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7857nam a2201285 k 4500 | ||
001 | 0000559130▲ | ||
005 | 20180521035343▲ | ||
007 | ta▲ | ||
008 | 030213s2002 ulk 001a kor▲ | ||
020 | ▼a897682069X▲ | ||
040 | ▼a221016▼d221016▲ | ||
082 | 0 | ▼a028.1▼221▲ | |
090 | ▼a028.1▼b수67ㅊ▲ | ||
110 | ▼a수유연구실 플러스 연구공간 너머▲ | ||
245 | 1 | 0 | ▼abook+ing 책과 만나다/▼d수유연구실+연구공간 '너머' 지음.▲ |
260 | ▼a서울:▼b그린비,▼c2002.▲ | ||
300 | ▼a366 p.:▼b삽도;▼c23 cm.▲ | ||
504 | ▼abook+ing 수록 도서 찾아보기 : p.363-366▲ | ||
505 | 0 | ▼a달라이 라마 나의 티베트:전쟁의 문법을 전복한 사람들/고미숙. - 인생과 자연을 바라보는 인디언의 지혜:자연이 거네는 말/고병권. - 오래된 미래-라다크로 부터 배운다:행복에 대한 새로운 배움/고병권. -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밥상의 혁명을 선동하는 반 요리책/고미숙. - 정치의 전복-1968 이후의 자율적 사회운동:사랑과 삶 그리고 혁명/정선태. - 가비오따스:모든 이를 위한 물/정여울. - 파라다이스:범람하는 잡초가 돼라/고미숙. -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시간과 속도, 그 너머의 삶/정선태. - 한 젊은 유학자의 초상:앎의 공동체, 일상의 고고학/정여울. - 마르탱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잃어버린 천년의 웃음, 그 유쾌한 카니발의 부활/정여울. - 페다고지:세상을 배우는 건 세상을 바꾸는 것/고병권. - 우리의 말이 우리의 무기입니다:칼과 창이 되는 언어/정여울. - 의미의 논리:사건의 철학과 의미의 논리/이진경. 천 개의 고원: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철학적 유목/이진경. - 분자혁명:욕망의 사회과학과 혁명/고병권. - 들뢰즈-존재의 함성:생성의 철학에서 존재의 함성으로/이진경. - 광기의 역사:광기의 역사, 혹은 이성의 그늘/이진경. - 제국:지구 제국과 지구대중/고병권. - 철학과 굴뚝청소부:근대성 비판 그리고 탈주선/고병권. - 니체, 천개의 눈 천개의 길:하나의 입으로 천개의 니체 말하기/이진경. - 유고 1882년 7월~1883/84년 겨울:가장 건강한 자만이 감행할 수 있는 모험/고병권. -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원자론이길 그친 원자론/이진경. - 파스칼의 명상:지식인이 보이지 않는 지식인의 아비투스/고병권. - 엘러건트 유니버스:끈 이론과 우주교황곡/고병권. - 알이 닭을 낳는다:지구에 대한 주인의식은 그만/고병권. - 돈과 구원:연옥의 탄생과 자본주의:고병권. -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공간의 배치와 욕망의 배치/정선태. - 고대도시:인간의 영혼을 다루는 역사학/정선태. - 해석이론:글쓰기의 도상성/정여울. - 삶으로서의 은유:차이를 품어내는 은유를 향하여/정여울. - 옥시덴탈리즘:何必曰 옥시덴탈리즘/김월회. - 인간 주자: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고미숙. - 희망의 공간:자본의 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공간/최진호. -전지구적 자본주의에 눈뜨기:맑스는 어디로?