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000nwmaa2200000 k | ||
001 | 0100582272▲ | ||
005 | 20221206150011▲ | ||
007 | oe ▲ | ||
008 | 221123s1869 ko kor ▲ | ||
040 | ▼a221016▲ | ||
041 | ▼akor▲ | ||
085 | 5 | ▼a5-1▼2四分改修法▲ | |
090 | ▼a5-1▲ | ||
245 | 0 | 0 | ▼a[簡札] /▼d趙性家 發信 ; ▼e金祿休 受信▲ |
250 | ▼a筆寫本▲ | ||
260 | ▼a[刊寫地未詳] :▼b[刊寫者未詳], ▼c高宗 6(1869)▲ | ||
300 | ▼a1張 ;▼c32.0 x 47.0 cm ▲ | ||
500 | ▼a行草書임▲ | ||
500 | ▼a發信日: 1869년(고종 6) 1월 20일▲ | ||
500 | ▼a탈초 및 해제 : 정석태(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 ||
520 | 4 | ▼a이것은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 1824∼1904, 字 直敎, 號 月皐, 本貫 咸安)가 동문(同門)의 벗 신호(莘湖) 김녹휴(金祿休, 1827∼1899, 字 穉敬ㆍ穉章, 號 莘湖, 本貫 蔚山)에게 보낸 서찰이다. 먼저 상대방의 안부를 물은 다음, 이어서 상대방의 지난가을 금강산(金剛山) 유람에 대해 물었다.▲ | |
541 | ▼a월고문고▼b조몽(경상남도 양산시, 부산대의학과 교수)▼c기증▼d2020.6.26.▲ | ||
546 | ▼a한국한자임▲ | ||
650 | 4 | ▼a고문서▲ | |
653 | ▼a간찰▼a월고문고▼a月皐6-47▲ | ||
700 | 1 | ▼a조성가, ▼d1824-1904▼e발신▲ | |
700 | 1 | ▼a김녹휴, ▼d1827-1899▼e수신▲ |
[簡札]
자료유형
국내고서
서명/책임사항
[簡札] / 趙性家 發信 ; 金祿休 受信
판사항
筆寫本
발행사항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 高宗 6(1869)
형태사항
1張 ; 32.0 x 47.0 cm
일반주기
行草書임
發信日: 1869년(고종 6) 1월 20일
탈초 및 해제 : 정석태(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發信日: 1869년(고종 6) 1월 20일
탈초 및 해제 : 정석태(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요약주기
이것은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 1824∼1904, 字 直敎, 號 月皐, 本貫 咸安)가 동문(同門)의 벗 신호(莘湖) 김녹휴(金祿休, 1827∼1899, 字 穉敬ㆍ穉章, 號 莘湖, 本貫 蔚山)에게 보낸 서찰이다. 먼저 상대방의 안부를 물은 다음, 이어서 상대방의 지난가을 금강산(金剛山) 유람에 대해 물었다.
언어주기
한국한자임
주제(일반주제명)
청구기호
5-1
원문 등 관련정보
관련 파일
해제
이것은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 1824∼1904, 字 直敎, 號 月皐, 本貫 咸安)가 동문(同門)의 벗 신호(莘湖) 김녹휴(金祿休, 1827∼1899, 字 穉敬ㆍ穉章, 號 莘湖, 本貫 蔚山)에게 보낸 서찰이다. 먼저 상대방의 안부를 물은 다음, 이어서 상대방의 지난가을 금강산(金剛山) 유람에 대해 물었다. 지난초겨울 운봉(雲峯)에 가서 오지소(吳止巢, 1801∼1884, 字 台至, 號 止巢, 本貫 咸陽) 른을 만났을 때 상대방이 지난가을 금강산 유람을 떠났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한 번도 어려운 그곳까지의 유람을 두 차례나 하였으니 얼마나 좋았느냐고 묻고는, 왕복하는 동안 지은 좋은 시(詩)들을 보내주면 잘 간직하며 보겠다고 하였다. 그런 다음 상대방에게 읽고 있는 서책(書冊)은 어떤 것인지, 어떤 의리(義理)를 깨우쳤는지 등 공부에 대해 묻고는, 늘 함께 학문(學問)을 익히면서 이택(麗澤)의 도움을 받기를 간절하게 바라고 있지만 그렇게 하지 못한다고 한 다음, 이어서 이달 그믐에는 상대방을 찾아가서 몇 달 동안 함께 공부할 계획을 하고 있지만 연로(沿路)에 전염병이 돌고 있으니 뜻대로 될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상대방이 있는 쪽으로 가는 인편(人便)이 있어서 마음속에 있는 것을 대략 말한다는 것으로 서찰을 끝맺고 있다. 이 서찰 말미(末尾)에는 하간형(夏間兄)은 평안한지 묻는 추신(追伸)이 달려 있다. 이 서찰은 기사년(己巳年, 1869, 고종6) 1월 20일에 발송한 것이다. 조성가의 월고집(月皐集) 권8에 「여김치경 기사(與金穉敬 己巳)」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것은 원본(原本)이고, 문집(文集)에 실린 것은 수록하는 과정에 내용 중 일부가 수정(修訂) 또는 산삭(刪削)되었다.
