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966cwm a2200289 k 4500 | ||
001 | 0000457344▲ | ||
005 | 20210326160903▲ | ||
007 | oe ▲ | ||
008 | 011004s1861 b w C00a ▲ | ||
040 | ▼a221016 ▼d221016▲ | ||
041 | ▼achi▲ | ||
085 | 5 | ▼a2-11▲ | |
090 | ▼a2-11 ▼b42▲ | ||
100 | 1 | ▼a김정호▲ | |
245 | 1 | 0 | ▼a大東輿地圖.▼n帖1-22 /▼d金正浩 著.▲ |
250 | ▼a木板本(朝鮮)▲ | ||
260 | ▼a[刊寫地未詳] :▼b[刊寫者未詳], ▼c哲宗 12(1861).▲ | ||
300 | ▼a22帖 :▼b地圖, 彩色圖 ;▼c31 ×20 ㎝.▲ | ||
500 | 0 | 0 | ▼a當저十二年辛酉(1861)古山子校刊▲ |
500 | 0 | 0 | ▼a第1帖中第6-11面 筆書▲ |
500 | 1 | 0 | ▼a表題: 大東圖▲ |
500 | 0 | 0 | ▼a貴重本(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8호, 2018.1.31 지정).▲ |
650 | ▼a史部 ▼x地理類▲ | ||
740 | ▼a대동도▲ | ||
856 | 4 | ▼y원문보기▼uhttp://dcollection.pusan.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6422▲ | |
890 | ▼h500저▲ | ||
999 | ▼a이봉심▼b최민영▼c이철찬▲ |
大東輿地圖.帖1-22
자료유형
국내고서
서명/책임사항
大東輿地圖. 帖1-22 / 金正浩 著.
부출서명
대동도
개인저자
판사항
木板本(朝鮮)
발행사항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 哲宗 12(1861).
형태사항
22帖 : 地圖, 彩色圖 ; 31 ×20 ㎝.
일반주기
當저十二年辛酉(1861)古山子校刊
第1帖中第6-11面 筆書
表題: 大東圖
貴重本(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8호, 2018.1.31 지정).
第1帖中第6-11面 筆書
表題: 大東圖
貴重本(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8호, 2018.1.31 지정).
청구기호
2-11 42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원문 등 관련정보
링크 정보
책소개
1861년(철종12) 김정호가 제작한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 우리나라 전국지도이다. 한반도를 남북 22층으로 구분하여 하나의 층을 1첩으로 만들었고, 22첩의 지도를 상하로 연결하면 전국지도가 되게 하였다. 전체를 연결한 전국지도의 크기는 가로 3.3미터, 세로 7미터에 달한다. 도로에는 10리마다 점을 찍어 표시함으로써 여행할 때 이정(里程)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고 하천은 흑색으로 단선이나 쌍선을 사용하였으며 휴대하고 다니기에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대동여지도』는 위치의 설정에 있어서 중강진(中江鎭) 부근이 북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고 울릉도가 남쪽으로 내려온 것을 제외하면 오늘날의 지도라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정확하며,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가장 정확하고 정밀한 최대의 과학적 실측지도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대동여지도』는 위치의 설정에 있어서 중강진(中江鎭) 부근이 북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고 울릉도가 남쪽으로 내려온 것을 제외하면 오늘날의 지도라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정확하며,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가장 정확하고 정밀한 최대의 과학적 실측지도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