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1092nam a2200301 c 4500 | ||
001 | 0100521381▲ | ||
005 | 20221012214359▲ | ||
007 | ta▲ | ||
008 | 190128s2018 tgka b SC 000c kor ▲ | ||
020 | ▼a9788971805008▼g94900 :▼c₩17000▲ | ||
020 | 1 | ▼a9788971804988 (세트)▲ | |
035 | ▼a(KERIS)BIB000015050844▲ | ||
040 | ▼a222001▼c222001▼d221016▲ | ||
082 | 0 | 4 | ▼a929.209519▼223▲ |
085 | ▼a929.20951▼2부산대 동양관계항목전개표▲ | ||
090 | ▼a929.20951▼b권79ㅇ▲ | ||
100 | 1 | ▼a권진호,▼g權鎭浩,▼d1963-▼03292▲ | |
245 | 2 | 0 | ▼a(학문과 과학에 뛰어난 계문의 고제) 안동 간재 이덕홍 종가 /▼d권진호▲ |
260 | ▼a대구 :▼b경북대학교 출판부,▼c2018▲ | ||
300 | ▼a195 p. :▼b삽화 ;▼c21 cm▲ | ||
440 | 0 | 0 | ▼a경북의 종가문화 ;▼v48▲ |
500 | ▼a기획: 경상북도,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
504 | ▼a참고문헌: p. 195▲ | ||
600 | 1 | 4 | ▼a이덕홍,▼d1541-1596▲ |
653 | ▼a종가▼a문중사▼a종가문화▲ | ||
710 | ▼a경상북도▲ | ||
710 | ▼a경북대학교.▼b영남문화연구원▲ |

(학문과 과학에 뛰어난 계문의 고제) 안동 간재 이덕홍 종가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Loading...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책소개
간재 이덕홍은 19세에 퇴계 문하에 들어가 12년간 퇴계 이황을 지근거리에서 모시면서 학문지결을 터득하였다. 그의 학문에 대한 독실한 자세는 스승뿐만 아니라 동문들에게도 인정을 받았다. 그래서 퇴계는 그에게 선기옥형璿璣玉衡을 만들게 하였다.
한편 38세(1578년)에 출사하여 선조 임금과 왕세자인 광해군에게 올린 두 편의 상소에는 그의 현실인식에 따른 전란 극복 방안이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영춘현감 시절에는 살아남으려고 허덕이는 민초들의 삶에 대한 그의 애민의식의 일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임진왜란 때 건의한 귀갑선의 건조는 군사전술적인 계책 가운데서도 가장 주목되었다. 한마디로 그가 추구한 학문은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을 뿐만 아니라 병략兵略·산학算學·역법曆法에도 정통하였다. 퇴계 이황이 자字와 호號, 그리고 이름을 지어 준 유일한 제자였다.
한편 38세(1578년)에 출사하여 선조 임금과 왕세자인 광해군에게 올린 두 편의 상소에는 그의 현실인식에 따른 전란 극복 방안이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영춘현감 시절에는 살아남으려고 허덕이는 민초들의 삶에 대한 그의 애민의식의 일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임진왜란 때 건의한 귀갑선의 건조는 군사전술적인 계책 가운데서도 가장 주목되었다. 한마디로 그가 추구한 학문은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을 뿐만 아니라 병략兵略·산학算學·역법曆法에도 정통하였다. 퇴계 이황이 자字와 호號, 그리고 이름을 지어 준 유일한 제자였다.
청구기호 브라우징
Loading...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