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729nam a2200241 k 4500 | ||
001 | 0009280986▲ | ||
005 | 20180519023258▲ | ||
007 | ta▲ | ||
008 | 090629s2009 ggka 001a kor ▲ | ||
020 | ▼a9788935659968▼g93340(v.1)▲ | ||
020 | 1 | ▼a9788935659999(세트)▲ | |
040 | ▼a221016 ▼c221016 ▲ | ||
082 | 0 | 4 | ▼a327.5▼221▲ |
090 | ▼a327.5▼b이51ㄷ▲ | ||
100 | 1 | ▼a이삼성▲ | |
245 | 1 | 0 | ▼a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n1,▼p전통시대 동아시아 2천년과 한반도 =▼xWar and peace in East Asia. 1, Two thousand years of Chinese world order and the Korean peninsula /▼d이삼성 지음.▲ |
260 | ▼a파주 :▼b한길사,▼c2009.▲ | ||
300 | ▼a675 p. :▼b삽화 ;▼c24 cm.▲ | ||
440 | 0 | 0 | ▼a한길신인문총서 =▼xHangil librarium novae humanitatis ;▼v14▲ |
500 | ▼a색인수록▲ | ||
504 | ▼a서지적 각주 수록▲ | ||
950 | 0 | ▼b₩30000▲ | |
999 | ▼a안정화▼b안정화▲ |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1,전통시대 동아시아 2천년과 한반도 =War and peace in East Asia. 1, Two thousand years of Chinese world order and the Korean peninsula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1 , 전통시대 동아시아 2천년과 한반도 = War and peace in East Asia. 1, Two thousand years of Chinese world order and the Korean peninsula / 이삼성 지음.
개인저자
발행사항
파주 : 한길사 , 2009.
형태사항
675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한길신인문총서 = Hangil librarium novae humanitatis ; 14
일반주기
색인수록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ISBN
9788935659968
9788935659999(세트)
9788935659999(세트)
청구기호
327.5 이51ㄷ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Loading...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책소개
동아시아 국제관계사를 성찰한다!
이원적으로 파악한 한반도인의 정체성
『한길신인문총서』《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제1권. 이 책은 국제정치학을 전공한 저자가 자신의 시각에서 전통시대 동아시아 질서에 대한 전체적인 전망을 시도한 것이다. 2천 년에 걸친 중국적 세계질서 속에서 아시아 대륙과 한반도 사이의 전쟁과 평화의 역사상을 정리하였다.
저자는 내륙 아시아 노마드 문명과 중국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주목함으로써 동아시아 세계와 중국적 세계질서의 내면적 복합성, 그리고 고대 한반도의 지정학적 정체성이 내포한 이원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더불어 조공책봉체제가 전쟁과 평화를 규율하는 규범으로서 전통시대 동아시아 세계가 창안한 제3의 국제질서 양식이 갖는 역사적 의미에 주목한다.
저자의 이러한 연구는 전쟁과 평화에 관한 전후 한국사회의 지배적인 전략 패러다임인 한미동맹 최대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 의해 시도된 것이다. 미국과의 동맹을 미래 한국의 대전략의 전부 또는 그 중추로 여기는 사유가 지배적인 이 때, 동아시아의 역사와 재인식의 필요를 제기한다. [양장본]
이원적으로 파악한 한반도인의 정체성
『한길신인문총서』《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제1권. 이 책은 국제정치학을 전공한 저자가 자신의 시각에서 전통시대 동아시아 질서에 대한 전체적인 전망을 시도한 것이다. 2천 년에 걸친 중국적 세계질서 속에서 아시아 대륙과 한반도 사이의 전쟁과 평화의 역사상을 정리하였다.
저자는 내륙 아시아 노마드 문명과 중국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주목함으로써 동아시아 세계와 중국적 세계질서의 내면적 복합성, 그리고 고대 한반도의 지정학적 정체성이 내포한 이원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더불어 조공책봉체제가 전쟁과 평화를 규율하는 규범으로서 전통시대 동아시아 세계가 창안한 제3의 국제질서 양식이 갖는 역사적 의미에 주목한다.
저자의 이러한 연구는 전쟁과 평화에 관한 전후 한국사회의 지배적인 전략 패러다임인 한미동맹 최대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 의해 시도된 것이다. 미국과의 동맹을 미래 한국의 대전략의 전부 또는 그 중추로 여기는 사유가 지배적인 이 때, 동아시아의 역사와 재인식의 필요를 제기한다. [양장본]
청구기호 브라우징
Loading...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