/박동범. -계몽의 변증법:계몽의 계몽, 계몽의 외부/권용선. - 감시와 처벌:지금 누군가 날 감시하고 있다/최태원. - 관찰자의 기술:시선의 배치와 근대 권력의 탄생/고봉준. - 슬픈 열대:열대인의 깊은 슬픔/고미숙. -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기원을 전복하는 역설의 공간/정여울. - 민족이란 무엇인가:다수자의 기억과 소수자의 기억/고병권. - 종횡무진 한국사:국사와 역사/고병권. - 북역 고려사:고려사, 한국사의 야생지대/고미숙. - 1968년의 목소리:쓰여지지지 않는 것들 쓴 역사/이진경. - 사생활의 역사:저렇게들 다른 그리고 저렇게 다를/이진경. - 시간 박물관:박물학적 시간 여행/이진경. - 즐거운 살인-범죄 소설의 사회사:범죄로 쓴 자본주의의 역사/고봉준. - 풍자예술의 역사:풍자와 그로테스크, 예술 안의 외부/고봉준. - 신의 거울:고대문명, 거인의 어깨 위에 선 난쟁이?고봉준. - 육체와 예술:육체-생명의 샘 또는 예술의 원천/정선태. - 생명의 춤:여러 겹의 삶을 살기 위하여/정선태. - 중국유맹사:건달, 그들의 역사와 문화/김월회. - 말하는 꽃 기생:친숙한 그러나 그 존재에 대해 너무 무지한/권보드래. - 미셀 푸코:저기 푸코가 있다/고미숙. - 미덕의 불운:절대부저을 향한 도발적 여정/고미숙. -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위대한 작품으로서의 생애/고병권. - 분서:경계를 넘나드는 야생의 철학/고미숙. - 검은 피부, 하얀 가면:문명을 향한 내 안의 나르시시즘/이승원. - 변신:가족이란 구속과 폭력/진은영. - 트리스트럼 샌디:자유로운 영혼, 그 끊임없는 멜로디/고병권. - 반시대적 고찰:시대를 거스르는 삶의 속도/최태원. - 도스토예프스키:페테르부르크, 그 숨막히는 도시의 잔인한 천재/정선태. -풍자와 해탈 혹은 사랑과 죽음-김수영론:김수영, 그 아득한 여백을 다시 채울수 있을까/정선태. - 차이와 타자:들뢰즈의 꿈 혹은 비표상적 사유를 향한 모험/정선태. - 고야:금기와 복제를 거부하는 불온한 상상력-광기/신지영. - 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그림 뒤의 그림자 읽기/정여울. - 동양적 근대의 창출:서구의 근대, 그 위력과 매력에 저항하기/권보드래. - 무엇을 할 것인가:사랑이 혁명과 만나는 길은?/고미숙. - 순수이성비판:비판이란 무엇인가/진은영. - 장자:무한경계로 나의 사소함 보여주기/류준필. - 존재와 시간:참나(眞我)로의 귀향/진은영. - 인간의 양(羊):굴욕의 대가로서의 평온한 일상/권용선. - 열하일기:열하, 그 열광의 도가니/고미숙. - 수심결:폭력의 시대, 네 마음부터 살피라/김풍기. - 전습록:주자학과 선학사이/고미숙. - 소돔 120일:사드와 마조흐, 그리고 들뢰즈가 만나는 지점/고미숙. - 한서이불과 논어병풍/아포리즘의 퍼레이드/고미숙. - 한서열전:고대사에 대한 생생한 재현/고미숙. - 대동서:유토피아에 대한 유쾌한 상상/고미숙. - 대승기신론소:믿음 한 가운데서 믿음을 의심하라/김풍기. - 문명론의 개략:문명은 선을 향한 과정 일 뿐/류준필. - 순자:차선의 윤리학/김월회. - 동의보감:최고의 처방은 마음을 다스리는것/김풍기. - 종의 기원:사이보그 출현 그 이후 다시 읽는 종의 기원/박성관. - 과학과 근대세계:오이디푸스 vs 프로메테우스/박성관.▲ | |
700 | 1 | ▼a고미숙/▼p저기 푸코가 있다▼t미셀 푸코▲ | |
700 | 1 | ▼a고미숙/▼p절대부정을 향한 도발적 여정▼t미덕의 불운▲ | |
700 | 1 | ▼a고병권/▼p위대한 작품으로서의 생애▼t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 |
700 | 1 | ▼a고미숙/▼p경계를 넘나드는 야생의 철학▼t분서▲ | |
700 | 1 | ▼a이승원/▼p문명을 향한 내 안의 나르시시즘▼t검은 피부, 하얀 가면▲ | |
700 | 1 | ▼a진은영/▼p가족이란 구속과 폭력▼t변신▲ | |
700 | 1 | ▼a고병권/▼p자유로운 영혼, 그 끊임없는 멜로디▼t트리스트럼 샌디▲ | |
700 | 1 | ▼a최태원/▼p시대를 거스르는 삶의 속도▼t반시대적 고찰▲ | |
700 | 1 | ▼a정선태/▼p페테르부르크, 그 숨막히는 도시의 잔인한 천재▼t도스토예프스키▲ | |
700 | 1 | ▼a정선태/▼p김수영, 그 아득한 여백을 다시 채울수 있을까▼t풍자와 해탈 혹은 사랑과 죽음-김수영론▲ | |
700 | 1 | ▼a정선태/▼p들뢰즈의 꿈 혹은 비표상적 사유를 향한 모험▼t차이와 타자▲ | |
700 | 1 | ▼a신지영/▼p금기와 복제를 거부하는 불온한 상상력-광기▼t고야▲ | |
