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838nam a2200265 c 4500 | ||
001 | 0100548877▲ | ||
005 | 20220321095830▲ | ||
007 | ta▲ | ||
008 | 220221s2022 ulka 000c kor ▲ | ||
020 | ▼a9791162542644▼g03190 :▼c₩16000▲ | ||
035 | ▼a(KERIS)BIB000016075027▲ | ||
040 | ▼a241002▼c241002▼d221016▲ | ||
041 | 1 | ▼akor▼heng▲ | |
082 | 0 | 0 | ▼a152.33▼223▲ |
090 | ▼a152.33▼bP762h한▲ | ||
100 | 1 | ▼aPoldrack, Russell A.▲ | |
245 | 1 | 0 | ▼a습관의 알고리즘 :▼b인간의 뇌는 어떻게 행동을 설계하는가 /▼d러셀 폴드랙 지음 ;▼e신솔잎 옮김▲ |
246 | 1 | 9 | ▼aHard to break :▼bwhy our brains make habits stick▲ |
260 | ▼a서울 :▼b비즈니스북스,▼c2022▲ | ||
300 | ▼a312 p. :▼b삽화 ;▼c23 cm▲ | ||
500 | ▼a원저자명: Russell A. Poldrack▲ | ||
650 | 0 | ▼aHabit▲ | |
650 | 0 | ▼aHuman behavior▲ | |
650 | 0 | ▼aCognitive psychology▲ | |
650 | 0 | ▼aNeurosciences▲ | |
700 | 1 | ▼a신솔잎▼0170386▲ | |
900 | 1 | 1 | ▼a폴드랙, 러셀▲ |
습관의 알고리즘 : 인간의 뇌는 어떻게 행동을 설계하는가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습관의 알고리즘 : 인간의 뇌는 어떻게 행동을 설계하는가 / 러셀 폴드랙 지음 ; 신솔잎 옮김
원서명
Hard to break : why our brains make habits stick
발행사항
서울 : 비즈니스북스 , 2022
형태사항
312 p. : 삽화 ; 23 cm
일반주기
원저자명: Russell A. Poldrack
ISBN
9791162542644
청구기호
152.33 P762h한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원문 등 관련정보
효원인 감동공유 추천글
제목: 습관도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
학과: 노어노문학과 , 이름: 박*혜, 선정연도: 2023
마음에 드는 글귀 또는 문장:"자제력이 높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은 충동을 잘 억제한다기 보다는 애초에 자제력을 발휘해야 하는 상황을 피하는 데 더욱 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증거는 빌 헬름 호프먼과 동료들이 경험표집이라는 방법으로 욕구,목표,자제력 간의 상호작용을 조사한 연구에서 나왔다." (p. 77) "한번 습관은 영원한 습관이다."(p. 80) "습관의 뇌를 해킹하다." (p. 254)
추천하고 싶은 대상:좋은 습관을 가지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 자제력 부족으로 매번 자신과의 약속에서 실패를 경험하는 사람, 나쁜 습관을 고치고 싶은 사람, 성공하는 습관을 가지고 싶은 사람
추천이유:세 살 버릇 여든 까지 간다는 말은 어릴 적 누구나 한 번 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그 어릴 적 습관이 얼마든지 변화하고 발전 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금 깨달을 수 있다.
습관의 뇌를 해킹한다는 책의 골자는 나쁜 습관만 삭제 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진행한다. 이 과정은 기억을 삭제하고 기억을 와해하면서 새오른 기억을 공고히 한다. 새로운 기억을 공오화하면 안정된 기억으로 변모하고 이런 기억을 리마인더 하면서 불안정한 기억을 형성되는데 이런 불안정한 기억을 두 가지 방법으로 분류해서 활성화 하는 방법이다.
불안정한 기억을 재공고화 한다면 기억갱신이 될 것이고 단백질 합성 차단 소멸 과정을 통해서는 기억 삭제라는 방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는 기억 갱신과 기억 삭제로 이루어지는데 나아가 스스로가 그러한 습관을 가졌는 지 조차 잊게 만든 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심리적 요소의 반복과 기억 갱신,삭제로 습관의 알고리즘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처럼 성공도 습관의 알고리즘을 통해 도달 가능한 것으로 비전을 제시한다. 이 책은 습관 교정의 막연한 두려움을 가진 사람에게 보다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설명함으로써 독자의 삶의 변화를 확실하게 이끌어 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는 것 부터가 용기의 출발점이자 내 삶의 변화를 이끄는 강력한 신호탄이 될 것이라 자부하며 추천한다.
별점:★★★★★
학과: 노어노문학과 , 이름: 박*혜, 선정연도: 2023
마음에 드는 글귀 또는 문장:"자제력이 높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은 충동을 잘 억제한다기 보다는 애초에 자제력을 발휘해야 하는 상황을 피하는 데 더욱 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증거는 빌 헬름 호프먼과 동료들이 경험표집이라는 방법으로 욕구,목표,자제력 간의 상호작용을 조사한 연구에서 나왔다." (p. 77) "한번 습관은 영원한 습관이다."(p. 80) "습관의 뇌를 해킹하다." (p. 254)
추천하고 싶은 대상:좋은 습관을 가지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 자제력 부족으로 매번 자신과의 약속에서 실패를 경험하는 사람, 나쁜 습관을 고치고 싶은 사람, 성공하는 습관을 가지고 싶은 사람
추천이유:세 살 버릇 여든 까지 간다는 말은 어릴 적 누구나 한 번 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그 어릴 적 습관이 얼마든지 변화하고 발전 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금 깨달을 수 있다.
습관의 뇌를 해킹한다는 책의 골자는 나쁜 습관만 삭제 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진행한다. 이 과정은 기억을 삭제하고 기억을 와해하면서 새오른 기억을 공고히 한다. 새로운 기억을 공오화하면 안정된 기억으로 변모하고 이런 기억을 리마인더 하면서 불안정한 기억을 형성되는데 이런 불안정한 기억을 두 가지 방법으로 분류해서 활성화 하는 방법이다.
불안정한 기억을 재공고화 한다면 기억갱신이 될 것이고 단백질 합성 차단 소멸 과정을 통해서는 기억 삭제라는 방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는 기억 갱신과 기억 삭제로 이루어지는데 나아가 스스로가 그러한 습관을 가졌는 지 조차 잊게 만든 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심리적 요소의 반복과 기억 갱신,삭제로 습관의 알고리즘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처럼 성공도 습관의 알고리즘을 통해 도달 가능한 것으로 비전을 제시한다. 이 책은 습관 교정의 막연한 두려움을 가진 사람에게 보다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설명함으로써 독자의 삶의 변화를 확실하게 이끌어 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는 것 부터가 용기의 출발점이자 내 삶의 변화를 이끄는 강력한 신호탄이 될 것이라 자부하며 추천한다.
별점:★★★★★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