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4354cwm a2200433 k 4500 | ||
001 | 0000457042▲ | ||
005 | 20180520114310▲ | ||
007 | oe ▲ | ||
008 | 010928s1926 a ca D00a ▲ | ||
040 | ▼a221016 ▼d221016▲ | ||
041 | ▼achi▲ | ||
085 | 5 | ▼a2-9▲ | |
090 | ▼a2-9 ▼b9▲ | ||
245 | 0 | 0 | ▼a東萊府接倭事目抄 /▼d洪元杓 筆寫.▲ |
250 | ▼a筆寫本(未詳)▲ | ||
260 | ▼a[刊寫地未詳] :▼b[刊寫者未詳],▼c大正 15[1926].▲ | ||
300 | ▼a1冊(202張) :▼b四周單邊 半郭 24.1 ×15.1 ㎝, 有界, 10行20字, 白口, 上下向黑魚尾 ;▼c28.3 ×20.0 ㎝.▲ | ||
440 | 0 | 0 | ▼a韓中日關係史料抄▲ |
500 | ▼a19종 82책을 묶어서 한중일관계사료초라고 이름지음(문화재심사위원회에서 결정)▲ | ||
500 | ▼a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2호로 지정(2015.3.18)▲ | ||
500 | ▼a紋樣: 無. ▲ | ||
500 | ▼a筆寫記: 大正15(1926)▲ | ||
500 | 0 | 0 | ▼a雜題: 東萊府接倭事目抄▲ |
500 | ▼a裝幀: 假綴(2針x2)▲ | ||
500 | ▼a紙質: 美濃紙▲ | ||
500 | ▼a紋樣: 無 ▲ | ||
505 | 0 | 0 | ▼a(全20種82冊)--朝鮮王朝實錄(51冊), 備邊司謄錄(7冊), 承政院日記(4冊), 皇明實錄(2冊), 皇明實錄鈔(1冊), 孝宗顯宗肅宗實錄鈔(1冊), 宣祖修正實錄(1冊), 成宗實錄(2冊), 世宗實錄(1冊), 世宗實錄鈔(1冊), 朝鮮渡海記(1冊), 海行錄(1冊), 接待倭人事例(1冊), 東萊府接倭事目抄(1冊), 歲船定奪謄錄(2冊), 信使譯官渡數記(1冊), 朝鮮送使國次之書契覺(1冊), 朝鮮方科人帳(1冊), 對藩政事問答(1冊), 日鮮私貿易沿革略(1冊)▲ |
520 | ▼a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에서 작성(1926~1927년)한 자료이다. 이 중 한중일관계사료 71책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등과 중국의 황명실록(皇明實錄) 등을 바탕으로 조선과 일본, 부산과 일본, 명나라-조선․일본 간의 교류 등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것이며, 한일관계사료초 11책은 조선도해기(朝鮮渡海記), 해행록(海行錄), 접대왜인사례(接待倭人事例), 동래부접왜사목초(東萊府接倭事目抄), 세선정탈등록(歲船定奪謄錄), 신사역관도수기(信使譯官渡數記), 조선송사국차지서계각(朝鮮送使國次之書契覺), 조선방과인장(朝鮮方科人帳), 대번정사문답(對藩政事問答), 일선사무역연혁략(日鮮私貿易沿革略)에서 조선-일본, 부산-일본, 명나라-조선․일본 간의 교류 등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정리한 것.▲ | ||
520 | ▼a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는 1916년 1월 중추원 산하 조선반도사편찬위원회로 발족하여 1922년 12월 일본 민족의 우위성을 고취하고 역사교육을 통해 한국인의 민족의식을 배제하기 위해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찬위원회로 바꾸었다. 이후 학문적으로 더욱 권위 있는 기구로 만들기 위해 1925년 6월 조선사편수회로 명칭을 바꾸고 독립된 관청으로 격상되면서 조직이 확대 개편됨.▲ | ||
520 | ▼a이 자료집은 조선사편수회에서 한국사 및 한일관계 또는 한중․중일관계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의 사서를 발췌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사료적 가치는 높지 않으나,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의 주도로 한일관계사는 물론이고 한국사 및 일본사 정리 및 왜곡 과정에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많아 1900년대 초 일본 주도의 한국사 연구 실체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 ||
520 | ▼a일제강점기 조선사편수회의 업무 및 운영 형태를 이해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며, 국내에 현존하는 유일본으로 희소성 면에서도 자료적 가치가 높다.▲ | ||
590 | ▼q狀態: 普通▲ | ||
650 | ▼a史部 ▼x史초類▲ | ||
700 | 1 | ▼a홍원표,▼e필사▲ | |
740 | ▼a동래부접왜사목초▲ | ||
856 | 4 | ▼uhttp://dcollection.pusan.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4724 ▼y원문보기▲ | |
900 | 1 | 1 | ▼a중촌, 영효,▼d1902-1984▲ |
900 | 1 | 1 | ▼a나카무라, 히데타카,▼d1902-1984▲ |
999 | ▼a이봉심 ▼b강연옥▼c이철찬▲ |
東萊府接倭事目抄
자료유형
국내고서
서명/책임사항
東萊府接倭事目抄 / 洪元杓 筆寫.
부출서명
동래부접왜사목초
개인저자
판사항
筆寫本(未詳)
발행사항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 大正 15[1926].
형태사항
1冊(202張) : 四周單邊 半郭 24.1 ×15.1 ㎝, 有界, 10行20字, 白口, 上下向黑魚尾 ; 28.3 ×20.0 ㎝.
