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870cam a2200289 c 4500 | ||
001 | 0092168589▲ | ||
005 | 20180520153406▲ | ||
007 | ta▲ | ||
008 | 131014s2013 ggka b 000c kor▲ | ||
020 | ▼a9788991290525▼g93100:▼c₩24000▲ | ||
035 | ▼a(KERIS)BIB000013290615▲ | ||
040 | ▼a211062▼c211062▼d221016▲ | ||
041 | 1 | ▼akor▼hgrc▲ | |
082 | 0 | 4 | ▼a171.3▼223▲ |
090 | ▼a171.3▼bA717e한C▲ | ||
100 | 0 | ▼aAristoteles,▼dB.C. 384-B.C. 322▼0323470▲ | |
245 | 1 | 0 | ▼a니코마코스 윤리학 /▼d아리스토텔레스 지음 ;▼e천병희 옮김▲ |
246 | 1 | 9 | ▼aEthika Nikomacheia▲ |
260 | ▼a고양 :▼b숲,▼c2013▼g(2014 2쇄)▲ | ||
300 | ▼a420 p. :▼b삽화 ;▼c24 cm▲ | ||
500 | ▼a원저자명: Aristoteles▲ | ||
504 | ▼a참고문헌: p. 419-420▲ | ||
504 | ▼a서지적 각주 수록▲ | ||
653 | ▼a윤리학▲ | ||
700 | 1 | ▼a천병희,▼g千丙熙,▼d1939-▼0302738▲ | |
900 | 0 | 1 | ▼a아리스토텔레스,▼dB.C. 384-322▲ |
999 | ▼c강설혜▲ |
니코마코스 윤리학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니코마코스 윤리학 /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 천병희 옮김
원서명
Ethika Nikomacheia
개인저자
발행사항
고양 : 숲 , 2013
형태사항
420 p. : 삽화 ; 24 cm
일반주기
원저자명: Aristoteles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19-420/서지적 각주 수록/
키워드
ISBN
9788991290525
청구기호
171.3 A717e한C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원문 등 관련정보
효원인 감동공유 추천글
제목: 자기수양서의 뼈대,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학과: 한문학과, 이름: 이*수, 선정연도: 2020
추천내용: 동양철학의 자기수양서로 <논어>가 있다면 서양 고대철학에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이 있다. 두 책 모두 개인이 어떤 삶을 좇아야하는지를 나름대로의 근거를 통해 이야기하며, 제자를 위한 강의록이라는 점 또한 공통점으로 꼽을 수 있을 듯싶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논어는 각 문장에 따른 자신만의 음미가 필요한 반면 니코마코스윤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만의 ‘행복’에 대한 고찰과 논증과정이 상세하다. 이러한 까닭에 개인적으로는 니코마코스윤리학이 더 흥미롭게 느껴졌던 것 같다.
니코마코스윤리학은 흔히 서양고대철학의 정수를 모아 놓은 책이라고 일컫는다. 밀레토스 학파로 시작되어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는 학문의 총 집합체이자 정리본이기 때문이다. 시원, 불변, 운동 등에 대한 고대 철학자의 주된 논의를 이어가기도 하고 심지어 스승인 플라톤의 견해마저 소신껏 비판하고 있다. 운동론으로 귀결됐던 헤라클레이토스의 정리와 다르게 아리스토텔레스는 신론을 통해 ‘본질적인 것은 변화가 없음’을 주장했으며, 이상 국가를 꿈꿨던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교적 현실적인 시각으로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목표를 이야기한다.
그가 10권이라는 방대한 양을 통해 하고 싶은 말은 결국 하나다. 인간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이며 행복은 곧 덕이고 습관으로 형성된 수행으로부터 비롯된다는 이야기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용의 상태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중용이란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상태다. 그러나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행복을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사랑과 타인에 대한 사랑(친애)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자기 자신이 가장 친한 친구이기에 자신을 사랑해야 하며, 친구라는 존재는 희노애락을 공유할 수 있는 존재이므로 자신의 행복에 기여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이라는 존재는 공동체를 만들어 국가를 형성하고 ‘행복’을 좇는다는 결론을 맺는다.
