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2396nam a2200000 c | ||
001 | 0100399680▲ | ||
005 | 20191231163210▲ | ||
007 | ta ▲ | ||
008 | 190220s2019 ulk b 001c kor ▲ | ||
020 | ▼a9788968177323▼g93190 :▼c₩38000▲ | ||
035 | ▼a(KERIS)REW000000343991▲ | ||
040 | ▼a221016▼c221016▲ | ||
082 | 0 | 4 | ▼a320▼223▲ |
090 | ▼a320▼b손44ㅇ▲ | ||
100 | 1 | ▼a손병석▲ | |
245 | 1 | 0 | ▼a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연구 :▼b플라톤과의 대화 /▼d손병석 지음▲ |
260 | ▼a서울 :▼b한국문화사,▼c2019▲ | ||
300 | ▼axi, 552 p. ;▼c24 cm▲ | ||
500 | ▼a부록: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철학의 근·현대 정치철학에의 영향사적 개관▲ | ||
500 | ▼a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 학술도서"▲ | ||
504 | ▼a참고문헌(p. 519-545)과 색인(p. 546-551) 수록▲ | ||
504 | ▼a설명적과 서지적 각주 수록▲ | ||
600 | 0 | 8 | ▼aPlato,▼dB.C. 427-B.C. 347▲ |
600 | 0 | 8 | ▼aAristotle,▼dB.C. 384-322▲ |
653 | ▼a아리스토텔레스▼a정치철학▲ | ||
900 | 0 | 1 | ▼a아리스토텔레스,▼dB.C. 384-322▲ |
900 | 0 | 1 | ▼a플라톤,▼dB.C. 427-B.C. 347▲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연구 :플라톤과의 대화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연구 : 플라톤과의 대화 / 손병석 지음
개인저자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 2019
형태사항
xi, 552 p. ; 24 cm
일반주기
부록: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철학의 근·현대 정치철학에의 영향사적 개관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 학술도서"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 학술도서"
서지주기
참고문헌(p. 519-545)과 색인(p. 546-551) 수록/설명적과 서지적 각주 수록/
ISBN
9788968177323
청구기호
320 손44ㅇ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Loading...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책소개
이 책은 고대 정치철학의 이론적 깊이를 심화시키고 그 지평을 확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플라톤의 정치철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철학에 대한 국내에서의 관심과 연구는 부족하거나 불충분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는 일련의 정치철학 내지 실천철학의 지형도를 완성시키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국내에서의 고대 정치철학의 수준을 한 단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중세의 정치철학뿐만 아니라 근대 정치철학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현대 사회의 다양한 정치, 사회적 문제, 예컨대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조화 문제, 부의 분배를 둘러싼 분배적 정의의 문제, 제도적 원리와 시민성의 우선성 문제, 자유와 평등의 조화 문제, 시민교육의 방향성 등과 같은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치의 충돌이나 대립을 지혜롭게 조화시킬 수 있는 비판적 안목을 확립하는데 하나의 참고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학술-교양서’로서의 역할에 부응하는 계몽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된 시민 교양서는 얕은 지식이나 표현만 화려한 수사적 기술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가능한 정확하고 천착된 그리고 무엇보다 반성적 사고를 통한 문제의식에 근거해서 쓰여져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은 결론 부분에서도 강조했지만 오늘날에도 적실한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에 대학 교양강좌서 및 교육방송 참고자료로도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대 사회의 다양한 정치, 사회적 문제, 예컨대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조화 문제, 부의 분배를 둘러싼 분배적 정의의 문제, 제도적 원리와 시민성의 우선성 문제, 자유와 평등의 조화 문제, 시민교육의 방향성 등과 같은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치의 충돌이나 대립을 지혜롭게 조화시킬 수 있는 비판적 안목을 확립하는데 하나의 참고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학술-교양서’로서의 역할에 부응하는 계몽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된 시민 교양서는 얕은 지식이나 표현만 화려한 수사적 기술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가능한 정확하고 천착된 그리고 무엇보다 반성적 사고를 통한 문제의식에 근거해서 쓰여져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은 결론 부분에서도 강조했지만 오늘날에도 적실한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에 대학 교양강좌서 및 교육방송 참고자료로도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청구기호 브라우징
Loading...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