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985nam a2200277 c 4500 | ||
001 | 0100829538▲ | ||
005 | 20241213153548▲ | ||
007 | ta▲ | ||
008 | 231109s2023 ggk 001c kor ▲ | ||
020 | ▼a9788942391226▼g93810 :▼c₩30000▲ | ||
035 | ▼a(KERIS)BIB000016881900▲ | ||
040 | ▼a221016▼c221016▲ | ||
056 | ▼a151.5▼26▲ | ||
082 | 0 | 4 | ▼a181.119▼223▲ |
085 | ▼a181.1152▼2부산대 동양관계항목전개표▲ | ||
090 | ▼a181.1152▼b이225ㄷ▲ | ||
100 | 1 | ▼a이동환,▼g李東歡,▼d1939-▼052374▲ | |
245 | 1 | 0 | ▼a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 /▼d이동환 지음▲ |
260 | ▼a파주 :▼b지식산업사,▼c2023▲ | ||
300 | ▼a344 p. ;▼c23 cm▲ | ||
500 | ▼a2024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 ||
500 | ▼a색인: p. 311-344▲ | ||
650 | 8 | ▼a동양 사상[東洋思想]▼0KSH1999021589▲ | |
650 | 8 | ▼a성리학[性理學]▼0KSH1998035178▲ | |
650 | 8 | ▼a문학(예술)[文學]▼0KSH1998002718▲ |

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 / 이동환 지음
개인저자
이동환 , 李東歡 , 1939-
발행사항
파주 : 지식산업사 , 2023
형태사항
344 p. ; 23 cm
일반주기
2024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색인: p. 311-344
색인: p. 311-344
ISBN
9788942391226
청구기호
181.1152 이225ㄷ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Loading...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책소개
도학시대를 이끈
화담 (서경덕), 회재(이언적), 퇴계 (이황),
남명(조식), 소재(노사신), 율곡(이이) 등
거인들이 펼친 사상의 대립을 문학을 통해 파해치다.
도학(주자학)은 실천의 측면에 역점을 둔 개념이다. 13세기 말 14세기 초로부터 우리나라에 전래되기 시작하여 한말에 이르기까지 장장 650-60년이나 지속된 주자학이, 도학으로서 가장 정체를 발하고 역사의 적극적인 기능을 한 시기가 16세기와 17세기 중반 사이다.
〈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은 이동환 교수의 사상사 내지 문학사 구분의 제2기에 해당한다.
특히 회재와 남명, 퇴계와 남명, 퇴계와 소재 사이의 사상의 대립 국면에 착목하여, 이 교수는 각기 그들의 사상의 일단을 면밀히 파해쳤다. 회재와 남명 사이의 출처관의 대립, 퇴계와 남명 사이의 사상적 암투, 퇴계의 주자학 제1주의와 소재의 양명학 지향사이의 대립은 16세기 우리나라 사상사의 한 장관이다. 이처럼 도학은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실천윤리 ‘선비정신’을 융성시켰음을 밝히고 있다.
이동환 교수가 한국 전근대의 사상사와 문학사를 이원적으로 보아 새로운 체계를 이룩함으로써, 그의 대표 저서인 이 3부작은 연구방법론에서도 후학들에게 많은 암시와 가능성의 문을 열어주고 있다고 할 것이다.
화담 (서경덕), 회재(이언적), 퇴계 (이황),
남명(조식), 소재(노사신), 율곡(이이) 등
거인들이 펼친 사상의 대립을 문학을 통해 파해치다.
도학(주자학)은 실천의 측면에 역점을 둔 개념이다. 13세기 말 14세기 초로부터 우리나라에 전래되기 시작하여 한말에 이르기까지 장장 650-60년이나 지속된 주자학이, 도학으로서 가장 정체를 발하고 역사의 적극적인 기능을 한 시기가 16세기와 17세기 중반 사이다.
〈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은 이동환 교수의 사상사 내지 문학사 구분의 제2기에 해당한다.
특히 회재와 남명, 퇴계와 남명, 퇴계와 소재 사이의 사상의 대립 국면에 착목하여, 이 교수는 각기 그들의 사상의 일단을 면밀히 파해쳤다. 회재와 남명 사이의 출처관의 대립, 퇴계와 남명 사이의 사상적 암투, 퇴계의 주자학 제1주의와 소재의 양명학 지향사이의 대립은 16세기 우리나라 사상사의 한 장관이다. 이처럼 도학은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실천윤리 ‘선비정신’을 융성시켰음을 밝히고 있다.
이동환 교수가 한국 전근대의 사상사와 문학사를 이원적으로 보아 새로운 체계를 이룩함으로써, 그의 대표 저서인 이 3부작은 연구방법론에서도 후학들에게 많은 암시와 가능성의 문을 열어주고 있다고 할 것이다.
청구기호 브라우징
Loading...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