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846nam 2200241 c 4500 | ||
001 | 0100515605▲ | ||
005 | 20210419114221▲ | ||
007 | ta▲ | ||
008 | 210316s2021 ulka 000c kor ▲ | ||
020 | ▼a9791196695729 ▼g03910 :▼c₩15000▲ | ||
035 | ▼a(KERIS)BIB000015802954▲ | ||
040 | ▼a247017▼d221016▲ | ||
056 | ▼a631.3▼26▲ | ||
082 | 0 | 4 | ▼a959.1▼223▲ |
090 | ▼a959.1▼b여57ㅌ▲ | ||
100 | 1 | ▼a여수경▲ | |
245 | 1 | 0 | ▼a토기를 담다 : ▼b미얀마 토기 마을 현지조사 기록 / ▼d여수경, ▼e김대욱 지음 ; ▼e권순신 사진▲ |
260 | ▼a서울 : ▼b콘텐츠카페협동조합, ▼c2021▲ | ||
300 | ▼a235 p. : ▼b천연색삽화 ; ▼c22×22 cm▲ | ||
500 | ▼a권말부록 : 1. 'With Walking' 동남아 마을 조사 프로젝트 공동연구 과정 ; 2. 현지조사 모습 ; 3. 도움을 준 사람들▲ | ||
650 | 8 | ▼a토기(그릇)▲ | |
650 | 8 | ▼a역사▲ | |
651 | 8 | ▼a미얀마(국명)▲ | |
700 | 1 | ▼a김대욱▲ | |
700 | 1 | ▼a권순신▲ |

토기를 담다 : 미얀마 토기 마을 현지조사 기록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토기를 담다 : 미얀마 토기 마을 현지조사 기록 / 여수경 , 김대욱 지음 ; 권순신 사진
발행사항
서울 : 콘텐츠카페협동조합 , 2021
형태사항
235 p. : 천연색삽화 ; 22×22 cm
일반주기
권말부록 : 1. 'With Walking' 동남아 마을 조사 프로젝트 공동연구 과정 ; 2. 현지조사 모습 ; 3. 도움을 준 사람들
주제어(지명)
ISBN
9791196695729
청구기호
959.1 여57ㅌ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Loading...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책소개
미얀마에서 토기는 종교생활에서 부처님께 올리는 의례용품이자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생활용품이다. 플라스틱과 스테인레스 등 다양한 재질의 용기가 통용되기도 하지만 토기는 여전히 일상생활 깊숙이 사람들이가장 많이 사용하는 생활용품이자 의례용품이다.
미얀마에는 “예오와 아이는 두드려야 단단해진다”라는 속담이 전해지는데, 이 속에는 예오의 성형 과정에서 많이 두드려야 좋은 예오를 만들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신오는 오랫동안 저장해서 먹는 음식을 보관하는 용기로 사용하였고, 주로 기름과 쌀을 비롯한 곡류, 술 등을 저장한다. 해안 마을에서는 소금과 젓갈류를 담는 용도로, 물이 부족한 산악 마을에서는 물을 저장하기도 한다
미얀마에는 “예오와 아이는 두드려야 단단해진다”라는 속담이 전해지는데, 이 속에는 예오의 성형 과정에서 많이 두드려야 좋은 예오를 만들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신오는 오랫동안 저장해서 먹는 음식을 보관하는 용기로 사용하였고, 주로 기름과 쌀을 비롯한 곡류, 술 등을 저장한다. 해안 마을에서는 소금과 젓갈류를 담는 용도로, 물이 부족한 산악 마을에서는 물을 저장하기도 한다
청구기호 브라우징
Loading...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