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韓國語 比較格 助詞와 中國語 比較類 介詞의 對照 研究 / The Study of Korean Comparative Postpositions and Chinese Comparative Preposition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의미 기능, 형태적 특징, 그리고 통사적 특징의 몇 가지 측면에서 比較格 助詞와 比較類 介詞를 대조함으로써 이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비교는 인간이 사물을 인식하는 데 자주 쓰이는 인지 방법이다. 이는 어느 나라에든 다 존재하지만 각 나라의 언어가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언어로 실현되는 방식이 다르다.한국어는 교착어로서 문장 내에서 주로 助詞와 어미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助詞의 하위부류인 比較格 助詞는 비교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서 자주 쓰이는 대표적인 표지라고 볼 수 있다. 중국어는 고립어로서 문장 내에서 주로 어순이나 허사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허사 중의 개사는 한국어 助詞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이의 하위부류를 보면 비교의 관계를 나타내는 比較類 介詞가 존재한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서로 다른 어계에 속하기 때문에 比較格 助詞와 比較類 介詞로 비교를 하는 데 공통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는 것이 분명하다.比較格 助詞와 比較類 介詞에 대한 대조 연구들을 보면 주로 비교구문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통사적으로뿐만 아니라 다른 측면에서도 두 품사를 대조해 보았다. 먼저 의미 기능 면에서는 比較格 助詞와 比較類 介詞를 동등 비교, 차등 비교, 동등과 차등 비교의 3가지로 분류하고 이들의 의미 기능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 형태적으로는 比較格 助詞와 보조사, 부사격 조사 등 다른 助詞의 결합 양상 및 결합 형태의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 比較類 介詞와 대조해 보았다. 마지막 통사적으로는 比較格 助詞가 어떤 성분과 결합하는지, 그리고 다른 품사와 어떻게 호응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比較類 介詞와 대조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比較格 助詞와 比較類 介詞를 여러 측면에서 대조함으로써 두 품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은 두 언어의 번역과 언어 교육의 효율을 도모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makes a comparison between Korean comparative postpositions and Chinese comparative prepositions in terms of meaning, functi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yntactic features to reveal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Comparison is a common method of recognition. It exists in every country, but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language characteristics, there are different methods for comparison by language.As a agglutinative language, the grammar relationship in the sentences of Korean is expressed by postpositions and endings. Comparative postposition, one subcategory of postposition, is the representative symbol of comparative relationship. While as a isolated language, the grammar relationship in the sentences of Chinese is expressed by word order and form words. Similar to the Korean postposition, the Chinese preposition also includes a subcategory representing comparative relationship. That is comparative preposition. Since Korean and Chinese belong to different language systems, when using comparative postposition and comparative preposition to express comparison, there must be both common characteristics as well as differences.In the previous studies, the scholars mainly put emphasis on comparative sentences, comparing comparative postposition and comparative preposition. This study, however, adds more examinations of the features of them from other aspects.Firstly, it classifies Korean comparative postposition and Chinese comparative preposition as equivalent comparison, differential comparison and both comparisons and differential comparison to examin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them. Secondly, it examines whether Korean comparative postposition can be combined with other postpositions, such as auxiliary postposition and adverbial postposition, and the meaning of their combined forms. Then, it gives a comparison with those examinations for Chinese comparative preposition. Lastly, it examines the combining elements of Korean comparative postpositions and its relationship of response with other parts of speech. Then, it gives a comparison with those examinations for Chinese comparative preposition.This study reveals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comparative postposition and Chinese comparative preposition by examining many aspects of their characteristics. It will contribute to the translation work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anguag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