700 | 1 | ▼a정여울/▼p그림 뒤의 그림자 읽기▼t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 |
700 | 1 | ▼a권보드래/▼p서구의 근대, 그 위력과 매력에 저항하기▼t동양적 근대의 창출▲ | |
700 | 1 | ▼a고미숙/▼p사랑이 혁명과 만나는 길은?▼t무엇을 할 것인가▲ | |
700 | 1 | ▼a진은영/▼p비판이란 무엇인가▼t순수이성비판▲ | |
700 | 1 | ▼a류준필/▼p무한경계로 나의 사소함 보여주기▼t장자▲ | |
700 | 1 | ▼a진은영/▼p참나(眞我)로의 귀향▼t존재와 시간▲ | |
700 | 1 | ▼a권용선/▼p굴욕의 대가로서의 평온한 일상▼t인간의 양(羊)▲ | |
700 | 1 | ▼a고미숙/▼p열하, 그 열광의 도가니▼t열하일기▲ | |
700 | 1 | ▼a김풍기/▼p폭력의 시대, 네 마음부터 살피라▼t수심결▲ | |
700 | 1 | ▼a고미숙/▼p주자학과 선학사이▼t전습록▲ | |
700 | 1 | ▼a고미숙/▼p사드와 마조흐, 그리고 들뢰즈가 만나는 지점▼t소돔 120일▲ | |
700 | 1 | ▼a고미숙/▼p아포리즘의 퍼레이드▼t한서이불과 논어병풍▲ | |
700 | 1 | ▼a고미숙/▼p고대사에 대한 생생한 재현▼t한서열전▲ | |
700 | 1 | ▼a고미숙/▼p유토피아에 대한 유쾌한 상상▼t대동서▲ | |
700 | 1 | ▼a김풍기/▼p믿음 한 가운데서 믿음을 의심하라▼t대승기신론소▲ | |
700 | 1 | ▼a류준필/▼p문명은 선을 향한 과정 일 뿐▼t문명론의 개략▲ | |
700 | 1 | ▼a김월회/▼p차선의 윤리학▼t순자▲ | |
700 | 1 | ▼a김풍기/▼p최고의 처방은 마음을 다스리는것▼t동의보감▲ | |
700 | 1 | ▼a박종관/▼p사이보그 출현 그 이후 다시 읽는 종의 기원▼t종의 기원▲ | |
700 | 1 | ▼a박성관/▼p오이디푸스 vs 프로메테우스▼t과학과 근대세계▲ | |
700 | 1 | ▼a고미숙/▼p전쟁의 문법을 전복한 사람들▼t달라이 라마 나의 티베트▲ | |
700 | 1 | ▼a고병권/▼p자연이 거네는 말▼t인생과 자연을 바라보는 인디언의 지혜▲ | |
700 | 1 | ▼a고병권/▼p행복에 대한 새로운 배움▼t오래된 미래-라다크로 부터 배운다▲ | |
700 | 1 | ▼a고미숙/▼p밥상의 혁명을 선동하는 반 요리책▼t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 | |
700 | 1 | ▼a정선태/▼p사랑과 삶 그리고 혁명▼t정치의 전복-1968 이후의 자율적 사회운동▲ | |
700 | 1 | ▼a정여울/▼p모든 이를 위한 물▼t가비오따스▲ | |
700 | 1 | ▼a고미숙/▼p범람하는 잡초가 돼라▼t파라다이스▲ | |
700 | 1 | ▼a정선태/▼p시간과 속도, 그 너머의 삶▼t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 | |
700 | 1 | ▼a정여울/▼p앎의 공동체, 일상의 고고학▼t한 젊은 유학자의 초상▲ | |
700 | 1 | ▼a정여울/▼p다른 삶을 꿈꾸고픈 욕망▼t마르탱 가르의 귀향▲ | |
700 | 1 | ▼a정선태/▼p축제-전복적 상상력의 원천▼t바보제, 기호의 몽상▲ | |
700 | 1 | ▼a정여울/▼p잃어버린 천년의 웃음, 그 유쾌한 카니발의 부활▼t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 |
700 | 1 | ▼a고병권/▼p세상을 배우는 건 세상을 바꾸는 것▼t페다고지▲ | |
700 | 1 | ▼a정여울/▼p칼과 창이 되는 언어▼t우리의 말이 우리의 무기입니다▲ | |
700 | 1 | ▼a이진경/▼p사건의 철학과 의미의 논리▼t의미의 논리▲ | |
700 | 1 | ▼a이진경/▼p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철학적 유목▼t천 개의 고원▲ | |
700 | 1 | ▼a고병권/▼p욕망의 사회과학과 혁명▼t분자혁명▲ | |
700 | 1 | ▼a이진경/▼p생성의 철학에서 존재의 함성으로▼t들뢰즈-존재의 함성▲ | |
700 | 1 | ▼a이진경/▼p광기의 역사, 혹은 이성의 그늘▼t광기의 역사▲ | |
