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5025namka2200709 k 4500 | ||
001 | 0000447852▲ | ||
005 | 20180519002039▲ | ||
007 | ta▲ | ||
008 | 010525s2001 ulka 000a kor▲ | ||
020 | 1 | ▼a8982065660(세트)▲ | |
040 | ▼a221016▼d221016▲ | ||
082 | 0 | ▼a811.081▼221▲ | |
090 | ▼a811.081▼b이95ㅇ▲ | ||
100 | 1 | ▼a이호철,▼g李浩哲,▼d1932-2016▼0181447▲ | |
245 | 1 | 0 | ▼a이호철 문학선집/▼d이호철 저.▼n1-7▲ |
260 | ▼a서울:▼b국학자료원,▼c2001.▲ | ||
300 | ▼a7 책:▼b삽도;▼c24 cm.▲ | ||
505 | 0 | ▼av.1, 소시민. - 심천도. - v.2, 문. - 물은 흘러서 강. - v.3, 남녁사람 북녁사람. - 4월과 5월. - v.4, 1970년의 죽음. - 무너앉는 소리. - 퇴역 선암하사. -판문점. - 1기 졸업생(1). - 1기 졸업생(2). - 1기 졸업생(3). - 자유만복. - 비껴 부는 바람. - 어떤 父子 이야기. - 天上天下. - 덫. - 밀려나는 사람들. - 타인의 땅. - v.5, 탈향. - 나상. - 빈 골짜기. - 오돌 할멈. - 짙은 노을. - 탈각. - 만조. - 파열구. - 먼지 속 서정. - 권태. - 아침. - 용암류. - 닳아지는 살들. - 등기수속. - 추운 저녁의 무더움. - 첫 전투. - 부시장 부임지로 안 가다. - 서빙고 역전 풍경. - 1965년, 어느 이발소에서. - 물 마시는 짐승. - 시제터 유람객. - 탈사육자 회의. - 울 안과 울 밖. - 토요일. - 큰 산. - 여벌집. - 소슬한 밤의 이야기. - 이단자(4). - 밤바람소리. - 추일소춘사. - 생일초대. - 도주. - 반상회. - 새해 즐거운 이야기. - 결별. - 요지경. - v.6, 이호철 소설의 일반론 및 작품론, 묵계와 배신-이호철론/천이두. - 관조자의 세계-이호철론/김치수. - 소시민의 일상과 증언의 문학-이호철론/이보영. - 이호철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간적 대응/구중서. - 작가와 소시민-이호철의 작품세계/백낙청. - 복수의 시성-이호철론/김상일. - 소설가와 예술가의 갈등-이호철의 작품세계/김윤식. - 이호철의 소설, 닫힘과 열림의 세계/권영민. - 이호철의 풍자소설/민현기. - 개인사에 음각된 민족사-60~80년대 단편들을 중심으로/염무웅. - 실향민의 비원과 통일에의 염원-이호철론/채광석. -실향민의 문학-「소시민」을 중심으로/정명환. -60년대적 순진성과 그 풍속-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김병익. - 분단시대 소시민의 거울-이호철의 소설세계/임헌영. - 비웃음의 70년대적 연대기-「재미있는 세상」의 세계/유종호. - 뿌리내리기의 어려움-「남풍북풍」,「까레이 우라」/성민엽. - 역사의 격류를 헤쳐 나가기-개화와 척사/전영태. - 1960년대의 세태소설-이호철의「소시민」과 「심천도」/최원식. - 基一人間, 基二小說家 李浩哲先生小論 역사와 개인-「카레이 우라」/김정환. - 서늘한 맑음, 감각의 문학/정호웅. - 작가의 체험과 소설적 자아-「남녁사람 북녁사람」을 중심으로/임규찬. - 성지와 속지, 그 공간의 형상화 의미/이상갑. - 이호철의 소시민 연구/강진호. - 세태의 실감과 화법의 매력-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이동하. - 체험과 회상의 두 가지 양식/한수영. - 안으로부터 열리는 새로운 관계성에의 탐색-이호철론/권명아. - 이호철 소설에서의 상황성과 역사성-「무너앉는 소리」연작을 중심으로/채호석. - 비대한 풍속, 왜소한 이년-이호철의「소시민」론/구모룡. - 이호철의 「남녁사람 북녁사람」론/김재영.