번역서
본문(本文), 새봄에 생각건대 연거(燕居)하며 도(道)를 음미하는 생활이 아주 복되신지요? 가을의 금강산(金剛山) 유람은 얼마나 풍치(風致)가 있었는지요? 천 리 밖에서 한 차례도 오히려 어려운 일인데 하물며 두 번씩이나 갔다 왔으니 더 말할 나위가 있겠습니까. 지난초겨울에 우연히 함양(咸陽)에 갔다가 그대 집안의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개평(介坪) 개평(介坪):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를 말한다. 이곳에 하동정씨(河東鄭氏)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 1450∼1504)의 종가가 있고 그 후손들이 세거하고 있다.
에 가서 주인(主人)을 만나지 못하여 길을 돌려 운봉(雲峯) 운봉(雲峯): 운봉현을 말한다.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일원에 있었던 조선시대 고을이다. 이곳 운봉현 의지(蟻池), 지금의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의지리에 조성가(趙性家)의 동문(同門) 선배 지소(止巢) 오상봉(吳相鳳, 1801∼1884, 字 台至, 號 止巢, 本貫 咸陽)이 거주하였다.
으로 가서 오지소(吳止巢) 어른 오지소(吳止巢) 어른: 오상봉(吳相鳳)을 말한다.
을 만나서 그대가 가을에 금강산 행차를 하였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함께 간 사람은 누구이며, 왕복 며칠이 걸렸으며, 해낭(奚囊, 詩囊) 해낭(奚囊, 詩囊): 해노(奚奴), 즉 어린 종자(從者)가 가지고 다니는 시고(詩稿)를 넣는 주머니를 말한다. 당(唐)나라 이상은(李商隱, 813경∼858)의 이하소전(李賀小傳)에 이르기를 “이장길(李長吉, 李賀)이 매일 아침 해가 뜨면 제공(諸公)들과 노닐면서 항상 어린 종자를 데리고 나귀를 타고 다녔는데 어린 종자에게 오래 묵은 비단 주머니를 등에 지고 따라다니게 하였다. 그러고는 우연히 좋은 시구를 얻으면 즉시 시구를 써서 그 주머니에 넣었다.”라고 하였다
에 담아온 시(詩)는 몇 수인지요? 빼어난 산수(山水)가 시작(詩作)을 도왔을 것이니 옥구슬처럼 아름다운 작품은 능히 당시(唐詩)와 우열을 다툴 수 있겠지요? 저는 마땅히 백향산(白香山) 백향산(白香山): 당(唐)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 772∼846)를 말한다. 자는 낙천(樂天),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ㆍ향산거사(香山居士)이다. 저서로는 백낙천집(白樂天集)이 있다.
의 이웃집 노파가 되어 정사(精寫)해서 상자에 보관하면서 기다리면 어떨는지요? 삼여(三餘) 삼여(三餘): 서책을 읽기에 알맞은 세 가지 넉넉한 때인 독서삼여(讀書三餘)를 말한다. 한해의 나머지인 겨울, 하루의 나머지인 밤, 계절의 나머지인 흐리고 비오는 때를 가리킨다.