700 | 1 | ▼a고병권/▼p지구 제국과 지구대중▼t제국▲ | |
700 | 1 | ▼a고병권/▼p근대성 비판 그리고 탈주선▼t철학과 굴뚝청소부▲ | |
700 | 1 | ▼a이진경/▼p하나의 입으로 천개의 니체 말하기▼t니체, 천개의 눈 천개의 길▲ | |
700 | 1 | ▼a고병권/▼p가장 건강한 자만이 감행할 수 있는 모험▼t유고 1882년 7월~1883/84년 겨울▲ | |
700 | 1 | ▼a이진경/▼p원자론이길 그친 원자론▼t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 | |
700 | 1 | ▼a고병권/▼p지식인이 보이지 않는 지식인의 아비투스▼t파스칼의 명상▲ | |
700 | 1 | ▼a고병권/▼p끈 이론과 우주교황곡▼t엘러건트 유니버스▲ | |
700 | 1 | ▼a고병권/▼p지구에 대한 주인의식은 그만▼t알이 닭을 낳는다▲ | |
700 | 1 | ▼a고병권/▼p연옥의 탄생과 자본주의▼t돈과 구원▲ | |
700 | 1 | ▼a정선태/▼p공간의 배치와 욕망의 배치▼t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 |
700 | 1 | ▼a정선태/▼p인간의 영혼을 다루는 역사학▼t고대도시▲ | |
700 | 1 | ▼a정여울/▼p글쓰기의 도상성▼t해석이론▲ | |
700 | 1 | ▼a정여울/▼p차이를 품어내는 은유를 향하여▼t삶으로서의 은유▲ | |
700 | 1 | ▼a김월회/▼p하필왈 옥시덴탈리즘▼t옥시덴탈리즘▲ | |
700 | 1 | ▼a고미숙/▼p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t인간 주자▲ | |
700 | 1 | ▼a최진호/▼p자본의 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공간▼t희망의 공간▲ | |
700 | 1 | ▼a박동범/▼p맑스는 어디로?▼t전지구적 자본주의에 눈뜨기▲ | |
700 | 1 | ▼a권용선/▼p계몽의 계몽, 계몽의 외부▼t계몽의 변증법▲ | |
700 | 1 | ▼a최태원/▼p지금 누군가 날 감시하고 있다▼t감시와 처벌▲ | |
700 | 1 | ▼a고봉준/▼p시선의 배치와 근대 권력의 탄생▼t관찰자의 기술▲ | |
700 | 1 | ▼a고미숙/▼p열대인의 깊은 슬픔▼t슬픈 열대▲ | |
700 | 1 | ▼a정여울/▼p기원을 전복하는 역설의 공간▼t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 |
700 | 1 | ▼a고병권/▼p다수자의 기억과 소수자의 기억▼t민족이란 무엇인가▲ | |
700 | 1 | ▼a고병권/▼p국사와 역사▼t종횡무진 한국사▲ | |
700 | 1 | ▼a고미숙/▼p고려사, 한국사의 야생지대▼t북역 고려사▲ | |
700 | 1 | ▼a이진경/▼p쓰여지지지 않는 것들로 쓴 역사▼t1968년의 목소리▲ | |
700 | 1 | ▼a이진경/▼p저렇게들 다른 그리고 저렇게 다를▼t사생활의 역사▲ | |
700 | 1 | ▼a이진경/▼p박물학적 시간 여행▼t시간 박물관▲ | |
700 | 1 | ▼a고봉준/▼p범죄로 쓴 자본주의의 역사▼t즐거운 살인-범죄 소설의 사회사▲ | |
700 | 1 | ▼a고봉준/▼p풍자와 그로테스크, 예술 안의 외부▼t풍자예술의 역사▲ | |
700 | 1 | ▼a고봉준/▼p고대문명, 거인의 어깨 위에 선 난쟁이?▼t신의 거울▲ | |
700 | 1 | ▼a정선태/▼p육체-생명의 샘 또는 예술의 원천▼t육체와 예술▲ | |
700 | 1 | ▼a정선태/▼p여러 겹의 삶을 살기 위하여▼t생명의 춤▲ | |
700 | 1 | ▼a김월회/▼p건달, 그들의 역사와 문화▼t중국유맹사▲ | |
700 | 1 | ▼a권보드래/▼p친숙한 그러나 그 존재에 대해 너무 무지한▼t말하는 꽃 기생▲ | |
710 | ▼a수유연구실+연구공간 '너머▲ | ||
740 | ▼a책과 만나다▲ | ||
740 | ▼a책으로(book)~하기(ing)▲ | ||
950 | 0 | ▼b₩10000▲ | |
999 | ▼a허성경▼b배진선▲ |

book+ing 책과 만나다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book+ing 책과 만나다 / 수유연구실+연구공간 '너머' 지음.
