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1057cwm a2200301 k 4500 | ||
001 | 0000456078▲ | ||
005 | 20180519165751▲ | ||
007 | oe ▲ | ||
008 | 010918n ab cg hC00a d ▲ | ||
040 | ▼a221016 ▼d221016▲ | ||
041 | ▼achi▲ | ||
085 | 5 | ▼a2-7▲ | |
090 | ▼a2-7 ▼b58▲ | ||
245 | 0 | 0 | ▼a三綱行實圖.▼n冊1-2 /▼d설循 奉命撰.▲ |
250 | ▼a木板本(未詳)▲ | ||
260 | ▼a[刊寫地未詳] :▼b[刊寫者未詳],▼c[刊寫年未詳].▲ | ||
300 | ▼a2冊 :▼b揷圖, 四周雙邊 半郭 24.1 ×16.5 ㎝, 有界, 13行12字, 白口, 上下內向2葉花紋魚尾 ;▼c37.0 x 21.9 cm.▲ | ||
500 | ▼a裝幀: 線裝(5針).▲ | ||
500 | ▼a紙質: 楮紙.▲ | ||
500 | ▼a紋樣: 無 ▲ | ||
500 | ▼a序: 宣德七年(1432)...權採奉敎序▲ | ||
500 | 0 | 0 | ▼a諺解本임▲ |
590 | ▼a狀態: 얼룩,말림,손때,부분훼손▲ | ||
650 | ▼a史部▼x傳記類▲ | ||
700 | 1 | ▼a설순▲ | |
856 | 4 | ▼uhttp://dcollection.pusan.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01067▼y원문보기▲ | |
890 | ▼h245설▲ | ||
999 | ▼a이종윤▼b최민영▼c최덕수▲ |
원문 등 관련정보
링크 정보
책소개
세종의 명에 의해 간행된 『삼강행실도』는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등과 함께 전 백성을 대상으로 한 조선시대 윤리도덕 교과서이며, 그 중 가장 먼저 편찬․간행되었고 가장 많이 읽힌 책이다. 또한 사례마다 삽화가 수록되어 있어 조선조 삽화본의 대표적 예로도 유명하다.
부산대학교도서관 소장 『삼강행실도』는 2책으로 편철된 목판본이다. 전존되고 있는 대부분의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1책으로 장정되어 있는데 반해 이 책은 2책으로 분장되어 있는데, 책1에는 서문과 충신도가 수록되어 있고 책2에는 효자도와 열녀도가 수록되어 있다. 언어 사실이나 표기법으로 보아 1581년(선조 14)의 중간본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책은 17세기~18세기 초 사이에 판각하여 후쇄한 것으로 추정되고 판각년도도 불명확하지만,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조선시대의 윤리 및 가치관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며, 국어사․회화사 연구에도 내용상 매우 중요한 책이다.
부산대학교도서관 소장 『삼강행실도』는 2책으로 편철된 목판본이다. 전존되고 있는 대부분의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1책으로 장정되어 있는데 반해 이 책은 2책으로 분장되어 있는데, 책1에는 서문과 충신도가 수록되어 있고 책2에는 효자도와 열녀도가 수록되어 있다. 언어 사실이나 표기법으로 보아 1581년(선조 14)의 중간본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책은 17세기~18세기 초 사이에 판각하여 후쇄한 것으로 추정되고 판각년도도 불명확하지만,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조선시대의 윤리 및 가치관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며, 국어사․회화사 연구에도 내용상 매우 중요한 책이다.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