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1029cam a2200313 c 4500 | ||
001 | 0093770375▲ | ||
005 | 20180519002309▲ | ||
007 | ta▲ | ||
008 | 170605s2017 ulka b 001c kor▲ | ||
020 | ▼a9788989566700▼g03340 :▼c₩25000▲ | ||
035 | ▼a(KERIS)BIB000014521010▲ | ||
040 | ▼a223009▼c223009▼d223009▼d221016▲ | ||
041 | 1 | ▼akor▼heng▲ | |
056 | ▼a349▼24▲ | ||
082 | 0 | 4 | ▼a327.101▼223▲ |
090 | ▼a327.101▼bM483t2한▲ | ||
100 | 1 | ▼aMearsheimer, John J.,▼d1947-▼0133646▲ | |
245 | 1 | 0 | ▼a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 :▼b미중 패권경쟁의 시대 /▼d존 J. 미어셰이머 지음 ;▼e이춘근 옮김▲ |
246 | 1 | 9 | ▼a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g(updated ed.)▲ |
246 | 3 | 9 | ▼a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
260 | ▼a서울 :▼b김앤김북스,▼c2017▲ | ||
300 | ▼a663 p. :▼b삽화 ;▼c23 cm▲ | ||
500 | ▼a원저자명: John J. Mearsheimer▲ | ||
500 | ▼a색인: p. 659-663▲ | ||
504 | ▼a주: p. 545-658▲ | ||
653 | ▼a국제정치▼a패권경쟁▲ | ||
700 | 1 | ▼a이춘근,▼g李春根,▼d1952-▼0292930▲ | |
900 | 1 | 1 | ▼a미어셰이머, 존 J.▲ |
999 | ▼a정재훈▼c강설혜▲ |

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 :미중 패권경쟁의 시대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 : 미중 패권경쟁의 시대 / 존 J. 미어셰이머 지음 ; 이춘근 옮김
원서명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updated ed.)
개인저자
발행사항
서울 : 김앤김북스 , 2017
형태사항
663 p. : 삽화 ; 23 cm
일반주기
원저자명: John J. Mearsheimer
색인: p. 659-663
색인: p. 659-663
서지주기
주: p. 545-658
ISBN
9788989566700
청구기호
327.101 M483t2한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Loading...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책소개
2001년 초판이 출간된 이래 이 책은 미국은 물론 전세계 국제정치 학계에서 열렬한 찬사와 비판을 받아왔다. 국제정치의 냉혹한 측면을 너무나도 적나라하게 파헤쳤다는 찬사로부터 국제정치를 너무나도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는 회의론에 이르기까지 국제정치 이론 논쟁의 핵심을 이루었다.
이 책은 국제정치를 공부하는 그 누구라도 반드시 읽어야 할 명저가 되었으며, 국제정치 분야의 주요 저작에 수여하는 ‘렙골드 북’(2001년)을 수상하기도 했다. 저자인 미어셰이머 교수는 지난 20년 동안 국제정치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학자 5명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초판과 마찬가지로 제3세대 현실주의 이론으로 불리는 공격적 현실주의 입장을 그대로 견지하고 있다. 다만 10장에서 ‘중국은 평화롭게 부상할 수 있을까?’라는 대단히 도발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음을 주장하고 있다.
미어셰이머 교수는 고전적 현실주의 및 신현실주의’(방어적 현실주의)를 뛰어넘는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를 제시하고, 역사적 사례를 들어 자신의 이론을 증명해 보이고 있다. 공격적 현실주의는, 국가들의 관계를 지배하는 것은 규범이나 도덕이 아니라 힘과 국가이익이라고 본다는 점에서 현실주의 계열에 속한다. 그러나 국가들이 힘을 추구하는 이유를 인간의 본능이 아니라 무정부 상태라는 국제체제 구조에서 찾는다는 점에서 고전적 현실주의와 다르며, 국가들이 세력균형을 유지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다른 국가들을 압도할 수 있는 막강한 힘을 추구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신현실주의와 다르다.
이 책은 국제정치를 공부하는 그 누구라도 반드시 읽어야 할 명저가 되었으며, 국제정치 분야의 주요 저작에 수여하는 ‘렙골드 북’(2001년)을 수상하기도 했다. 저자인 미어셰이머 교수는 지난 20년 동안 국제정치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학자 5명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초판과 마찬가지로 제3세대 현실주의 이론으로 불리는 공격적 현실주의 입장을 그대로 견지하고 있다. 다만 10장에서 ‘중국은 평화롭게 부상할 수 있을까?’라는 대단히 도발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음을 주장하고 있다.
미어셰이머 교수는 고전적 현실주의 및 신현실주의’(방어적 현실주의)를 뛰어넘는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를 제시하고, 역사적 사례를 들어 자신의 이론을 증명해 보이고 있다. 공격적 현실주의는, 국가들의 관계를 지배하는 것은 규범이나 도덕이 아니라 힘과 국가이익이라고 본다는 점에서 현실주의 계열에 속한다. 그러나 국가들이 힘을 추구하는 이유를 인간의 본능이 아니라 무정부 상태라는 국제체제 구조에서 찾는다는 점에서 고전적 현실주의와 다르며, 국가들이 세력균형을 유지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다른 국가들을 압도할 수 있는 막강한 힘을 추구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신현실주의와 다르다.
청구기호 브라우징
Loading...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