- v.7, 이호철 소설 연구, 새로운 현실로 나아가기 위한 현실 검증과 그 새김-「탈향」.「나상」을 중심으로. 분단 현실과 소시민. - 1970년대 일상인의 조건-「이단자」,「문」91. - 다른 이유, 하나여야 할 까닭, 하나일 수 있는 조건-「남녘 사람 북녘 사람」. - 과거와 현재의 만남, 몸의 정치학. - 1960년대 한국적 근대의 비동일성에 대한 소설적 성찰-이호철의「소시민」론/구재진. - 이호철 소설의 볌모과정 연구/김원철. - 이호철의 「닳아지는 살들」에 나타난 담론 연구/문재호. - 이호철론-이호철 초기문학의 시간의식 연구/김미란. - 이호철의 분단의식 연구/윤성원. - 이호철 소설의 한 연구/이명귀. - 이호철 소설 연구, 소외와 그 극복 양식을 중심으로/김정남. - 이호철 귀향의식 연구-중.단편 소설을 중심으로/서선재.▲ | |
700 | 1 | ▼a천이두/▼t묵계와 배신-이호철론;▼n6▲ | |
700 | 1 | ▼a김치수/▼t관조자의 세계-이호철론;▼n6▲ | |
700 | 1 | ▼a이보영/▼t소시민의 일상과 증언의 문학-이호철론;▼n6▲ | |
700 | 1 | ▼a구중서/▼t이호철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간적 대응;▼n6▲ | |
700 | 1 | ▼a백낙청/▼t작가와 소시민-이호철의 작품세계;▼n6▲ | |
700 | 1 | ▼a김상일/▼t복수의 시성-이호철론;▼n6▲ | |
700 | 1 | ▼a김윤식/▼t소설가와 예술가의 갈등-이호철의 작품세계;▼n6▲ | |
700 | 1 | ▼a권영민/▼t이호철의 소설, 닫힘과 열림의 세계;▼n6▲ | |
700 | 1 | ▼a민현기/▼t이호철의 풍자소설;▼n6▲ | |
700 | 1 | ▼a염무웅/▼t개인사에 음각된 민족사-60~80년대 단편들을 중심으로;▼n6▲ | |
700 | 1 | ▼a채광석/▼t실향민의 비원과 통일에의 염원-이호철론;▼n6▲ | |
700 | 1 | ▼a정명환/▼t실향민의 문학-소시민을 중심으로;▼n6▲ | |
700 | 1 | ▼a김병익/▼t60년대적 순진성과 그 풍속-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n6▲ | |
700 | 1 | ▼a임헌영/▼t분단시대 소시민의 거울-이호철의 소설세계;▼n6▲ | |
700 | 1 | ▼a유종호/▼t비웃음의 70년재적 연대기-재미있는 세상의 세계;▼n6▲ | |
700 | 1 | ▼a성민엽/▼t뿌리내리기의 어려움-남풍북풍, 까레이 우라;▼n6▲ | |
700 | 1 | ▼a전영태/▼t역사의 격류를 헤쳐 나가기- 개화와 척사;▼n6▲ | |
700 | 1 | ▼a최원식/▼t1960년대의 세태소설-이호철의 소시민과 심천도;▼n6▲ | |
700 | 1 | ▼a김정환/▼t기일인간, 기이소설가 이호철선생소론 역사와 개인-카레이 우라;▼n6▲ | |
700 | 1 | ▼a정호웅/▼t서늘한 맑음, 감각의 문학;▼n6▲ | |
700 | 1 | ▼a임규찬/▼t작가의 체험과 소설적 자아-남녁사람 북녁사람을 중심으로;▼n6▲ | |
700 | 1 | ▼a이상갑/▼t성지와 속지, 그 공간의 형상화 의미;▼n6▲ | |
700 | 1 | ▼a강진호/▼t이호철의 소시민 연구;▼n6▲ | |