총서사항
일반주기
19종 82책을 묶어서 한중일관계사료초라고 이름지음(문화재심사위원회에서 결정)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2호로 지정(2015.3.18)
紋樣: 無.
筆寫記: 大正15(1926)
雜題: 東萊府接倭事目抄
裝幀: 假綴(2針x2)
紙質: 美濃紙
紋樣: 無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2호로 지정(2015.3.18)
紋樣: 無.
筆寫記: 大正15(1926)
雜題: 東萊府接倭事目抄
裝幀: 假綴(2針x2)
紙質: 美濃紙
紋樣: 無
내용주기
(全20種82冊)--朝鮮王朝實錄(51冊), 備邊司謄錄(7冊), 承政院日記(4冊), 皇明實錄(2冊), 皇明實錄鈔(1冊), 孝宗顯宗肅宗實錄鈔(1冊), 宣祖修正實錄(1冊), 成宗實錄(2冊), 世宗實錄(1冊), 世宗實錄鈔(1冊), 朝鮮渡海記(1冊), 海行錄(1冊), 接待倭人事例(1冊), 東萊府接倭事目抄(1冊), 歲船定奪謄錄(2冊), 信使譯官渡數記(1冊), 朝鮮送使國次之書契覺(1冊), 朝鮮方科人帳(1冊), 對藩政事問答(1冊), 日鮮私貿易沿革略(1冊)
요약주기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에서 작성(1926~1927년)한 자료이다. 이 중 한중일관계사료 71책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등과 중국의 황명실록(皇明實錄) 등을 바탕으로 조선과 일본, 부산과 일본, 명나라-조선․일본 간의 교류 등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것이며, 한일관계사료초 11책은 조선도해기(朝鮮渡海記), 해행록(海行錄), 접대왜인사례(接待倭人事例), 동래부접왜사목초(東萊府接倭事目抄), 세선정탈등록(歲船定奪謄錄), 신사역관도수기(信使譯官渡數記), 조선송사국차지서계각(朝鮮送使國次之書契覺), 조선방과인장(朝鮮方科人帳), 대번정사문답(對藩政事問答), 일선사무역연혁략(日鮮私貿易沿革略)에서 조선-일본, 부산-일본, 명나라-조선․일본 간의 교류 등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정리한 것./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는 1916년 1월 중추원 산하 조선반도사편찬위원회로 발족하여 1922년 12월 일본 민족의 우위성을 고취하고 역사교육을 통해 한국인의 민족의식을 배제하기 위해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찬위원회로 바꾸었다. 이후 학문적으로 더욱 권위 있는 기구로 만들기 위해 1925년 6월 조선사편수회로 명칭을 바꾸고 독립된 관청으로 격상되면서 조직이 확대 개편됨./이 자료집은 조선사편수회에서 한국사 및 한일관계 또는 한중․중일관계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의 사서를 발췌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사료적 가치는 높지 않으나,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의 주도로 한일관계사는 물론이고 한국사 및 일본사 정리 및 왜곡 과정에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많아 1900년대 초 일본 주도의 한국사 연구 실체를 보여주는 자료이다./일제강점기 조선사편수회의 업무 및 운영 형태를 이해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며, 국내에 현존하는 유일본으로 희소성 면에서도 자료적 가치가 높다./
청구기호
2-9 9
원문 등 관련정보
링크 정보
책소개
이 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에서 작성한 자료로 19종 82책으로 1926-1927년에 작성한 것이다. 한중일관계사료 71책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등과 중국의 황명실록(皇明實錄) 등을 바탕으로 조선과 일본, 부산과 일본, 명나라-조선․일본 간의 교류 등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것이다.
한일관계사료초 11책은 조선도해기(朝鮮渡海記), 해행록(海行錄), 접대왜인사례(接待倭人事例), 동래부접왜사목초(東萊府接倭事目抄), 세선정탈등록(歲船定奪謄錄), 신사역관도수기(信使譯官渡數記), 조선송사국차지서계각(朝鮮送使國次之書契覺), 조선방과인장(朝鮮方科人帳), 대번정사문답(對藩政事問答), 일선사무역연혁략(日鮮私貿易沿革略)에서 조선-일본, 부산-일본, 명나라-조선․일본 간의 교류 등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정리한 것이다.
이 자료집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의 주도로 한일관계사는 물론이고 한국사 및 일본사 정리 및 왜곡 과정에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많아 1900년대 초 일본 주도의 한국사 연구 실체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또한 일제강점기 조선사편수회의 업무 및 운영 형태를 이해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며, 국내에 현존하는 유일본으로 희소성 면에서도 자료적 가치가 높다.
한일관계사료초 11책은 조선도해기(朝鮮渡海記), 해행록(海行錄), 접대왜인사례(接待倭人事例), 동래부접왜사목초(東萊府接倭事目抄), 세선정탈등록(歲船定奪謄錄), 신사역관도수기(信使譯官渡數記), 조선송사국차지서계각(朝鮮送使國次之書契覺), 조선방과인장(朝鮮方科人帳), 대번정사문답(對藩政事問答), 일선사무역연혁략(日鮮私貿易沿革略)에서 조선-일본, 부산-일본, 명나라-조선․일본 간의 교류 등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정리한 것이다.
이 자료집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의 주도로 한일관계사는 물론이고 한국사 및 일본사 정리 및 왜곡 과정에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많아 1900년대 초 일본 주도의 한국사 연구 실체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또한 일제강점기 조선사편수회의 업무 및 운영 형태를 이해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며, 국내에 현존하는 유일본으로 희소성 면에서도 자료적 가치가 높다.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