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의 역사와 문화

일본 백자의 원조, 이삼평

조선 시대, 그릇을 빚는 일은 천민 계층에서 담당했기에 도공(陶工) 이삼평의 출생연도나 고향은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공주 근처에서 발견된 조선 시대 도편(陶片)과 일본 아리타 지역의 초기 도편들이 같다는 점을 근거로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이삼평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출병한 사가번(佐賀藩)의 번주(藩主), 즉 한국의 군(郡)이나 도(道)와 같은 행정구역을 통치하는 지도자인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가 1598년, ‘일본의 보물’로 삼고자 끌고 간 도공의 한 사람이었다.

일본에서는 1592년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친 침략으로 일어난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을 ‘도자기 전쟁’으로 부를 만큼 16세기 전 세계에서 조선과 명나라만이 보유하고 있던 최첨단 기술인 도자기 제조기술 약탈에 열을 올렸고,‘포로 중에서 도공을 먼저 보내라’는 명을 내릴 만큼 조선의 수많은 도공들을 포로로 잡아갔던 것이다.

그렇게 일본으로 끌려간 이삼평은 몇 년간 나베시마의 사위이자 가신인 다쿠 야스토시(多久安順)을 위해 일했고, 일본 규슈 지방의 사가(佐賀)현 아리타(有田)으로 이주해 가마를 열었다.

좋은 도자기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양질의 백토를 구하기 위해 일본 곳곳을 돌아다니던 이삼평은 1616년, 아리타 동부 이즈미야마(泉山)에서 최상급 자기의 원료가 되는 자석(磁石)광을 발견하고, 다른 도공들과 함께 도자기 제작에 필요한 물과 연료가 있는 ‘텐구다니(天狗谷)’에 도자기 전문 가마 작업장을 세우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의 분업제도와 비슷한 작업 시스템을 정착시켜 도자기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실향(失鄕)의 슬픔과 고향에 대한 향수를 담아 도공 이삼평이 일본 아리타에서 빚은 백자는 티끌 하나 없는 순백의 빛깔….대와 소나무 문양으로 절개와 순결을 강조한 조선 백자 자체였다.

그 단아하고 애잔하고 기품 있는 모습에 감탄한 나베시마 번주는 일본 최초의 백자요(窯, 가마)인 이삼평의 작업장을 적극 후원했고, 이후 아리타 지역에는 수많은 자기 가마가 생겨나며 이삼평은 일본인 사이에서 ‘도자기의 신’, 즉 도조(陶祖)로 추앙받았다.<출처: KBS WORLD>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도자기의 역사와 문화’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시대별 도자기의 의미와 특징,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산업화와 더불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도자기 시대를 비교하여 세련된 안목을 가질 수있게 한다. 더불어 과거와 현재를 융합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 할 수있는 창의력과 응용력을 키우는데 목적을 둔다.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3-1 [분반:102]

수업은 101분반과 102분반으로 나뉘며,이론(도자기 특성과 역사 )과 실기(도자기 제작)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또 2주동안은 두 분반이 함께 도자기 제조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실기 수업 재료비와 가스 가마를 사용하는 비용으로 수업 전 3만원을 내야하며 수업에 필요한 재료들을 모두 제공해준다.

*실기의 반영이 큰 과목이므로, 성적이 중요한 학생은 주의가 필요하다.

2023-1 [분반:102]

  • 이론 부분

도자기 제조 방법 및 특성과 도자기의 역사를 배운다. 소성방법, 가마의 종류에 따른 특성, 관리법, 동북아 지역 도자기와 유럽 도자기의 역사를 배운다. 또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청자, 분청사기, 백자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 실기 부분

처음에는 원통 모양을 만들어 뼈대를 세운다. 그 후 아이디어 스케치에 따라 도자기를 제작한다.

2023-1 [분반:102]

<과제정보>

  1. 실습을 위한 도자기 아이디어 스케치
    실습 전날 제출하며, 교수님이 해당 스케치로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지 판단해서 알려준다.
  2. 습 종료 후 자신의 도자기 포트폴리오 작성
    본인이 제작한 도자기 사진과 도자기에 관한 설명을 쓰면 된다.

*도자기 제목이 참신하면 가산점을 준다.

2023-1 [분반:102]

<시험정보>

시험 전 시험문제(서술형)와 중요한 부분을 교수님이 알려준다. 2023년 1학기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분청사기의 특징과 기법 서술
  • 한국 도자기의 맥이 끊긴 이유와 일본으로 도자기 흐름이 넘어간 이유, 유럽 도자기의 성행 이유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도자기 비교
  • 도자기 소성방법 설명 및 도기와 자기 비교

추천 저널

동양미술사학회
2287-4399
한국도자학회
1738-8473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383-7918
한국세라믹학회
1226-976X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
저자 홍승인(Hong, Seung In)
한국도자학연구 3. 1 (2006): 1-9.
저자 강석영
도예연구. Nov 30, 2004 21:1
저자 윤지인
차문화산업학 16. (2010): 1-25.
저자 김영원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82-12 :171-187
저자 박경자 (Park Kyungja); 박형순
미술사학. 2010-08 (24):291-321
저자 고경신; 주웅길; 안상두; 이영은; 김규호; 이연숙; Carolyn Kyongshin Koh; Woong Kil Choo; Sangdoo Ahn; Young Eun Lee; Gyu Ho Kim; Yeon Sook Lee
보존과학회지, 03/20/2011, Vol. 27, Issue 1, p. 75-90
저자 최혜림
식공간연구, 10/31/2006, Vol. 1, Issue 1, p. 107-110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문학과 예술(3영역)에 개설된 도자기의 역사와 문화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