700 | 1 | ▼a이동하/▼t세태의 실감과 화법의 매력-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n6▲ | |
700 | 1 | ▼a한수영/▼t체험과 회상의 두 가지 양식;▼n6▲ | |
700 | 1 | ▼a권명아/▼t안으로부터 열리는 새로운 관계성에의 탐색-이호철론;▼n6▲ | |
700 | 1 | ▼a채호석/▼t이호철 소설에서의 상황성과 역사성-무너앉는 소리, 연작을 중심으로;▼n6▲ | |
700 | 1 | ▼a구모룡/▼t비대한 풍속, 왜소한 이념-이호철의 소시민론;▼n6▲ | |
700 | 1 | ▼a김재영/▼t이호철의 남녘사람 북녘사람론;▼n6▲ | |
700 | 1 | ▼a이호규/▼t새로운 현실로 나아가기 위한 현실 검증과 그 새김-탈향.나상을 중심으로.▼t분단 현실과 소시민.▼t1970년대 일상인의 조건-이단자, 문 91.▼t다른 이유, 하나여야 할 까닭, 하나일 수 있는 조건-남녘 사람 북녘 사람.▼t과거와 현재의 만남, 몸의 정치학;▼n7▲ | |
700 | 1 | ▼a구재진/▼t1960년대 한국적 근대의 비동일성에 대한 소설적 성찰-이호철의 소시민론;▼n7▲ | |
700 | 1 | ▼a김원철/▼t이호철 소설의 변모과정 연구;▼n7▲ | |
700 | 1 | ▼a문재호/▼t이호철의 닳아지는 살들에 나타난 담론 연구;▼n7▲ | |
700 | 1 | ▼a김미란/▼t이호철론-이호철 초기문학의 시간의식 연구;▼n7▲ | |
700 | 1 | ▼a윤성원/▼t이호철의 분단의식 연구;▼n7▲ | |
700 | 1 | ▼a이명귀/▼t이호철 소설의 한 연구;▼n7▲ | |
700 | 1 | ▼a김정남/▼t이호철 귀향의식 연구-중.단편 소설을 중심으로;▼n7▲ | |
740 | ▼a소시민.▼a심천도,▼n1▲ | ||
740 | ▼a문.▼a물은 흘러서 강,▼n2▲ | ||
740 | ▼a남녁사람 북녁사람.▼a4월과 5월,▼n3▲ | ||
740 | ▼a1970년의 죽음.▼a무너앉는 소리.▼a퇴역 선임하사.▼a판문점.▼a1기 졸업생(1).▼a1기 졸업생(2).▼a1기 졸업생(3).▼a자유만복.▼a비껴 부는 바람.▼a어떤 부자 이야기.▼a천상천하.▼a덫.▼a밀려나는 사람들.▼a타인의 땅,▼n4▲ | ||
740 | ▼a탈향.▼a나상.▼a빈 골짜기.▼a오돌 할멈.▼a짙은 노을.▼a탈각.▼a만조.▼a파열구.▼a먼지 속 서정.▼a권태.▼a아침.▼a용암류.▼a닳아지는 살들.▼a등기수속.▼a추운 저녁의 무더움.▼a첫 전투.▼a부시장 부임지로 안 가다.▼a서빙고 역전 풍경.▼a1965년, 어느 이발소에서.▼a물 마시는 짐승.▼a시제터 유람객.▼a탈사육자 회의.▼a울 안과 울 밖.▼a토요일.▼a큰산.▼a여벌집.▼a소슬한 밤의 이야기.▼a이단자(4).▼a밤바람소리.▼a추일소춘사.▼a생일초대.▼a도주.▼a반상회.▼a새해 즐거운 이야기.▼a결별.▼a요지경,▼n5▲ | ||
950 | 0 | ▼b₩▲ | |
999 | ▼a김명숙▼b김명숙▲ |

이호철 문학선집 1-7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이호철 문학선집 / 이호철 저. 1-7
부출서명
소시민.;심천도;, 1
문.;물은 흘러서 강;, 2
남녁사람 북녁사람.;4월과 5월;, 3
1970년의 죽음.;무너앉는 소리.;퇴역 선임하사.;판문점.;1기 졸업생(1).;1기 졸업생(2).;1기 졸업생(3).;자유만복.;비껴 부는 바람.;어떤 부자 이야기.;천상천하.;덫.;밀려나는 사람들.;타인의 땅;, 4
