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818nam a2200265 c 4500 | ||
001 | 0009238795▲ | ||
005 | 20180519075812▲ | ||
007 | ta▲ | ||
008 | 080614s2008 ulka 000c kor▲ | ||
020 | ▼a9788956602189▼g03470 :▼c₩12000▲ | ||
040 | ▼a221016▼c221016▲ | ||
041 | 1 | ▼akor▼hjpn▲ | |
082 | 0 | 4 | ▼a570▼223▲ |
090 | ▼a570▼b복11ㅅ한▲ | ||
100 | 1 | ▼a복강, 신일▲ | |
245 | 1 | 0 | ▼a생물과 무생물 사이 /▼d후쿠오카 신이치 지음;▼e김소연 옮김▲ |
246 | 1 | 9 | ▼a生物と無生物のあいだ▲ |
260 | ▼a서울 :▼b은행나무,▼c2008▼g(2014 18쇄)▲ | ||
300 | ▼a251 p. :▼b삽화 ;▼c21 cm▲ | ||
500 | ▼a원저자명: 福岡伸一▲ | ||
586 | ▼a제29회 산토리학예상, 2007▲ | ||
653 | ▼a생물▼a무생물▲ | ||
700 | 1 | ▼a김소연▼0291992▲ | |
900 | 1 | 1 | ▼a후쿠오카, 신이치▲ |
999 | ▼a용역4▼b용역4▼c강설혜▲ |
원문 등 관련정보
효원인 감동공유 추천글
제목: 생물의 경계와 신비
학과: 산업공학과 , 이름: 박*규, 선정연도: 2023
마음에 드는 글귀 또는 문장:"질서는 유지되기 위해 끊임없이 파괴되지 않으면 안 된다." (p. 145) "생명이란 동적 평형 상태에 있는 흐름이다." (p. 146)
추천하고 싶은 대상:생명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에 대해 궁금한 사람. 우리의 몸이 어떤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지 궁금한 사람
추천이유:평소 과학 관련 유튜브를 즐겨보는 편인데, 그 영상들의 대부분의 주제들은 물리학과 관련이 있다. 블랙홀, 양자역학, 인공태양 등 자세한 수식, 이론은 몰라도 들으면 흥미가 갈 만한 소재들을 주로 봤었다. 하지만 우리가 근본적으로 궁금한 것은 우리 같은 생명체는 어떻게 시작했으며, 죽으면 어디로 가는가 일 것이다. 이러한 궁금증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학문이 생명과학이다.
고등학교 선택 과목 중 생명과학을 선택했던 사람으로서 DNA의 염기(A, T, G, C), 샤가프의 법칙, 이중나선 구조 등 수업시간에 한 번쯤은 들어봤던, 용어들을 접하니 반가움을 느꼈다. 그러나 여전히 생명과학은 어려웠다. 모르는 용어, 이해가 안 되는 문장 덕분에 뜨문뜨문 정도만 이해되고, 자신 있게 이해했다고는 말하기 힘들다.
이 책에서 재미있게 봤던 부분은 ‘녹아웃 실험’이다. 녹아웃 실험은 특정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파괴하여 그 파급효과를 조사하는 방법이다. 책에서는 췌장과 관련된 유전자에 대해 녹아웃 실험을 행했다. 일련의 과정을 통해 쥐의 유전자를 제거한 다음, 쥐의 행동, 세포들을 조사했는데 결과는 정상이었다. 즉, 유전자를 제거하지 않은 쥐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가 이상해서, 광우병을 발생시키는 단백질과 관련된 유전자에 대해 녹아웃 실험을 다시 진행했다. 그러나 여전히 결과는 동일했다. 저자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이유가 생명체의 동적평형이라고 설명한다. 동적평형은 끊임없이 파괴되고 생성되며 평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뜻한다. 치명적인 결여가 아니라면, 이 과정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채우면서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했다고 한다.