아주 짤막한 요약이었지만 어떤가. 지금의 우리네 고민들과 닮아있지는 않은가? 책을 읽으면서 나 자신이 평소에 했던 고민들이 결국 아리스토텔레스가 살던 때부터 있었다는 게 신기했던 것 같다. 우정에 대한 고민과 정의에 대한 고뇌, 행복을 추구하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요즘 유행하는 소위 자기계발서 분야의 책들과 유사하게 느껴진다. 다만 서양철학의 대가인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이 조금 더 깊이가 있고 진중하다는 점은 있을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행복에 대한 사람들의 욕망은 여전한 것 같다. 만약 행복을 잊은 혹은 삶의 목적을 잃은 누군가가 있다면 이 책을 추천해주고 싶다. 사람은 행복을 추구하는 존재이며, 당신 역시 내재된 자기 내면의 목소리를 되찾아야한다며 말이다. 화려한 수사가 나타나지는 않지만 짜임새 있는 논리구조의 향연이 펼쳐지는 이 책을 추천한다.
학과: 한문학과, 이름: 이*수, 선정연도: 2020
추천내용: 동양철학의 자기수양서로 <논어>가 있다면 서양 고대철학에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이 있다. 두 책 모두 개인이 어떤 삶을 좇아야하는지를 나름대로의 근거를 통해 이야기하며, 제자를 위한 강의록이라는 점 또한 공통점으로 꼽을 수 있을 듯싶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논어는 각 문장에 따른 자신만의 음미가 필요한 반면 니코마코스윤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만의 ‘행복’에 대한 고찰과 논증과정이 상세하다. 이러한 까닭에 개인적으로는 니코마코스윤리학이 더 흥미롭게 느껴졌던 것 같다.
니코마코스윤리학은 흔히 서양고대철학의 정수를 모아 놓은 책이라고 일컫는다. 밀레토스 학파로 시작되어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는 학문의 총 집합체이자 정리본이기 때문이다. 시원, 불변, 운동 등에 대한 고대 철학자의 주된 논의를 이어가기도 하고 심지어 스승인 플라톤의 견해마저 소신껏 비판하고 있다. 운동론으로 귀결됐던 헤라클레이토스의 정리와 다르게 아리스토텔레스는 신론을 통해 ‘본질적인 것은 변화가 없음’을 주장했으며, 이상 국가를 꿈꿨던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교적 현실적인 시각으로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목표를 이야기한다.
그가 10권이라는 방대한 양을 통해 하고 싶은 말은 결국 하나다. 인간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이며 행복은 곧 덕이고 습관으로 형성된 수행으로부터 비롯된다는 이야기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용의 상태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중용이란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상태다. 그러나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행복을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사랑과 타인에 대한 사랑(친애)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자기 자신이 가장 친한 친구이기에 자신을 사랑해야 하며, 친구라는 존재는 희노애락을 공유할 수 있는 존재이므로 자신의 행복에 기여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이라는 존재는 공동체를 만들어 국가를 형성하고 ‘행복’을 좇는다는 결론을 맺는다.
아주 짤막한 요약이었지만 어떤가. 지금의 우리네 고민들과 닮아있지는 않은가? 책을 읽으면서 나 자신이 평소에 했던 고민들이 결국 아리스토텔레스가 살던 때부터 있었다는 게 신기했던 것 같다. 우정에 대한 고민과 정의에 대한 고뇌, 행복을 추구하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요즘 유행하는 소위 자기계발서 분야의 책들과 유사하게 느껴진다. 다만 서양철학의 대가인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이 조금 더 깊이가 있고 진중하다는 점은 있을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행복에 대한 사람들의 욕망은 여전한 것 같다. 만약 행복을 잊은 혹은 삶의 목적을 잃은 누군가가 있다면 이 책을 추천해주고 싶다. 사람은 행복을 추구하는 존재이며, 당신 역시 내재된 자기 내면의 목소리를 되찾아야한다며 말이다. 화려한 수사가 나타나지는 않지만 짜임새 있는 논리구조의 향연이 펼쳐지는 이 책을 추천한다.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