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000cam a2200000 c 4500 | ||
001 | 0100356506▲ | ||
005 | 20230516102341▲ | ||
007 | vd cgaizq▲ | ||
008 | 150224s2014 ulk050 cvlkor ▲ | ||
035 | ▼a(KERIS)BIB000013455991▲ | ||
040 | ▼a211036▼c211036▼d211036▼d221016▲ | ||
082 | 0 | 4 | ▼a530▼223▲ |
090 | ▼a530▼b10▲ | ||
110 | ▼a한국교육방송공사▲ | ||
245 | 1 | 0 | ▼a빛의 물리학.▼nDisc 2,▼p빛과 공간, 일반상대성이론▼h[비디오녹화자료] /▼dEBS 기획·제작.▲ |
260 | ▼a서울 :▼bEBS 미디어센터,▼c2014.▲ | ||
300 | ▼a비디오 디스크 1매(50분) :▼b유성,천연색,단면 ;▼c12 cm.▲ | ||
490 | 0 | 0 | ▼aEBS 다큐 프라임▲ |
500 | ▼a디스크 레이블 표제임▲ | ||
500 | ▼aEBS에서 방영(2013.09.23~2013.10.02)▲ | ||
508 | ▼a제작진: 책임프로듀서, 이연규 ; 글·구성, 김미란 ; 취재작가, 박혜민, 김소연 ; 촬영감독, 정재호 ; 편집감독, 정민희, 김진호 ; 음악, 이미성, 이승진▲ | ||
511 | 8 | ▼a정영두(진행) ; Lee Ranns(아인슈타인 역)▲ | |
520 | ▼a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은 절대적인 것과 상대적인 것을 완전히 바꿔버렸으나 중력을 적용할 수 없었고,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은 중력을 명쾌하게 설명하였으나 왜 만물이 서로 잡아당기는지 설명하지 못하는 치명적 결점이 존재했다. 아인슈타인은 떨어진다는 것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의문을 가졌고, 이 간단하고도 단순한 질문은 거장 뉴턴을 향한 도발이 되었다. 아인슈타인은 가속도와 중력이 같은 것임을 깨달았고, 중력은 무한대의 속도로 끌어당기는 순간적인 힘이 아니라 공간의 휘어짐에 따라 만들어지는 힘이라 정의했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이러한 이론에 손을 들어준 것은 다름 아닌 별빛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두 천재 과학자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시대를 뛰어넘은 대결까지 과학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질문이었던 중력의 실체를 추적해본다.▲ | ||
521 | ▼a전체 관람가▲ | ||
538 | ▼aDVD Player ; 오디오, Dolby Digital 2.0 Stereo ; 화면비율, 16:9 ; 지역코드, ALL, NTSC ; Single Layer▲ | ||
653 | ▼a물리학 ▼aTV프로그램 ▼a한국▲ | ||
700 | 1 | ▼a이연규▲ | |
700 | 1 | ▼a정영두▲ | |
700 | 1 | ▼aRanns, Lee▲ | |
740 | 0 | ▼a빛과 공간, 일반상대성이론▲ | |
900 | 1 | 1 | ▼a란스, 리▲ |
949 | ▼a이비에스 다큐 프라임▲ |

빛의 물리학.Disc 2, 빛과 공간, 일반상대성이론[비디오녹화자료]
자료유형
국내비디오
서명/책임사항
빛의 물리학. Disc 2 , 빛과 공간, 일반상대성이론 [비디오녹화자료] / EBS 기획·제작.
부출서명
빛과 공간, 일반상대성이론
개인저자
단체저자
발행사항
서울 : EBS 미디어센터 , 2014.
형태사항
비디오 디스크 1매(50분) : 유성,천연색,단면 ; 12 cm.
총서사항
일반주기
디스크 레이블 표제임
EBS에서 방영(2013.09.23~2013.10.02)
EBS에서 방영(2013.09.23~2013.10.02)
제작진주기
제작진: 책임프로듀서, 이연규 ; 글·구성, 김미란 ; 취재작가, 박혜민, 김소연 ; 촬영감독, 정재호 ; 편집감독, 정민희, 김진호 ; 음악, 이미성, 이승진
연주자와 배역진
정영두(진행) ; Lee Ranns(아인슈타인 역)
요약주기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은 절대적인 것과 상대적인 것을 완전히 바꿔버렸으나 중력을 적용할 수 없었고,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은 중력을 명쾌하게 설명하였으나 왜 만물이 서로 잡아당기는지 설명하지 못하는 치명적 결점이 존재했다. 아인슈타인은 떨어진다는 것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의문을 가졌고, 이 간단하고도 단순한 질문은 거장 뉴턴을 향한 도발이 되었다. 아인슈타인은 가속도와 중력이 같은 것임을 깨달았고, 중력은 무한대의 속도로 끌어당기는 순간적인 힘이 아니라 공간의 휘어짐에 따라 만들어지는 힘이라 정의했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이러한 이론에 손을 들어준 것은 다름 아닌 별빛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두 천재 과학자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시대를 뛰어넘은 대결까지 과학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질문이었던 중력의 실체를 추적해본다.
이용대상
전체 관람가
시스템사항
DVD Player ; 오디오, Dolby Digital 2.0 Stereo ; 화면비율, 16:9 ; 지역코드, ALL, NTSC ; Single Layer
청구기호
530 10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