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734nam a2200277 c 4500 | ||
001 | 0092090725▲ | ||
005 | 20180520070441▲ | ||
007 | ta▲ | ||
008 | 120611s2012 ulka 001a kor▲ | ||
020 | ▼a9788994025209▼g03400 :▼c₩17800▲ | ||
035 | ▼a(KERIS)BIB000012795319▲ | ||
040 | ▼a221016▼c221016▲ | ||
041 | 1 | ▼akor▼heng▲ | |
082 | 0 | 4 | ▼a612.79▼221▲ |
090 | ▼a612.79▼bJ11s한▲ | ||
100 | 1 | ▼aJablonski, Nina G.▲ | |
245 | 1 | 0 | ▼a피부색에 감춰진 비밀 /▼d니나 자블론스키 지음 ;▼e진선미 옮김▲ |
246 | 1 | 9 | ▼aSkin: A Natural History▲ |
260 | ▼a서울 :▼b양문,▼c2012▲ | ||
300 | ▼a314 p. :▼b삽화 ;▼c23 cm▲ | ||
504 | ▼a참고문헌(p. 273-295) 및 색인(p. 301-314)수록▲ | ||
586 | ▼a미국 인류학협회 Howells Book Award 수상▲ | ||
653 | ▼a스킨▼a피부색▼a비밀▲ | ||
700 | 1 | ▼a진선미▼0240359▲ | |
900 | 1 | 1 | ▼a자블론스키, 니나▲ |
999 | ▼c구미선▲ |
피부색에 감춰진 비밀
원문 등 관련정보
효원인 감동공유 추천글
제목: 우리의 가장 외곽을 감싸는 피부의 진실을 바라보다.
학과: 분자생물학과, 이름: 김*주, 선정연도: 2017
추천내용: 피부는 우리 몸을 감싸고 있는 덮개입니다.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내장 기관 이지만 우리는 피부를 볼 때 내장기관이라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되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피부를 과학적 시선보다는 사회적 시선으로 바라보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화장을 하거나 문신, 피어싱 등으로 피부를 열심히 가꾸고 꾸밉니다. 이를 보면 다른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드러내 보이게 되는 내장기관인 피부가 사회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사람들은 피부로써 감정을 표현하고 얼굴색을 표현하고 피부색에 차이를 둘 수 있고, 피부를 가꿈으로써 자기 자신을 가꾸는 일을 대신하기도 합니다. 피부를 벗겨낸 시체는 누가 누군지 식별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자아를 잃은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토록 우리 모두에게 소중한 피부가 과연 과학적으로는 우리에게 얼마만큼이나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궁금해져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우리의 피부 색조를 결정하는 멜라닌의 양은 복권이 아니라 진화의 결과라고 합니다. 우리의 피부색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하고 진화하며 우리를 아주 놀라운 원리로 지켜왔던 것입니다. 유해한 자외선 차단제 역할을 하는 유멜라닌이 많아지면 피부가 짙은 색이 됩니다. 오늘날의 우리들은 짙은 색의 피부보단 옅은 색의 피부를 선호하는 경향이 많은데, 사실 짙은 색의 피부는 과학적인 측면에서 많은 양의 자외선으로 부터 우리를 보호하고자 하는 아주 고마운 결과인 것입니다. 보기 싫은 몸의 흉터와 딱지 역시 사실은 우리를 지켜주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주위에서 검은 피부를 무시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이렇게 많은 환경적 요인들로 결정되어지고 유전되어지는 피부색이 등급을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있겠습니까. 우리의 피부색은 그 밝기에 상관없이 모두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무수한 노력을 기울여온 산물이며 그 우수성을 가를 수 있는 기준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동안 잘 알지 못했던 우리의 피부에 대해 알아가는 과정은 엄청난 흥미로움의 연속이었습니다. 처음으로 피부를 이렇게 까지나 자세하게 들춰보게 되었는데 이 책을 읽으며 느낀 놀라움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위 많은 사람들이 나이의 증표라고도 볼 수 있는 피부의 '주름'이 늘어가는 것에 대해 많은 두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사람의 피부가 자연적 화학변화들에 의해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의 기능을 상실해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 많은 사람들이 노화 징후 중 하나인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거나 예방, 제거 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밝혀진 연구결과로는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뿐인데 기회가 닿는다면 저 역시도 노화에 따른 자연적 결과인 주름개선에 대해 연구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저는 이 책을 읽기 전까지만 해도 내 피부에 굉장한 불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지성이라 여드름이 많이 나는 피부도 싫고, 그다지 하얗지 않은 피부색도 싫었거든요. 그렇지 않은 피부를 가진 친구들이 정말 부러웠었습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내 피부 역시 나를 자외선으로 부터 보호하고 유해한 화학물질로 보호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생각이 들자 새삼 피부의 노고에 고마운 마음이 들기도 했습니다. 이 책은 비전공 학생들도 아무런 무리 없이 쉽게 읽어나갈 수 있는 책입니다. 함께 이 책을 읽으며 우리의 몸을 감싸고 있는 피부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그 중요성에 대해 배우고 피부에 대한 고마움을 느껴보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피부를 왜 다른 유해물질로부터 잘 관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깨달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학과: 분자생물학과, 이름: 김*주, 선정연도: 2017