그런데 신기한 점은, 유전자가 제거된 쥐에게 과학자들이 불완전한 유전자를 넣어주니, 그 쥐들은 비정상적인 경과를 보이고, 결국 죽었다. 기계는 부품이 아예 없는 거보다는, 불완전하게나마 남아있는 편이 좀 더 기계의 작동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생명은 그렇지 않았다. 위에서 말한 동적평형을 특정시간 겪으면서, 부족한 부분을 채운 반면, 조작된 결여, 즉 특정 조각만 제거한다면 생명은 그 부분을 인식하지 못한다. 그리고 그 작은 결여는 시간이 지나면서 전체적인 결여에 이르고 결국 죽음까지 이를 수 있다.
우리가 생명체인 이상, 생명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생명체의 시작과 끝, 외계 생명체 등 아직 풀지 못한 문제가 많은 만큼, 그 문제들이 언제 풀릴지 기대하며 마무리한다.
별점:★★★★★
학과: 산업공학과 , 이름: 박*규, 선정연도: 2023
마음에 드는 글귀 또는 문장:"질서는 유지되기 위해 끊임없이 파괴되지 않으면 안 된다." (p. 145) "생명이란 동적 평형 상태에 있는 흐름이다." (p. 146)
추천하고 싶은 대상:생명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에 대해 궁금한 사람. 우리의 몸이 어떤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지 궁금한 사람
추천이유:평소 과학 관련 유튜브를 즐겨보는 편인데, 그 영상들의 대부분의 주제들은 물리학과 관련이 있다. 블랙홀, 양자역학, 인공태양 등 자세한 수식, 이론은 몰라도 들으면 흥미가 갈 만한 소재들을 주로 봤었다. 하지만 우리가 근본적으로 궁금한 것은 우리 같은 생명체는 어떻게 시작했으며, 죽으면 어디로 가는가 일 것이다. 이러한 궁금증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학문이 생명과학이다.
고등학교 선택 과목 중 생명과학을 선택했던 사람으로서 DNA의 염기(A, T, G, C), 샤가프의 법칙, 이중나선 구조 등 수업시간에 한 번쯤은 들어봤던, 용어들을 접하니 반가움을 느꼈다. 그러나 여전히 생명과학은 어려웠다. 모르는 용어, 이해가 안 되는 문장 덕분에 뜨문뜨문 정도만 이해되고, 자신 있게 이해했다고는 말하기 힘들다.
이 책에서 재미있게 봤던 부분은 ‘녹아웃 실험’이다. 녹아웃 실험은 특정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파괴하여 그 파급효과를 조사하는 방법이다. 책에서는 췌장과 관련된 유전자에 대해 녹아웃 실험을 행했다. 일련의 과정을 통해 쥐의 유전자를 제거한 다음, 쥐의 행동, 세포들을 조사했는데 결과는 정상이었다. 즉, 유전자를 제거하지 않은 쥐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가 이상해서, 광우병을 발생시키는 단백질과 관련된 유전자에 대해 녹아웃 실험을 다시 진행했다. 그러나 여전히 결과는 동일했다. 저자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이유가 생명체의 동적평형이라고 설명한다. 동적평형은 끊임없이 파괴되고 생성되며 평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뜻한다. 치명적인 결여가 아니라면, 이 과정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채우면서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했다고 한다.
그런데 신기한 점은, 유전자가 제거된 쥐에게 과학자들이 불완전한 유전자를 넣어주니, 그 쥐들은 비정상적인 경과를 보이고, 결국 죽었다. 기계는 부품이 아예 없는 거보다는, 불완전하게나마 남아있는 편이 좀 더 기계의 작동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생명은 그렇지 않았다. 위에서 말한 동적평형을 특정시간 겪으면서, 부족한 부분을 채운 반면, 조작된 결여, 즉 특정 조각만 제거한다면 생명은 그 부분을 인식하지 못한다. 그리고 그 작은 결여는 시간이 지나면서 전체적인 결여에 이르고 결국 죽음까지 이를 수 있다.
우리가 생명체인 이상, 생명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생명체의 시작과 끝, 외계 생명체 등 아직 풀지 못한 문제가 많은 만큼, 그 문제들이 언제 풀릴지 기대하며 마무리한다.
별점:★★★★★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