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763cam a2200277 c 4500 | ||
001 | 0000180314▲ | ||
005 | 20180520105353▲ | ||
007 | ta▲ | ||
008 | 960528s1996 ulk b 000a kor▲ | ||
020 | ▼a8937422670▼g03300▲ | ||
040 | ▼a221016▼d221016▲ | ||
041 | 1 | ▼akor▼heng▲ | |
056 | ▼a336.013▲ | ||
082 | 0 | 0 | ▼a331.137042▼221▲ |
090 | ▼a331.137042▼bR564e한▲ | ||
100 | 1 | ▼aRifkin, Jeremy,▼d1945-▼0312990▲ | |
245 | 1 | 0 | ▼a노동의 종말 /▼d제레미 리프킨 저;▼e이영호 역▲ |
246 | 1 | 9 | ▼aThe end of work : the decline of the global labor force and the dawn of the post-market era▲ |
260 | ▼a서울 :▼b민음사,▼c1996▼g(2003)▲ | ||
300 | ▼a437 p. ;▼c24 cm▲ | ||
500 | ▼a원저자명: Jeremy Rifkin▲ | ||
504 | ▼a참고문헌 : p. 425 - 434▲ | ||
700 | 1 | ▼a이영호,▼g李榮浩,▼d1956-▼0312991▲ | |
900 | 1 | 1 | ▼a리프킨, 제레미▲ |
950 | 0 | ▼b₩12000▲ | |
999 | 0 | ▼b윤현희▼a0000312263▼c김정이▲ |
노동의 종말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노동의 종말 / 제레미 리프킨 저 ; 이영호 역
원서명
The end of work : the decline of the global labor force and the dawn of the post-market era
개인저자
발행사항
서울 : 민음사 , 1996
형태사항
437 p. ; 24 cm
일반주기
원저자명: Jeremy Rifkin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25 - 434
ISBN
8937422670
청구기호
331.137042 R564e한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원문 등 관련정보
효원인 감동공유 추천글
제목: 노동은 종말하지 않는다. 다만 변한다.
학과: 동물생명자연과학과, 이름: 김*주, 선정연도: 2016
추천내용: 2008년도 미국의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이번 미국대선에서도 볼수 있듯이 사회적 불평등이 극심해지고 있다. 그것이 표면적으로 나타난 지표가 실업률이다. 실업률은 인간의 노동을 기계가 대신함에 따라 그 만큼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그 감소한 만큼 실업자가 생기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공장에서 일하는 블루칼라 직종뿐만 아니라 사무실에 일하는 화이트칼라 직종또한 위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생산성의 진보가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해 점차적으로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경우, 생산성 효과로 창출된 모든 잠재적 신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소비자의 수요는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즉 기계에 의해 생산된 제품을 살 돈이 없다는 것이다. 그렇게 재고가 쌓이고 주식시장이 붕괴되어 1929년의 대공황과 같은 사태가 반복된다는 것이다.
저자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이 결과에 대해 이렇게 진단한다. “기계로 인해 단축된 노동시간으로 더 많은 여가를 택해야 한다.” 실업을 생산하는 것이 아닌 조금씩 조금씩만 일하자는 것이다. 다시말해 잡 셰어링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공유하자는 것이다.
그럴 경우 국가는 실업자에 대한 복지를 줄일수 있고 기업은 세금부담을 덜 수 있고 국민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미사용 노동력을 다른 비영리 일자리를 생산하여 투입하자는 것이다. 이를 저자는 제3세계 일자리라고 하였는데 가령 고령,독거노인에게 음식 배달 서비스 같은 것을 만들자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 유대 등을 돈독히 할 수 있고 자본주의로 인해 파괴된 연대, 자연환경들을 복구하여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지금 세계경제는 극심한 실업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그래서 반세계화 운동이 나오는 것이고 트럼프가 당선되거나 브렉시트등의 사태가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이 현상의 본질은 사람들이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자본주의가 발달하면 할수록 이런사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결국 국가에서 제도를 개선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회적 갈등이 벌어졌던 것이다.
이 책은 24년 전인 1993년도에 쓰여진 책이다. .저자의 방대한 조사능력과 통찰력에 놀라울 뿐이다.
학과: 동물생명자연과학과, 이름: 김*주, 선정연도: 2016
추천내용: 2008년도 미국의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이번 미국대선에서도 볼수 있듯이 사회적 불평등이 극심해지고 있다. 그것이 표면적으로 나타난 지표가 실업률이다. 실업률은 인간의 노동을 기계가 대신함에 따라 그 만큼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그 감소한 만큼 실업자가 생기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공장에서 일하는 블루칼라 직종뿐만 아니라 사무실에 일하는 화이트칼라 직종또한 위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생산성의 진보가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해 점차적으로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경우, 생산성 효과로 창출된 모든 잠재적 신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소비자의 수요는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즉 기계에 의해 생산된 제품을 살 돈이 없다는 것이다. 그렇게 재고가 쌓이고 주식시장이 붕괴되어 1929년의 대공황과 같은 사태가 반복된다는 것이다.
저자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이 결과에 대해 이렇게 진단한다. “기계로 인해 단축된 노동시간으로 더 많은 여가를 택해야 한다.” 실업을 생산하는 것이 아닌 조금씩 조금씩만 일하자는 것이다. 다시말해 잡 셰어링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공유하자는 것이다.
그럴 경우 국가는 실업자에 대한 복지를 줄일수 있고 기업은 세금부담을 덜 수 있고 국민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미사용 노동력을 다른 비영리 일자리를 생산하여 투입하자는 것이다. 이를 저자는 제3세계 일자리라고 하였는데 가령 고령,독거노인에게 음식 배달 서비스 같은 것을 만들자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 유대 등을 돈독히 할 수 있고 자본주의로 인해 파괴된 연대, 자연환경들을 복구하여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지금 세계경제는 극심한 실업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그래서 반세계화 운동이 나오는 것이고 트럼프가 당선되거나 브렉시트등의 사태가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이 현상의 본질은 사람들이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자본주의가 발달하면 할수록 이런사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결국 국가에서 제도를 개선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회적 갈등이 벌어졌던 것이다.
이 책은 24년 전인 1993년도에 쓰여진 책이다. .저자의 방대한 조사능력과 통찰력에 놀라울 뿐이다.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