에 읽은 서책(書冊)은 어느 책이며, 궁구한 것은 어떤 의리(義理)인지요? 우러러 생각건대 옛날 배웠던 것을 익혀서 새것을 알아가는 공부를 끊임없이 해나갈 것이니 반드시 그 진보함에 홀로 깨달은 것이 있을 것입니다. 이택(麗澤) 이택(麗澤): 붕우(朋友)가 함께 학문을 강습하여 서로 이익을 줌을 뜻한다. 주역(周易) 「태괘(兌卦)」에 “두 못이 연결되어 있는 형상이 태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붕우 간에 강습한다.[麗澤兌, 君子以, 朋友講習.]”라는 말에서 유래하였다.
의 도움을 있기는 소원하는 마음이 어느 날이나 절실하지 않음이 없지만, 각기 아득히 먼 곳에 서로 떨어져 그리워하면서도 서로 만나자는 지난날의 약속을 오래도록 저버리고 있으니 어찌해야 할는지요? 나이는 후인(後人)보다 많은데도 학문은 선인(先人)보다 못합니다. 남미주(婪尾酒) 남미주(婪尾酒): 설날에 마시는 술이다. 남미주(藍尾酒) 또는 도소주(屠蘇酒)라고도 한다. 산초와 잣 등을 넣어 만든 술로, 설날에 이 술을 마시면 사악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한다.
한 잔을 마심에 온갖 생각이 다투어 일어나니 스스로 이생을 헛되이 저버리고 있음이 분명합니다. 무엇이 이보다 더 부끄럽겠습니까. 늙으신 부모님은 건강을 잃으신지 오래인데 지금은 조금 덜합니다. 오는 그믐에는 한 번 그대를 찾아가서 장차 몇 개월을 머물려고 크게 계획하고 있지만, 듣건대 연로(沿路)에 전염병이 돌아서 깨끗하지 못하다고 하니 이것이 걱정입니다. 마침 그대가 있는 곳으로 가는 인편(人便)이 있어서 마음속에 있는 것을 대략 말합니다. 살펴주시기를 바랍니다. 삼가 서찰을 올립니다. / 착서(着署), 기사년(己巳年, 1869, 고종6) 1월 20일. 제(弟) 조성가(趙性家) 배배(拜拜) / 추신(追伸), 하간형(夏間兄) 하간형(夏間兄): 미상.
은 평안한지요?
에 가서 주인(主人)을 만나지 못하여 길을 돌려 운봉(雲峯) 운봉(雲峯): 운봉현을 말한다.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일원에 있었던 조선시대 고을이다. 이곳 운봉현 의지(蟻池), 지금의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의지리에 조성가(趙性家)의 동문(同門) 선배 지소(止巢) 오상봉(吳相鳳, 1801∼1884, 字 台至, 號 止巢, 本貫 咸陽)이 거주하였다.
으로 가서 오지소(吳止巢) 어른 오지소(吳止巢) 어른: 오상봉(吳相鳳)을 말한다.
을 만나서 그대가 가을에 금강산 행차를 하였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함께 간 사람은 누구이며, 왕복 며칠이 걸렸으며, 해낭(奚囊, 詩囊) 해낭(奚囊, 詩囊): 해노(奚奴), 즉 어린 종자(從者)가 가지고 다니는 시고(詩稿)를 넣는 주머니를 말한다. 당(唐)나라 이상은(李商隱, 813경∼858)의 이하소전(李賀小傳)에 이르기를 “이장길(李長吉, 李賀)이 매일 아침 해가 뜨면 제공(諸公)들과 노닐면서 항상 어린 종자를 데리고 나귀를 타고 다녔는데 어린 종자에게 오래 묵은 비단 주머니를 등에 지고 따라다니게 하였다. 그러고는 우연히 좋은 시구를 얻으면 즉시 시구를 써서 그 주머니에 넣었다.”라고 하였다
에 담아온 시(詩)는 몇 수인지요? 빼어난 산수(山水)가 시작(詩作)을 도왔을 것이니 옥구슬처럼 아름다운 작품은 능히 당시(唐詩)와 우열을 다툴 수 있겠지요? 저는 마땅히 백향산(白香山) 백향산(白香山): 당(唐)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 772∼846)를 말한다. 자는 낙천(樂天),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ㆍ향산거사(香山居士)이다. 저서로는 백낙천집(白樂天集)이 있다.
