) and TiO2 (25%)) and the normal cement specimen. This study can help to provide basic knowledge for spalling evaluation us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on the surface of the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concrete in tunnels.
활성탄(Activated carbon) 및 이산화티탄(TiO2)이 혼합된 콘크리트는 질소산화물(NOx) 저감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지하공간 및 터널 내부의 미세먼지 저감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환경 및 구조물 노후 영향으로 터널 내부에 설치된 미세먼지 저감 콘크리트 표면에서 손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미세먼지 저감 콘크리트의 성능 유지를 위해 손상(박리) 유무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특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박리 유무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를수행하였다. 활성탄(0~15%) 및 TiO2 (0~25%) 혼합비(시멘트 중량 기준)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비저항 값은 감소하였다. 건조 조건에서 활성탄 및 TiO2가 혼합된 시멘트 경화시편은 일반 시멘트 경화시편보다 전기비저항 값이 최대 2.3배 감소되었다. 또한, 포화 조건(포화도 = 85~98%)에서 활성탄만 혼합된 경화시편은 일반 시멘트 경화시편보다 전기비저항 값이 최대 3.5배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시편 상태(건조 또는 포화)와 관계없이 활성탄(15%) 및 TiO2 (25%)가 혼합된 미세먼지 저감 시편의 경우, 일반 시멘트 시편과 비교하여 전기비저항 값은 약2.3~2.8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전기비저항을 이용하여 터널 내 미세먼지 저감 콘크리트의 박리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