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1170cam a2200325 c 4500 | ||
001 | 0093157543▲ | ||
005 | 20220324153408▲ | ||
007 | ta▲ | ||
008 | 151112s2015 ulka 001c kor▲ | ||
020 | ▼a9788959893638▼g13320 :▼c₩16000▲ | ||
035 | ▼a(KERIS)BIB000013907536▲ | ||
040 | ▼a211009▼c211009▼d221016▲ | ||
082 | 0 | 4 | ▼a338.544▼223▲ |
090 | ▼a338.544▼b김211ㅌ▲ | ||
245 | 0 | 0 | ▼a트렌드 코리아 =▼xTrend Korea.▼n2016 /▼d김난도 [외]지음▲ |
246 | 1 | 3 | ▼a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6 전망▲ |
260 | ▼a서울 :▼b미래의창,▼c2015▲ | ||
300 | ▼a431 p. :▼b삽화 ;▼c23 cm▲ | ||
500 | ▼a공저자: 전미영, 이향은, 이준영, 김서영, 최지혜▲ | ||
500 | ▼a'원숭이의 해', 위기의 터널을 재치와 기지로 극복하라 ; Monkey bars▲ | ||
500 | ▼a부록: <트렌드 코리아 2016> 집필진, 공저자 소개, |
||
500 | ▼a색인: p. 420-427▲ | ||
500 | ▼a저자기호는 이전 권호에 따라 채기함▲ | ||
700 | 1 | ▼a김난도,▼g金蘭都,▼d1963-▼014863▲ | |
700 | 1 | ▼a전미영,▼g田美永,▼d1981-▼0110409▲ | |
700 | 1 | ▼a김서영▼0293958▲ | |
700 | 1 | ▼a이향은,▼g李香恩,▼d1978-▼0142729▲ | |
700 | 1 | ▼a이준영,▼d1976-▼0180293▲ | |
700 | 1 | ▼a최지혜,▼g崔智惠,▼d1985-▼0162046▲ | |
999 | ▼a정재훈▼c안정화▲ |
트렌드 코리아2016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트렌드 코리아 = Trend Korea. 2016 / 김난도 [외]지음
기타서명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6 전망
발행사항
서울 : 미래의창 , 2015
형태사항
431 p. : 삽화 ; 23 cm
일반주기
공저자: 전미영, 이향은, 이준영, 김서영, 최지혜
'원숭이의 해', 위기의 터널을 재치와 기지로 극복하라 ; Monkey bars
부록: <트렌드 코리아 2016> 집필진, 공저자 소개, 모집 외
색인: p. 420-427
저자기호는 이전 권호에 따라 채기함
'원숭이의 해', 위기의 터널을 재치와 기지로 극복하라 ; Monkey bars
부록: <트렌드 코리아 2016> 집필진, 공저자 소개,
색인: p. 420-427
저자기호는 이전 권호에 따라 채기함
ISBN
9788959893638
청구기호
338.544 김211ㅌ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Loading...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책소개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가 전망한 2016년 대한민국 10대 소비트렌드 키워드는 MONKEY BARS로 요약된다. ‘멍키바’는 어린이 놀이터나 군대 유격장에서 볼 수 있는 구름다리를 말한다. 2016년 대한민국을 둘러싼 정치.사회.경제적 위기의 깊은 골을 원숭이가 구름다리를 넘듯 신속하고 현명하게 무사히 건너, 안정된 2017년에 도달하고자 하는 소망을 담았다. 한국 경제가 원숭이의 재치와 날렵함으로 “나무에서 떨어지는 일 없이” 경기침체의 수렁에서 빠져나오는 한 해가 되기를 바라는 소망도 동시에 담았다.
트렌드 코리아가 전망하는 2016 대한민국 소비트렌드를 포괄적으로 품고 있는 키워드는 바로 ‘플랜 Z’ 소비다. 풍요와 빈곤이 극적으로 교차하는 시대, 개미와 베짱이의 정신을 동시에 탑재한 소비자들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한 기업의 고심도 더 깊어질 전망이다. 더 이상 브랜드에 현혹되지 않는 소비자들. 뛰어난 가성비가 답의 전부일까? 1인 미디어와 있어빌리티, 해시태그로 뭉친 취향공동체, 그리고 원초적 본능을 찾는 소비자들에게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트렌드 코리아가 전망하는 2016 대한민국 소비트렌드를 포괄적으로 품고 있는 키워드는 바로 ‘플랜 Z’ 소비다. 풍요와 빈곤이 극적으로 교차하는 시대, 개미와 베짱이의 정신을 동시에 탑재한 소비자들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한 기업의 고심도 더 깊어질 전망이다. 더 이상 브랜드에 현혹되지 않는 소비자들. 뛰어난 가성비가 답의 전부일까? 1인 미디어와 있어빌리티, 해시태그로 뭉친 취향공동체, 그리고 원초적 본능을 찾는 소비자들에게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청구기호 브라우징
Loading...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