부출서명
책과 만나다
책으로(book)~하기(ing)
책으로(book)~하기(ing)
개인저자
고미숙 / 저기 푸코가 있다 미셀 푸코
고미숙 / 절대부정을 향한 도발적 여정 미덕의 불운
고병권 / 위대한 작품으로서의 생애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고미숙 / 경계를 넘나드는 야생의 철학 분서
이승원 / 문명을 향한 내 안의 나르시시즘 검은 피부, 하얀 가면
진은영 / 가족이란 구속과 폭력 변신
고병권 / 자유로운 영혼, 그 끊임없는 멜로디 트리스트럼 샌디
최태원 / 시대를 거스르는 삶의 속도 반시대적 고찰
정선태 / 페테르부르크, 그 숨막히는 도시의 잔인한 천재 도스토예프스키
정선태 / 김수영, 그 아득한 여백을 다시 채울수 있을까 풍자와 해탈 혹은 사랑과 죽음-김수영론
정선태 / 들뢰즈의 꿈 혹은 비표상적 사유를 향한 모험 차이와 타자
신지영 / 금기와 복제를 거부하는 불온한 상상력-광기 고야
정여울 / 그림 뒤의 그림자 읽기 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권보드래 / 서구의 근대, 그 위력과 매력에 저항하기 동양적 근대의 창출
고미숙 / 사랑이 혁명과 만나는 길은? 무엇을 할 것인가
진은영 / 비판이란 무엇인가 순수이성비판
류준필 / 무한경계로 나의 사소함 보여주기 장자
진은영 / 참나(眞我)로의 귀향 존재와 시간
권용선 / 굴욕의 대가로서의 평온한 일상 인간의 양(羊)
고미숙 / 열하, 그 열광의 도가니 열하일기
김풍기 / 폭력의 시대, 네 마음부터 살피라 수심결
고미숙 / 주자학과 선학사이 전습록
고미숙 / 사드와 마조흐, 그리고 들뢰즈가 만나는 지점 소돔 120일
고미숙 / 아포리즘의 퍼레이드 한서이불과 논어병풍
고미숙 / 고대사에 대한 생생한 재현 한서열전
고미숙 / 유토피아에 대한 유쾌한 상상 대동서
김풍기 / 믿음 한 가운데서 믿음을 의심하라 대승기신론소
류준필 / 문명은 선을 향한 과정 일 뿐 문명론의 개략
김월회 / 차선의 윤리학 순자
김풍기 / 최고의 처방은 마음을 다스리는것 동의보감
박종관 / 사이보그 출현 그 이후 다시 읽는 종의 기원 종의 기원
박성관 / 오이디푸스 vs 프로메테우스 과학과 근대세계
고미숙 / 전쟁의 문법을 전복한 사람들 달라이 라마 나의 티베트
고병권 / 자연이 거네는 말 인생과 자연을 바라보는 인디언의 지혜
고병권 / 행복에 대한 새로운 배움 오래된 미래-라다크로 부터 배운다
고미숙 / 밥상의 혁명을 선동하는 반 요리책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
정선태 / 사랑과 삶 그리고 혁명 정치의 전복-1968 이후의 자율적 사회운동
정여울 / 모든 이를 위한 물 가비오따스
고미숙 / 범람하는 잡초가 돼라 파라다이스
정선태 / 시간과 속도, 그 너머의 삶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
정여울 / 앎의 공동체, 일상의 고고학 한 젊은 유학자의 초상
정여울 / 다른 삶을 꿈꾸고픈 욕망 마르탱 가르의 귀향
정선태 / 축제-전복적 상상력의 원천 바보제, 기호의 몽상
정여울 / 잃어버린 천년의 웃음, 그 유쾌한 카니발의 부활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고병권 / 세상을 배우는 건 세상을 바꾸는 것 페다고지
정여울 / 칼과 창이 되는 언어 우리의 말이 우리의 무기입니다
이진경 / 사건의 철학과 의미의 논리 의미의 논리
이진경 / 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철학적 유목 천 개의 고원
고병권 / 욕망의 사회과학과 혁명 분자혁명
이진경 / 생성의 철학에서 존재의 함성으로 들뢰즈-존재의 함성
이진경 / 광기의 역사, 혹은 이성의 그늘 광기의 역사
고병권 / 지구 제국과 지구대중 제국
고병권 / 근대성 비판 그리고 탈주선 철학과 굴뚝청소부
이진경 / 하나의 입으로 천개의 니체 말하기 니체, 천개의 눈 천개의 길
고병권 / 가장 건강한 자만이 감행할 수 있는 모험 유고 1882년 7월~1883/84년 겨울
이진경 / 원자론이길 그친 원자론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
고병권 / 지식인이 보이지 않는 지식인의 아비투스 파스칼의 명상
고병권 / 끈 이론과 우주교황곡 엘러건트 유니버스
고병권 / 지구에 대한 주인의식은 그만 알이 닭을 낳는다
고병권 / 연옥의 탄생과 자본주의 돈과 구원
정선태 / 공간의 배치와 욕망의 배치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정선태 / 인간의 영혼을 다루는 역사학 고대도시
정여울 / 글쓰기의 도상성 해석이론
정여울 / 차이를 품어내는 은유를 향하여 삶으로서의 은유
