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암(丈巖) 정호(鄭澔)의 생애와 시세계(詩世界)
Jangam(丈巖) Jeong-ho(鄭澔)’s Life and Poetry World
Document Type
Article
Text
Source
한중인문학연구, 06/30/2019, Vol. 63, p. 1-23
Subject
정호
시세계
교유시
내면적 유대
한담
유배
Jangam Jeong-ho
Poetry World
Friendship Poem
Internal Ties
Handam(Leisurely Conversation)
Exile
Language
한국어(KOR)
ISSN
1598-0383
Abstract
장암 정호(鄭澔, 1648~1736)는 송시열로 이어지는 기호학파(畿湖學派)로 노론(老論)의 선봉에 서서 활발한 정치적인 활동을 한 정치가이자 문인이었다. 강직한 성격 탓에 벼슬살이는 파직과 좌천을 거듭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그의 한시 230 여수의 시세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의 한시는 교유(交遊)를 통한 내면적 유대, 유배(流配)와 시사(時事)에 대한 소회, 계산풍류(溪山風流)와 한담(閑淡)의 정취 등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정호는 동문수학한 수암 권상하와 직재 이기홍과 특히 절친하였으며 교유시를 통해 이들의 끈끈한 유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호는 고양, 갑산, 척주, 평창, 강진 신지도, 영천군 등 수많은 곳으로 유배되거나 외직으로 나갔는데 이때 벗들과의 이별, 벗에 대한 그리움, 유배지에서의 쓸쓸한 소회 등이 시에 표현되었다. 또한 시사(時事)에 대한 강한 불만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장암 시에는 한적하게 정취를 드러낸 시편들도 많이 보이는데 이것이야말로 정치가가 아닌 시인으로서의 장암을 이해하는 좋은 자료라 할 수 있다. 정호의 거의 모든 시는 사달(辭達)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수식과 조탁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도 한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런 시적 경향은 직설적인 그의 성품과 상통하는 것으로 보인다.
Jangam Jeong-ho(鄭澔, 1648~1736) was an active politician and a writer, who belonged to the Kiho School(畿湖學派) passed down by Song Si-yeol and was in the vanguard of Noron(老論). For his upright character, he was discharged from office and demoted over and over. This paper aims to consider his poetry world revealed in his 230 Chinese poems. His Chinese poem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nternal ties through social intercourses, impressions about the events of the times, and the moods of Gyesanpoongryu(溪山風流) and Handam(leisurely conversation, 閑淡). Jeong-ho was specially close to Sooam(수암) Gwon Sang-ha(권상하) and Jikjae(직재) Yi Gi-heung(이기홍) and the friendship poems reveal their strong ties. Jeong-ho was exiled or appointed to the post in the provinces away from the capital, such as Goyang(고양), Gapsan(갑산), Cheokju(척주), Pyeongchang(평창), Sinji-do of Gangjin(신지도), and Yeongcheon-gun.(영천군) The farewell to his friends, the longing for them, and the lonely impressions in the places of exile at that time are expressed in his poems. He also showed strong displeasure with the events of the times. On the other hand, many of the Jangam poems describe quiet and peaceful moods and these are good sources to understand Jangam as a poet, not a politician. One of the marked characteristics of Jeong-ho’s poetry is that it is hard to find the traces of embellishment and elaboration, since almost every poem written by him is oriented towards communication(Sadal, 辭達). This poetic disposition seems to correspond to his straightforward charac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