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1375cam a2200505 c 4500 | ||
001 | 0092523635▲ | ||
005 | 20180521015742▲ | ||
008 | 130805s2013 ulka 000c kor▲ | ||
020 | ▼a9788997776696▼g93220 :▼c₩30000▲ | ||
035 | ▼a(KERIS)BIB000013238099▲ | ||
040 | ▼a243007▼c243007▼d221016▲ | ||
085 | ▼a294.3095▼2부산대 동양관계항목전개표▲ | ||
090 | ▼a294.3095▼b인39ㅂ▲ | ||
110 | ▼a인민대학.▼b불교와종교학이론연구소▲ | ||
245 | 2 | 0 | ▼a(동아시아에 있어서) 불성·여래장 사상의 수용과 변용 /▼d런민대학 불교와종교학이론연구소,▼e도요대학 동양학연구소,▼e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공편▲ |
260 | ▼a서울 :▼b씨아이알,▼c2013▲ | ||
300 | ▼a325 p. :▼b삽화 ;▼c23 cm▲ | ||
440 | 0 | 0 | ▼a금강학술총서 ;▼v11▲ |
500 | ▼a한국어판 편집자 대표 : 석길암▲ | ||
500 | ▼a필자 : 타케무라 마키오(竹村 牧男), 스징펑(史 經鵬), 김성철, 최은영, 겅칭(耿 晴), 석길암, 키츠카와 토모아키(橋川 智昭), 장펑레이(張 風雷), 장 원리앙(張 文良), 이부키 아츠시(伊吹 敦)▲ | ||
536 | ▼a이 책은 2007년 한국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에 의하여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서 간행된 출판물임▲ | ||
653 | ▼a불교▼a동아시아불교▲ | ||
700 | 1 | ▼a죽촌, 목남▲ | |
700 | 1 | ▼a사, 경붕▲ | |
700 | 1 | ▼a최은영▲ | |
700 | 1 | ▼a경, 청▲ | |
700 | 1 | ▼a석길암▲ | |
700 | 1 | ▼a교천, 지소▲ | |
700 | 1 | ▼a장, 풍뢰▲ | |
700 | 1 | ▼a장, 문량▲ | |
700 | 1 | ▼a이취, 돈▲ | |
700 | 1 | ▼a석길암▲ | |
700 | 1 | ▼a김성철,▼g金星喆,▼d1957-▼0102019▲ | |
710 | ▼a동경대학.▼b동양학연구소▲ | ||
710 | ▼a금강대학교.▼b불교문화연구소▲ | ||
900 | 1 | 1 | ▼a타케무라, 마키오▲ |
900 | 1 | 1 | ▼a스, 징펑▲ |
900 | 1 | 1 | ▼a겅, 칭▲ |
900 | 1 | 1 | ▼a키츠카와, 토모아키▲ |
900 | 1 | 1 | ▼a장, 펑레이▲ |
900 | 1 | 1 | ▼a장, 원리앙▲ |
900 | 1 | 1 | ▼a이부키, 아츠시▲ |
910 | 1 | ▼a런민대학.▼b불교와종교학이론연구소▲ | |
910 | 1 | ▼a도요대학.▼b동양학연구소▲ | |
999 | ▼c안정화▲ |

(동아시아에 있어서) 불성·여래장 사상의 수용과 변용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동아시아에 있어서) 불성·여래장 사상의 수용과 변용 / 런민대학 불교와종교학이론연구소 , 도요대학 동양학연구소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공편
발행사항
서울 : 씨아이알 , 2013
형태사항
325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금강학술총서 ; 11
일반주기
한국어판 편집자 대표 : 석길암
필자 : 타케무라 마키오(竹村 牧男), 스징펑(史 經鵬), 김성철, 최은영, 겅칭(耿 晴), 석길암, 키츠카와 토모아키(橋川 智昭), 장펑레이(張 風雷), 장 원리앙(張 文良), 이부키 아츠시(伊吹 敦)
필자 : 타케무라 마키오(竹村 牧男), 스징펑(史 經鵬), 김성철, 최은영, 겅칭(耿 晴), 석길암, 키츠카와 토모아키(橋川 智昭), 장펑레이(張 風雷), 장 원리앙(張 文良), 이부키 아츠시(伊吹 敦)
ISBN
9788997776696
청구기호
294.3095 인39ㅂ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Loading...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책소개
이 책은 ‘동아시아에 있어서 불성·여래장 사상의 수용과 변용’이라는 제목에서도 상기할 수 있는 것처럼, 동아시아 불교에서 불성 혹은 여래장 사상은 어떻게 수용되고 또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주제로 다루고 있다. 불성사상(佛性思想) 혹은 여래장 사상(如來藏思想)의 논점을 한 마디로 압축하여 말한다면,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 혹은 “일체중생개유여래장(一切衆生皆有如來藏)”이라는 문구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청구기호 브라우징
Loading...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