의 이웃집 노파가 되어 정사(精寫)해서 상자에 보관하면서 기다리면 어떨는지요? 삼여(三餘) 삼여(三餘): 서책을 읽기에 알맞은 세 가지 넉넉한 때인 독서삼여(讀書三餘)를 말한다. 한해의 나머지인 겨울, 하루의 나머지인 밤, 계절의 나머지인 흐리고 비오는 때를 가리킨다.
에 읽은 서책(書冊)은 어느 책이며, 궁구한 것은 어떤 의리(義理)인지요? 우러러 생각건대 옛날 배웠던 것을 익혀서 새것을 알아가는 공부를 끊임없이 해나갈 것이니 반드시 그 진보함에 홀로 깨달은 것이 있을 것입니다. 이택(麗澤) 이택(麗澤): 붕우(朋友)가 함께 학문을 강습하여 서로 이익을 줌을 뜻한다. 주역(周易) 「태괘(兌卦)」에 “두 못이 연결되어 있는 형상이 태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붕우 간에 강습한다.[麗澤兌, 君子以, 朋友講習.]”라는 말에서 유래하였다.
의 도움을 있기는 소원하는 마음이 어느 날이나 절실하지 않음이 없지만, 각기 아득히 먼 곳에 서로 떨어져 그리워하면서도 서로 만나자는 지난날의 약속을 오래도록 저버리고 있으니 어찌해야 할는지요? 나이는 후인(後人)보다 많은데도 학문은 선인(先人)보다 못합니다. 남미주(婪尾酒) 남미주(婪尾酒): 설날에 마시는 술이다. 남미주(藍尾酒) 또는 도소주(屠蘇酒)라고도 한다. 산초와 잣 등을 넣어 만든 술로, 설날에 이 술을 마시면 사악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한다.
한 잔을 마심에 온갖 생각이 다투어 일어나니 스스로 이생을 헛되이 저버리고 있음이 분명합니다. 무엇이 이보다 더 부끄럽겠습니까. 늙으신 부모님은 건강을 잃으신지 오래인데 지금은 조금 덜합니다. 오는 그믐에는 한 번 그대를 찾아가서 장차 몇 개월을 머물려고 크게 계획하고 있지만, 듣건대 연로(沿路)에 전염병이 돌아서 깨끗하지 못하다고 하니 이것이 걱정입니다. 마침 그대가 있는 곳으로 가는 인편(人便)이 있어서 마음속에 있는 것을 대략 말합니다. 살펴주시기를 바랍니다. 삼가 서찰을 올립니다. / 착서(着署), 기사년(己巳年, 1869, 고종6) 1월 20일. 제(弟) 조성가(趙性家) 배배(拜拜) / 추신(追伸), 하간형(夏間兄) 하간형(夏間兄): 미상.
은 평안한지요?
원서
新春伏惟燕居味道動止百福 楓嶽游賞 何等風致 千里之外 一之猶難 而况再乎 初冬偶屨及咸陽 參聞尊家音毛 入介坪不遇主人 轉向雲峯 遇吳止巢 得聞兄秋作楓嶽之行矣 伴行何人 往返幾日 奚囊所得幾首 山水助發 琳琅佳什 能與唐音相下上否 不佞當去作香山隣嫗 精寫藏衍以待之如何 三餘所讀何書 所究何義 仰想溫習不已 必有獨覺其進矣 麗澤之願 何日不切 而各天相望 久負前約 奈何奈何 年不後人 學不先人 婪尾一盞 百懷蝟集 自知虛負此生的矣 愧孰甚焉 老親失攝久矣 今則少間 來晦丕圖一晉 將淹數月 而似聞沿路不淨 是可憂也 適得去便 略陳心曲 伏惟照入 謹拜上
己巳元月二十日
弟 趙性家 拜拜
夏間兄平安耶
己巳元月二十日
弟 趙性家 拜拜
夏間兄平安耶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