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위축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Helplessness :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8(1), pp.105-116 Jan, 2024
Subject
과학기술학
Language
한국어
ISSN
2765-4133
2508-8270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사회적위축의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한국아동ㆍ청소년 패널조사 2019년 조사(2018년 2차 년도)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전국의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원패널 중 측정변수의 결측치가 있는 부분을 제외한 후 총 428명의 청소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사회적위축은 학업무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스마트폰 의존도와 사회적위축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상태, 학업성취만족도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사회적위축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사회적위축을 완화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차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helplessness among adolescents and verify whether social withdrawal plays a medi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The analysis utilized data from the 2019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nd year in 2018). The study focused on 429 adolescents from nationwide middle and high schools, excluding cases with missing values in the measured variables. The findings revealed, first, that smartphone dependence and social maladjustment among adolescents statically influenced academic helplessness. Second,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helplessness included smartphone dependence, social withdrawal, and academic helplessness satisfaction, exerting a positive impact, whil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cademic helplessness in courses exhibited a negative impact. Third, social withdrawal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academic helplessness among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policy implications and practical strategies, emphasizing a socio-welfare consensus to alleviate academic helplessness among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