탈향.;나상.;빈 골짜기.;오돌 할멈.;짙은 노을.;탈각.;만조.;파열구.;먼지 속 서정.;권태.;아침.;용암류.;닳아지는 살들.;등기수속.;추운 저녁의 무더움.;첫 전투.;부시장 부임지로 안 가다.;서빙고 역전 풍경.;1965년, 어느 이발소에서.;물 마시는 짐승.;시제터 유람객.;탈사육자 회의.;울 안과 울 밖.;토요일.;큰산.;여벌집.;소슬한 밤의 이야기.;이단자(4).;밤바람소리.;추일소춘사.;생일초대.;도주.;반상회.;새해 즐거운 이야기.;결별.;요지경;, 5
문.;물은 흘러서 강;, 2
남녁사람 북녁사람.;4월과 5월;, 3
1970년의 죽음.;무너앉는 소리.;퇴역 선임하사.;판문점.;1기 졸업생(1).;1기 졸업생(2).;1기 졸업생(3).;자유만복.;비껴 부는 바람.;어떤 부자 이야기.;천상천하.;덫.;밀려나는 사람들.;타인의 땅;, 4
탈향.;나상.;빈 골짜기.;오돌 할멈.;짙은 노을.;탈각.;만조.;파열구.;먼지 속 서정.;권태.;아침.;용암류.;닳아지는 살들.;등기수속.;추운 저녁의 무더움.;첫 전투.;부시장 부임지로 안 가다.;서빙고 역전 풍경.;1965년, 어느 이발소에서.;물 마시는 짐승.;시제터 유람객.;탈사육자 회의.;울 안과 울 밖.;토요일.;큰산.;여벌집.;소슬한 밤의 이야기.;이단자(4).;밤바람소리.;추일소춘사.;생일초대.;도주.;반상회.;새해 즐거운 이야기.;결별.;요지경;, 5
개인저자
이호철 , 李浩哲 , 1932-2016
천이두 / 묵계와 배신-이호철론 ; 6
김치수 / 관조자의 세계-이호철론 ; 6
이보영 / 소시민의 일상과 증언의 문학-이호철론 ; 6
구중서 / 이호철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간적 대응 ; 6
백낙청 / 작가와 소시민-이호철의 작품세계 ; 6
김상일 / 복수의 시성-이호철론 ; 6
김윤식 / 소설가와 예술가의 갈등-이호철의 작품세계 ; 6
권영민 / 이호철의 소설, 닫힘과 열림의 세계 ; 6
민현기 / 이호철의 풍자소설 ; 6
염무웅 / 개인사에 음각된 민족사-60~80년대 단편들을 중심으로 ; 6
채광석 / 실향민의 비원과 통일에의 염원-이호철론 ; 6
정명환 / 실향민의 문학-소시민을 중심으로 ; 6
김병익 / 60년대적 순진성과 그 풍속-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 ; 6
임헌영 / 분단시대 소시민의 거울-이호철의 소설세계 ; 6
유종호 / 비웃음의 70년재적 연대기-재미있는 세상의 세계 ; 6
성민엽 / 뿌리내리기의 어려움-남풍북풍, 까레이 우라 ; 6
전영태 / 역사의 격류를 헤쳐 나가기- 개화와 척사 ; 6
최원식 / 1960년대의 세태소설-이호철의 소시민과 심천도 ; 6
김정환 / 기일인간, 기이소설가 이호철선생소론 역사와 개인-카레이 우라 ; 6
정호웅 / 서늘한 맑음, 감각의 문학 ; 6
임규찬 / 작가의 체험과 소설적 자아-남녁사람 북녁사람을 중심으로 ; 6
이상갑 / 성지와 속지, 그 공간의 형상화 의미 ; 6
강진호 / 이호철의 소시민 연구 ; 6
이동하 / 세태의 실감과 화법의 매력-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 ; 6
한수영 / 체험과 회상의 두 가지 양식 ; 6
권명아 / 안으로부터 열리는 새로운 관계성에의 탐색-이호철론 ; 6
채호석 / 이호철 소설에서의 상황성과 역사성-무너앉는 소리, 연작을 중심으로 ; 6
구모룡 / 비대한 풍속, 왜소한 이념-이호철의 소시민론 ; 6
김재영 / 이호철의 남녘사람 북녘사람론 ; 6
이호규 / 새로운 현실로 나아가기 위한 현실 검증과 그 새김-탈향.나상을 중심으로. 분단 현실과 소시민. 1970년대 일상인의 조건-이단자, 문 91. 다른 이유, 하나여야 할 까닭, 하나일 수 있는 조건-남녘 사람 북녘 사람. 과거와 현재의 만남, 몸의 정치학 ; 7
