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협동학습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 to learn and academic self-efficacy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1), pp.519-534 Nov, 2021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2671-776X
1598-2106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ooperative learning, motivation to lear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Methods For this purpose, among the data generated in the K-NSSE survey, the data from 316 students of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tructure established through previous studies was analyzed with regression analysis using Hayes (2013) macro process No. 4, and bootstrap and Sobel test were used to analyze and reconfirm the indirect effect. Results First, the direct path from cooperative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to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Second, the indirect path from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motivation to learn to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Third, the indirect route from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to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Conclusions It is most important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rovides diverse experiences to students to solve problems by working as a team. In terms of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for nurturing future talen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nd spread the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eamwork-based problem-solving activities, structur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in university education.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협동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특히, 협동학습에서 진로성숙도에 이르는 경로에서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K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K-NSSE 조사에 응한 316명을 대상으로 하여 Hayes(2013)의 매크로 프로세스 4번을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Hayes(2013)의 매크로 프로세스는 단계별로 진행하는 회귀분석을 한 번에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부트스트랩을 함께 실시하는 특징을 갖는다. 간접효과에 대한 분석 및 재확인을 위하여 부트스트랩과 소벨테스트롤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협동학습에서 진로성숙도에 이르는 직접효과는 통계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협동학습에서 학습동기를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협동학습에서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런 결과에 비추어볼 때, 팀을 이루어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학생들에게 다양하게 제공하는 교육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미래인재 양성이라는 교육의 책무성 측면에서 팀워크 기반의 문제해결 활동에 기초한 협력학습을 교과수업의 특성에 맞게 구조화하여 운영하는 수업을 대학교육에서 강화하고 확산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서울 소재 K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모든 대학생들에게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협동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변인을 중심으로 그 관계와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변인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