김월회 / 하필왈 옥시덴탈리즘 옥시덴탈리즘
고미숙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인간 주자
최진호 / 자본의 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공간 희망의 공간
박동범 / 맑스는 어디로? 전지구적 자본주의에 눈뜨기
권용선 / 계몽의 계몽, 계몽의 외부 계몽의 변증법
최태원 / 지금 누군가 날 감시하고 있다 감시와 처벌
고봉준 / 시선의 배치와 근대 권력의 탄생 관찰자의 기술
고미숙 / 열대인의 깊은 슬픔 슬픈 열대
정여울 / 기원을 전복하는 역설의 공간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고병권 / 다수자의 기억과 소수자의 기억 민족이란 무엇인가
고병권 / 국사와 역사 종횡무진 한국사
고미숙 / 고려사, 한국사의 야생지대 북역 고려사
이진경 / 쓰여지지지 않는 것들로 쓴 역사 1968년의 목소리
이진경 / 저렇게들 다른 그리고 저렇게 다를 사생활의 역사
이진경 / 박물학적 시간 여행 시간 박물관
고봉준 / 범죄로 쓴 자본주의의 역사 즐거운 살인-범죄 소설의 사회사
고봉준 / 풍자와 그로테스크, 예술 안의 외부 풍자예술의 역사
고봉준 / 고대문명, 거인의 어깨 위에 선 난쟁이? 신의 거울
정선태 / 육체-생명의 샘 또는 예술의 원천 육체와 예술
정선태 / 여러 겹의 삶을 살기 위하여 생명의 춤
김월회 / 건달, 그들의 역사와 문화 중국유맹사
권보드래 / 친숙한 그러나 그 존재에 대해 너무 무지한 말하는 꽃 기생
고미숙 / 절대부정을 향한 도발적 여정 미덕의 불운
고병권 / 위대한 작품으로서의 생애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고미숙 / 경계를 넘나드는 야생의 철학 분서
이승원 / 문명을 향한 내 안의 나르시시즘 검은 피부, 하얀 가면
진은영 / 가족이란 구속과 폭력 변신
고병권 / 자유로운 영혼, 그 끊임없는 멜로디 트리스트럼 샌디
최태원 / 시대를 거스르는 삶의 속도 반시대적 고찰
정선태 / 페테르부르크, 그 숨막히는 도시의 잔인한 천재 도스토예프스키
정선태 / 김수영, 그 아득한 여백을 다시 채울수 있을까 풍자와 해탈 혹은 사랑과 죽음-김수영론
정선태 / 들뢰즈의 꿈 혹은 비표상적 사유를 향한 모험 차이와 타자
신지영 / 금기와 복제를 거부하는 불온한 상상력-광기 고야
정여울 / 그림 뒤의 그림자 읽기 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권보드래 / 서구의 근대, 그 위력과 매력에 저항하기 동양적 근대의 창출
고미숙 / 사랑이 혁명과 만나는 길은? 무엇을 할 것인가
진은영 / 비판이란 무엇인가 순수이성비판
류준필 / 무한경계로 나의 사소함 보여주기 장자
진은영 / 참나(眞我)로의 귀향 존재와 시간
권용선 / 굴욕의 대가로서의 평온한 일상 인간의 양(羊)
고미숙 / 열하, 그 열광의 도가니 열하일기
김풍기 / 폭력의 시대, 네 마음부터 살피라 수심결
고미숙 / 주자학과 선학사이 전습록
고미숙 / 사드와 마조흐, 그리고 들뢰즈가 만나는 지점 소돔 120일
고미숙 / 아포리즘의 퍼레이드 한서이불과 논어병풍
고미숙 / 고대사에 대한 생생한 재현 한서열전
고미숙 / 유토피아에 대한 유쾌한 상상 대동서
김풍기 / 믿음 한 가운데서 믿음을 의심하라 대승기신론소
류준필 / 문명은 선을 향한 과정 일 뿐 문명론의 개략
김월회 / 차선의 윤리학 순자
김풍기 / 최고의 처방은 마음을 다스리는것 동의보감
박종관 / 사이보그 출현 그 이후 다시 읽는 종의 기원 종의 기원
박성관 / 오이디푸스 vs 프로메테우스 과학과 근대세계
고미숙 / 전쟁의 문법을 전복한 사람들 달라이 라마 나의 티베트
고병권 / 자연이 거네는 말 인생과 자연을 바라보는 인디언의 지혜
고병권 / 행복에 대한 새로운 배움 오래된 미래-라다크로 부터 배운다
고미숙 / 밥상의 혁명을 선동하는 반 요리책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
정선태 / 사랑과 삶 그리고 혁명 정치의 전복-1968 이후의 자율적 사회운동
정여울 / 모든 이를 위한 물 가비오따스
고미숙 / 범람하는 잡초가 돼라 파라다이스
정선태 / 시간과 속도, 그 너머의 삶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
정여울 / 앎의 공동체, 일상의 고고학 한 젊은 유학자의 초상
정여울 / 다른 삶을 꿈꾸고픈 욕망 마르탱 가르의 귀향
정선태 / 축제-전복적 상상력의 원천 바보제, 기호의 몽상
정여울 / 잃어버린 천년의 웃음, 그 유쾌한 카니발의 부활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고병권 / 세상을 배우는 건 세상을 바꾸는 것 페다고지
정여울 / 칼과 창이 되는 언어 우리의 말이 우리의 무기입니다