구재진 / 1960년대 한국적 근대의 비동일성에 대한 소설적 성찰-이호철의 소시민론 ; 7
김원철 / 이호철 소설의 변모과정 연구 ; 7
문재호 / 이호철의 닳아지는 살들에 나타난 담론 연구 ; 7
김미란 / 이호철론-이호철 초기문학의 시간의식 연구 ; 7
윤성원 / 이호철의 분단의식 연구 ; 7
이명귀 / 이호철 소설의 한 연구 ; 7
김정남 / 이호철 귀향의식 연구-중.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 7
천이두 / 묵계와 배신-이호철론 ; 6
김치수 / 관조자의 세계-이호철론 ; 6
이보영 / 소시민의 일상과 증언의 문학-이호철론 ; 6
구중서 / 이호철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간적 대응 ; 6
백낙청 / 작가와 소시민-이호철의 작품세계 ; 6
김상일 / 복수의 시성-이호철론 ; 6
김윤식 / 소설가와 예술가의 갈등-이호철의 작품세계 ; 6
권영민 / 이호철의 소설, 닫힘과 열림의 세계 ; 6
민현기 / 이호철의 풍자소설 ; 6
염무웅 / 개인사에 음각된 민족사-60~80년대 단편들을 중심으로 ; 6
채광석 / 실향민의 비원과 통일에의 염원-이호철론 ; 6
정명환 / 실향민의 문학-소시민을 중심으로 ; 6
김병익 / 60년대적 순진성과 그 풍속-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 ; 6
임헌영 / 분단시대 소시민의 거울-이호철의 소설세계 ; 6
유종호 / 비웃음의 70년재적 연대기-재미있는 세상의 세계 ; 6
성민엽 / 뿌리내리기의 어려움-남풍북풍, 까레이 우라 ; 6
전영태 / 역사의 격류를 헤쳐 나가기- 개화와 척사 ; 6
최원식 / 1960년대의 세태소설-이호철의 소시민과 심천도 ; 6
김정환 / 기일인간, 기이소설가 이호철선생소론 역사와 개인-카레이 우라 ; 6
정호웅 / 서늘한 맑음, 감각의 문학 ; 6
임규찬 / 작가의 체험과 소설적 자아-남녁사람 북녁사람을 중심으로 ; 6
이상갑 / 성지와 속지, 그 공간의 형상화 의미 ; 6
강진호 / 이호철의 소시민 연구 ; 6
이동하 / 세태의 실감과 화법의 매력-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 ; 6
한수영 / 체험과 회상의 두 가지 양식 ; 6
권명아 / 안으로부터 열리는 새로운 관계성에의 탐색-이호철론 ; 6
채호석 / 이호철 소설에서의 상황성과 역사성-무너앉는 소리, 연작을 중심으로 ; 6
구모룡 / 비대한 풍속, 왜소한 이념-이호철의 소시민론 ; 6
김재영 / 이호철의 남녘사람 북녘사람론 ; 6
이호규 / 새로운 현실로 나아가기 위한 현실 검증과 그 새김-탈향.나상을 중심으로. 분단 현실과 소시민. 1970년대 일상인의 조건-이단자, 문 91. 다른 이유, 하나여야 할 까닭, 하나일 수 있는 조건-남녘 사람 북녘 사람. 과거와 현재의 만남, 몸의 정치학 ; 7
구재진 / 1960년대 한국적 근대의 비동일성에 대한 소설적 성찰-이호철의 소시민론 ; 7
김원철 / 이호철 소설의 변모과정 연구 ; 7
문재호 / 이호철의 닳아지는 살들에 나타난 담론 연구 ; 7
김미란 / 이호철론-이호철 초기문학의 시간의식 연구 ; 7
윤성원 / 이호철의 분단의식 연구 ; 7
이명귀 / 이호철 소설의 한 연구 ; 7
김정남 / 이호철 귀향의식 연구-중.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 7
발행사항
서울 : 국학자료원 , 2001.
형태사항
7 책 : 삽도 ; 24 cm.
