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1015cam a2200289 c 4500 | ||
001 | 0000450696▲ | ||
005 | 20180520123110▲ | ||
007 | ta▲ | ||
008 | 010706s2001 ulk b 000c kor▲ | ||
020 | ▼a8937424754▼g03300 :▼c₩150000▲ | ||
020 | ▼a9788937424755▼g03300 :▼c₩16000▲ | ||
040 | ▼a221016▼d221016▲ | ||
041 | 1 | ▼akor▼heng▲ | |
082 | 0 | 0 | ▼a650.0285▼223▲ |
090 | ▼a650.0285▼bR564a한▲ | ||
100 | 1 | ▼aRifkin, Jeremy,▼d1945-▼0312990▲ | |
245 | 1 | 0 | ▼a소유의 종말 /▼d제러미 리프킨 저 ;▼e이희재 옮김▲ |
246 | 1 | 9 | ▼aThe age of access :▼bthe new culture of hypercapitalism, where all of life is a paid-for experience▲ |
246 | 3 | 9 | ▼aAge of access :▼bthe new culture of hypercapitalism, where all of life is a paid-for experience▲ |
260 | ▼a서울 :▼b민음사,▼c2001▼g(2016 52쇄)▲ | ||
300 | ▼a447 p. ;▼c23 cm▲ | ||
500 | ▼a원저자명: Jeremy Rifkin▲ | ||
504 | ▼a주: p. 393-439▲ | ||
653 | ▼a산업시대▼a소유시대▲ | ||
700 | 1 | ▼a이희재,▼d1961-▼062548▲ | |
900 | 1 | 1 | ▼a리프킨, 제러미▲ |
999 | ▼a김명숙▼b구미선▼c안정화▲ |
소유의 종말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소유의 종말 / 제러미 리프킨 저 ; 이희재 옮김
원서명
The age of access : the new culture of hypercapitalism, where all of life is a paid-for experience
개인저자
발행사항
서울 : 민음사 , 2001
형태사항
447 p. ; 23 cm
일반주기
원저자명: Jeremy Rifkin
서지주기
주: p. 393-439
ISBN
8937424754
9788937424755
9788937424755
청구기호
650.0285 R564a한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원문 등 관련정보
효원인 감동공유 추천글
제목: 소유의 종말
학과: 경영학과, 이름: 박*해, 선정연도: 2012
추천내용: 어떤 대학생이든 미래를 고민을 한다. 아니, 인간이라면 짧게는 내일에서부터 길게는 수십 년 후를 고민한다. 하지만 누구도 완벽하게 고민의 해결책을 말해 줄 순 없다.항상 미래는‘예측’일 뿐이다.
이러한 불확실한 미래를 뛰어난 식견으로 아주 정확하게 판단한 사람이 있다. 바로 제레미 리프킨이다.제레미 리프킨은 이 책에서 미래에 인간들의 소유의 방식이 어떻게 변할 것인지 예측하고 있다.언뜻 소유의 방식이 변한다는 말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는 시간이 지날수록 인간들이 소유보다는 접속의 형태로 사물을 보유할 것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을 사서 소유하지 않고 일정기간 사용할 수 있는 권리에 접속함으로써 짧은 시간만 사용한다는 것이다.
소유가 점점 사라지고 접속이 늘어나는 이유는 시대의 변화 속도에 있다.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휴대폰,TV,냉장고,자동차 등 샐 수 없는 신제품들이 나와 있다.이러한 상황에서 소유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제품을 단기적으로만 사용함으로써 늘 새로운 시대를 느껴가는 것이다.
제레미 리프킨은 이러한 변화에 맞춰 보이지 않는 재산,지적 재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지식이야말로 빠른 변화의 뿌리가 되며,부의 척도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지식을 가진 사람은 지식이 없는 사람에게 자신의 지식에 접속할 권리를 제공한다. 이는 곧 지식에 접속하는 사람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특허권이 그 예이다. 제약회사의 작은 특허권 하나가 전 세계의 질병으로부터 막대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놀랍게도 이러한 이 책의 내용들은 10년 전에 쓰인 책이다. 이 책은 이미 놀라울 도로 지금 사회와 닮아있다. 그의 예리한 통찰력은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려는 대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나는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이 책을 읽어,올바른 방향으로 또 현명한 방법으로 미래를 준비해 나갔으면 좋겠다.
학과: 경영학과, 이름: 박*해, 선정연도: 2012
추천내용: 어떤 대학생이든 미래를 고민을 한다. 아니, 인간이라면 짧게는 내일에서부터 길게는 수십 년 후를 고민한다. 하지만 누구도 완벽하게 고민의 해결책을 말해 줄 순 없다.항상 미래는‘예측’일 뿐이다.
이러한 불확실한 미래를 뛰어난 식견으로 아주 정확하게 판단한 사람이 있다. 바로 제레미 리프킨이다.제레미 리프킨은 이 책에서 미래에 인간들의 소유의 방식이 어떻게 변할 것인지 예측하고 있다.언뜻 소유의 방식이 변한다는 말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는 시간이 지날수록 인간들이 소유보다는 접속의 형태로 사물을 보유할 것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을 사서 소유하지 않고 일정기간 사용할 수 있는 권리에 접속함으로써 짧은 시간만 사용한다는 것이다.
소유가 점점 사라지고 접속이 늘어나는 이유는 시대의 변화 속도에 있다.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휴대폰,TV,냉장고,자동차 등 샐 수 없는 신제품들이 나와 있다.이러한 상황에서 소유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제품을 단기적으로만 사용함으로써 늘 새로운 시대를 느껴가는 것이다.
제레미 리프킨은 이러한 변화에 맞춰 보이지 않는 재산,지적 재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지식이야말로 빠른 변화의 뿌리가 되며,부의 척도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지식을 가진 사람은 지식이 없는 사람에게 자신의 지식에 접속할 권리를 제공한다. 이는 곧 지식에 접속하는 사람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특허권이 그 예이다. 제약회사의 작은 특허권 하나가 전 세계의 질병으로부터 막대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놀랍게도 이러한 이 책의 내용들은 10년 전에 쓰인 책이다. 이 책은 이미 놀라울 도로 지금 사회와 닮아있다. 그의 예리한 통찰력은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려는 대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나는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이 책을 읽어,올바른 방향으로 또 현명한 방법으로 미래를 준비해 나갔으면 좋겠다.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