이진경 / 사건의 철학과 의미의 논리 의미의 논리
이진경 / 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철학적 유목 천 개의 고원
고병권 / 욕망의 사회과학과 혁명 분자혁명
이진경 / 생성의 철학에서 존재의 함성으로 들뢰즈-존재의 함성
이진경 / 광기의 역사, 혹은 이성의 그늘 광기의 역사
고병권 / 지구 제국과 지구대중 제국
고병권 / 근대성 비판 그리고 탈주선 철학과 굴뚝청소부
이진경 / 하나의 입으로 천개의 니체 말하기 니체, 천개의 눈 천개의 길
고병권 / 가장 건강한 자만이 감행할 수 있는 모험 유고 1882년 7월~1883/84년 겨울
이진경 / 원자론이길 그친 원자론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
고병권 / 지식인이 보이지 않는 지식인의 아비투스 파스칼의 명상
고병권 / 끈 이론과 우주교황곡 엘러건트 유니버스
고병권 / 지구에 대한 주인의식은 그만 알이 닭을 낳는다
고병권 / 연옥의 탄생과 자본주의 돈과 구원
정선태 / 공간의 배치와 욕망의 배치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정선태 / 인간의 영혼을 다루는 역사학 고대도시
정여울 / 글쓰기의 도상성 해석이론
정여울 / 차이를 품어내는 은유를 향하여 삶으로서의 은유
김월회 / 하필왈 옥시덴탈리즘 옥시덴탈리즘
고미숙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인간 주자
최진호 / 자본의 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공간 희망의 공간
박동범 / 맑스는 어디로? 전지구적 자본주의에 눈뜨기
권용선 / 계몽의 계몽, 계몽의 외부 계몽의 변증법
최태원 / 지금 누군가 날 감시하고 있다 감시와 처벌
고봉준 / 시선의 배치와 근대 권력의 탄생 관찰자의 기술
고미숙 / 열대인의 깊은 슬픔 슬픈 열대
정여울 / 기원을 전복하는 역설의 공간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고병권 / 다수자의 기억과 소수자의 기억 민족이란 무엇인가
고병권 / 국사와 역사 종횡무진 한국사
고미숙 / 고려사, 한국사의 야생지대 북역 고려사
이진경 / 쓰여지지지 않는 것들로 쓴 역사 1968년의 목소리
이진경 / 저렇게들 다른 그리고 저렇게 다를 사생활의 역사
이진경 / 박물학적 시간 여행 시간 박물관
고봉준 / 범죄로 쓴 자본주의의 역사 즐거운 살인-범죄 소설의 사회사
고봉준 / 풍자와 그로테스크, 예술 안의 외부 풍자예술의 역사
고봉준 / 고대문명, 거인의 어깨 위에 선 난쟁이? 신의 거울
정선태 / 육체-생명의 샘 또는 예술의 원천 육체와 예술
정선태 / 여러 겹의 삶을 살기 위하여 생명의 춤
김월회 / 건달, 그들의 역사와 문화 중국유맹사
권보드래 / 친숙한 그러나 그 존재에 대해 너무 무지한 말하는 꽃 기생
발행사항
서울 : 그린비 , 2002.
형태사항
366 p. : 삽도 ; 23 cm.
서지주기
book+ing 수록 도서 찾아보기 : p.363-366
내용주기
달라이 라마 나의 티베트:전쟁의 문법을 전복한 사람들/고미숙. - 인생과 자연을 바라보는 인디언의 지혜:자연이 거네는 말/고병권. - 오래된 미래-라다크로 부터 배운다:행복에 대한 새로운 배움/고병권. -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밥상의 혁명을 선동하는 반 요리책/고미숙. - 정치의 전복-1968 이후의 자율적 사회운동:사랑과 삶 그리고 혁명/정선태. - 가비오따스:모든 이를 위한 물/정여울. - 파라다이스:범람하는 잡초가 돼라/고미숙. -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시간과 속도, 그 너머의 삶/정선태. - 한 젊은 유학자의 초상:앎의 공동체, 일상의 고고학/정여울. - 마르탱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잃어버린 천년의 웃음, 그 유쾌한 카니발의 부활/정여울. - 페다고지:세상을 배우는 건 세상을 바꾸는 것/고병권. - 우리의 말이 우리의 무기입니다:칼과 창이 되는 언어/정여울. - 의미의 논리:사건의 철학과 의미의 논리/이진경. 