내용주기
v.1, 소시민. - 심천도. - v.2, 문. - 물은 흘러서 강. - v.3, 남녁사람 북녁사람. - 4월과 5월. - v.4, 1970년의 죽음. - 무너앉는 소리. - 퇴역 선암하사. -판문점. - 1기 졸업생(1). - 1기 졸업생(2). - 1기 졸업생(3). - 자유만복. - 비껴 부는 바람. - 어떤 父子 이야기. - 天上天下. - 덫. - 밀려나는 사람들. - 타인의 땅. - v.5, 탈향. - 나상. - 빈 골짜기. - 오돌 할멈. - 짙은 노을. - 탈각. - 만조. - 파열구. - 먼지 속 서정. - 권태. - 아침. - 용암류. - 닳아지는 살들. - 등기수속. - 추운 저녁의 무더움. - 첫 전투. - 부시장 부임지로 안 가다. - 서빙고 역전 풍경. - 1965년, 어느 이발소에서. - 물 마시는 짐승. - 시제터 유람객. - 탈사육자 회의. - 울 안과 울 밖. - 토요일. - 큰 산. - 여벌집. - 소슬한 밤의 이야기. - 이단자(4). - 밤바람소리. - 추일소춘사. - 생일초대. - 도주. - 반상회. - 새해 즐거운 이야기. - 결별. - 요지경. - v.6, 이호철 소설의 일반론 및 작품론, 묵계와 배신-이호철론/천이두. - 관조자의 세계-이호철론/김치수. - 소시민의 일상과 증언의 문학-이호철론/이보영. - 이호철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간적 대응/구중서. - 작가와 소시민-이호철의 작품세계/백낙청. - 복수의 시성-이호철론/김상일. - 소설가와 예술가의 갈등-이호철의 작품세계/김윤식. - 이호철의 소설, 닫힘과 열림의 세계/권영민. - 이호철의 풍자소설/민현기. - 개인사에 음각된 민족사-60~80년대 단편들을 중심으로/염무웅. - 실향민의 비원과 통일에의 염원-이호철론/채광석. -실향민의 문학-「소시민」을 중심으로/정명환. -60년대적 순진성과 그 풍속-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김병익. - 분단시대 소시민의 거울-이호철의 소설세계/임헌영. - 비웃음의 70년대적 연대기-「재미있는 세상」의 세계/유종호. - 뿌리내리기의 어려움-「남풍북풍」,「까레이 우라」/성민엽. - 역사의 격류를 헤쳐 나가기-개화와 척사/전영태. - 1960년대의 세태소설-이호철의「소시민」과 「심천도」/최원식. - 基一人間, 基二小說家 李浩哲先生小論 역사와 개인-「카레이 우라」/김정환. - 서늘한 맑음, 감각의 문학/정호웅. - 작가의 체험과 소설적 자아-「남녁사람 북녁사람」을 중심으로/임규찬. - 성지와 속지, 그 공간의 형상화 의미/이상갑. - 이호철의 소시민 연구/강진호. - 세태의 실감과 화법의 매력-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이동하. - 체험과 회상의 두 가지 양식/한수영. - 안으로부터 열리는 새로운 관계성에의 탐색-이호철론/권명아. - 이호철 소설에서의 상황성과 역사성-「무너앉는 소리」연작을 중심으로/채호석. - 비대한 풍속, 왜소한 이년-이호철의「소시민」론/구모룡. - 이호철의 「남녁사람 북녁사람」론/김재영.- v.7, 이호철 소설 연구, 새로운 현실로 나아가기 위한 현실 검증과 그 새김-「탈향」.「나상」을 중심으로. 분단 현실과 소시민. - 1970년대 일상인의 조건-「이단자」,「문」91. - 다른 이유, 하나여야 할 까닭, 하나일 수 있는 조건-「남녘 사람 북녘 사람」. - 과거와 현재의 만남, 몸의 정치학. - 1960년대 한국적 근대의 비동일성에 대한 소설적 성찰-이호철의「소시민」론/구재진. - 이호철 소설의 볌모과정 연구/김원철. - 이호철의 「닳아지는 살들」에 나타난 담론 연구/문재호. - 이호철론-이호철 초기문학의 시간의식 연구/김미란. - 이호철의 분단의식 연구/윤성원. - 이호철 소설의 한 연구/이명귀. - 이호철 소설 연구, 소외와 그 극복 양식을 중심으로/김정남. - 이호철 귀향의식 연구-중.단편 소설을 중심으로/서선재.
ISBN
8982065660(세트)
청구기호
811.081 이95ㅇ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