추천내용: 피부는 우리 몸을 감싸고 있는 덮개입니다.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내장 기관 이지만 우리는 피부를 볼 때 내장기관이라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되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피부를 과학적 시선보다는 사회적 시선으로 바라보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화장을 하거나 문신, 피어싱 등으로 피부를 열심히 가꾸고 꾸밉니다. 이를 보면 다른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드러내 보이게 되는 내장기관인 피부가 사회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사람들은 피부로써 감정을 표현하고 얼굴색을 표현하고 피부색에 차이를 둘 수 있고, 피부를 가꿈으로써 자기 자신을 가꾸는 일을 대신하기도 합니다. 피부를 벗겨낸 시체는 누가 누군지 식별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자아를 잃은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토록 우리 모두에게 소중한 피부가 과연 과학적으로는 우리에게 얼마만큼이나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궁금해져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우리의 피부 색조를 결정하는 멜라닌의 양은 복권이 아니라 진화의 결과라고 합니다. 우리의 피부색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하고 진화하며 우리를 아주 놀라운 원리로 지켜왔던 것입니다. 유해한 자외선 차단제 역할을 하는 유멜라닌이 많아지면 피부가 짙은 색이 됩니다. 오늘날의 우리들은 짙은 색의 피부보단 옅은 색의 피부를 선호하는 경향이 많은데, 사실 짙은 색의 피부는 과학적인 측면에서 많은 양의 자외선으로 부터 우리를 보호하고자 하는 아주 고마운 결과인 것입니다. 보기 싫은 몸의 흉터와 딱지 역시 사실은 우리를 지켜주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주위에서 검은 피부를 무시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이렇게 많은 환경적 요인들로 결정되어지고 유전되어지는 피부색이 등급을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있겠습니까. 우리의 피부색은 그 밝기에 상관없이 모두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무수한 노력을 기울여온 산물이며 그 우수성을 가를 수 있는 기준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동안 잘 알지 못했던 우리의 피부에 대해 알아가는 과정은 엄청난 흥미로움의 연속이었습니다. 처음으로 피부를 이렇게 까지나 자세하게 들춰보게 되었는데 이 책을 읽으며 느낀 놀라움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위 많은 사람들이 나이의 증표라고도 볼 수 있는 피부의 '주름'이 늘어가는 것에 대해 많은 두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사람의 피부가 자연적 화학변화들에 의해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의 기능을 상실해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 많은 사람들이 노화 징후 중 하나인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거나 예방, 제거 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밝혀진 연구결과로는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뿐인데 기회가 닿는다면 저 역시도 노화에 따른 자연적 결과인 주름개선에 대해 연구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저는 이 책을 읽기 전까지만 해도 내 피부에 굉장한 불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지성이라 여드름이 많이 나는 피부도 싫고, 그다지 하얗지 않은 피부색도 싫었거든요. 그렇지 않은 피부를 가진 친구들이 정말 부러웠었습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내 피부 역시 나를 자외선으로 부터 보호하고 유해한 화학물질로 보호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생각이 들자 새삼 피부의 노고에 고마운 마음이 들기도 했습니다. 이 책은 비전공 학생들도 아무런 무리 없이 쉽게 읽어나갈 수 있는 책입니다. 함께 이 책을 읽으며 우리의 몸을 감싸고 있는 피부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그 중요성에 대해 배우고 피부에 대한 고마움을 느껴보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피부를 왜 다른 유해물질로부터 잘 관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깨달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