천 개의 고원: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철학적 유목/이진경. - 분자혁명:욕망의 사회과학과 혁명/고병권. - 들뢰즈-존재의 함성:생성의 철학에서 존재의 함성으로/이진경. - 광기의 역사:광기의 역사, 혹은 이성의 그늘/이진경. - 제국:지구 제국과 지구대중/고병권. - 철학과 굴뚝청소부:근대성 비판 그리고 탈주선/고병권. - 니체, 천개의 눈 천개의 길:하나의 입으로 천개의 니체 말하기/이진경. - 유고 1882년 7월~1883/84년 겨울:가장 건강한 자만이 감행할 수 있는 모험/고병권. -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원자론이길 그친 원자론/이진경. - 파스칼의 명상:지식인이 보이지 않는 지식인의 아비투스/고병권. - 엘러건트 유니버스:끈 이론과 우주교황곡/고병권. - 알이 닭을 낳는다:지구에 대한 주인의식은 그만/고병권. - 돈과 구원:연옥의 탄생과 자본주의:고병권. -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공간의 배치와 욕망의 배치/정선태. - 고대도시:인간의 영혼을 다루는 역사학/정선태. - 해석이론:글쓰기의 도상성/정여울. - 삶으로서의 은유:차이를 품어내는 은유를 향하여/정여울. - 옥시덴탈리즘:何必曰 옥시덴탈리즘/김월회. - 인간 주자: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고미숙. - 희망의 공간:자본의 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공간/최진호. -전지구적 자본주의에 눈뜨기:맑스는 어디로?/박동범. -계몽의 변증법:계몽의 계몽, 계몽의 외부/권용선. - 감시와 처벌:지금 누군가 날 감시하고 있다/최태원. - 관찰자의 기술:시선의 배치와 근대 권력의 탄생/고봉준. - 슬픈 열대:열대인의 깊은 슬픔/고미숙. -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기원을 전복하는 역설의 공간/정여울. - 민족이란 무엇인가:다수자의 기억과 소수자의 기억/고병권. - 종횡무진 한국사:국사와 역사/고병권. - 북역 고려사:고려사, 한국사의 야생지대/고미숙. - 1968년의 목소리:쓰여지지지 않는 것들 쓴 역사/이진경. - 사생활의 역사:저렇게들 다른 그리고 저렇게 다를/이진경. - 시간 박물관:박물학적 시간 여행/이진경. - 즐거운 살인-범죄 소설의 사회사:범죄로 쓴 자본주의의 역사/고봉준. - 풍자예술의 역사:풍자와 그로테스크, 예술 안의 외부/고봉준. - 신의 거울:고대문명, 거인의 어깨 위에 선 난쟁이?고봉준. - 육체와 예술:육체-생명의 샘 또는 예술의 원천/정선태. - 생명의 춤:여러 겹의 삶을 살기 위하여/정선태. - 중국유맹사:건달, 그들의 역사와 문화/김월회. - 말하는 꽃 기생:친숙한 그러나 그 존재에 대해 너무 무지한/권보드래. - 미셀 푸코:저기 푸코가 있다/고미숙. - 미덕의 불운:절대부저을 향한 도발적 여정/고미숙. -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위대한 작품으로서의 생애/고병권. - 분서:경계를 넘나드는 야생의 철학/고미숙. - 검은 피부, 하얀 가면:문명을 향한 내 안의 나르시시즘/이승원. - 변신:가족이란 구속과 폭력/진은영. - 트리스트럼 샌디:자유로운 영혼, 그 끊임없는 멜로디/고병권. - 반시대적 고찰:시대를 거스르는 삶의 속도/최태원. - 도스토예프스키:페테르부르크, 그 숨막히는 도시의 잔인한 천재/정선태. -풍자와 해탈 혹은 사랑과 죽음-김수영론:김수영, 그 아득한 여백을 다시 채울수 있을까/정선태. - 차이와 타자:들뢰즈의 꿈 혹은 비표상적 사유를 향한 모험/정선태. - 고야:금기와 복제를 거부하는 불온한 상상력-광기/신지영. - 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그림 뒤의 그림자 읽기/정여울. - 동양적 근대의 창출:서구의 근대, 그 위력과 매력에 저항하기/권보드래. - 무엇을 할 것인가:사랑이 혁명과 만나는 길은?/고미숙. - 순수이성비판:비판이란 무엇인가/진은영. - 장자:무한경계로 나의 사소함 보여주기/류준필. - 존재와 시간:참나(眞我)로의 귀향/진은영. - 인간의 양(羊):굴욕의 대가로서의 평온한 일상/권용선. - 열하일기:열하, 그 열광의 도가니/고미숙. - 수심결:폭력의 시대, 네 마음부터 살피라/김풍기. - 전습록:주자학과 선학사이/고미숙. - 소돔 120일:사드와 마조흐, 그리고 들뢰즈가 만나는 지점/고미숙. - 한서이불과 논어병풍/아포리즘의 퍼레이드/고미숙. - 한서열전:고대사에 대한 생생한 재현/고미숙. - 대동서:유토피아에 대한 유쾌한 상상/고미숙. - 대승기신론소:믿음 한 가운데서 믿음을 의심하라/김풍기. - 문명론의 개략:문명은 선을 향한 과정 일 뿐/류준필. - 순자:차선의 윤리학/김월회. - 동의보감:최고의 처방은 마음을 다스리는것/김풍기. - 종의 기원:사이보그 출현 그 이후 다시 읽는 종의 기원/박성관. - 과학과 근대세계:오이디푸스 vs 프로메테우스/박성관.
ISBN
897682069X
청구기호
028.1 수67ㅊ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