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호의 천도론天道論과 물성론物性論의 생태 철학적 함의
The Ecological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Cheng Hao's Theory of 'Tian Dao' and Theory of 'Wu Xing'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중국학논총, 0(79), pp.277-300 Sep, 2023
Subject
중국어와문학
Language
한국어
ISSN
1229-2540
Abstract
이 글은 정호의 천도론(天道論)과 물성론(物性論)에 어떤 생태 철학적인 함의가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호의 천도론 가운데 특별히 주목할 만한 것은 그가 천리를 충서(忠恕), 성경(誠敬), 중(中) 등의 덕이라 칭했다는 점이다. 그는 하늘이 충심(忠)으로, 혹은 공경(敬)의 태도로 그리고 중도(中道)를 따라 만물을 낳고 기른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생명 운동의 은혜로움을 유학적인 언어로 표현한 것으로, 거기에는 매우 심오한 생태 철학적 함의가 담겨 있다. 한편 정호의 물성론을 살필 때 우선 유념해야 할 것은 그가 만물도 천리를 생명성의 형태로 체현하고 있다고 생각한 점이다. 정호는 이 생명성을 만물이 공통된 본성이라고 보았으며, 그런 뜻으로 생지위성 명제를 재해석하고, 생의의 개념을 제시했다. 나아가 그는 인간이 이 생의를 발현하는 만물과 교감할 때 인(仁)을 체득할 수 있다고 하여 생의가 인(仁)과도 상통한다고 여겼다. 그의 물성에 관한 생각 가운데 종마다 지닌 생명성의 발현을 보편적 생리(生理)의 특수한 표현이라고 여기는 것은 개체와 전체를 지나치게 대립적으로 보는 서구 생태철학의 사고방식과 구별된다. 정호의 천도론과 물성론에는 결함도 있다. 생리(生理)에 생명 살림의 함의가 있다고 분명히 말하지 못한 것은 표현상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만물의 생의에 ‘살림’의 함의가 있다고 말하지 않은 것은 인간의 도덕적 우월성을 주장하고 장자의 제물론을 반대하는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사소한 문제라고 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