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차원 이동 모티프 드라마 연구 / A study on the Dimensional Travel motif TV dram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Fantasy dramas' using 'Fantastic Narrative' have been actively produced in Korea. The present study paid attention to the 'Dimensional Travel motif' of the Korean Fantasy drama which became a national sensation in 2016 and analyzed its narrative. Drama creates the fictional world 'webtoon ' and sets the mobility between two different worlds as a main motif which is rarely found in Korean Fantasy dramas. The motif of drama is similar to 'Time travel' or 'Time-slip', whereas this drama uses 'Dimensional Travel' motif that chooses 'Space' as an element of Fantasy instead of 'Time'. This unique concept led an unforeseeable story and caused a sensation. The present study regarded that 'Dimensional Travel motif' makes the dynamic narrative of drama , so analyzed how this motif affects to the narrative. In the stories with 'Dimensional Travel motif' a main character visits another dimensional world. This motif succeeds to the 'Journey to the other world motif' in folktales. It also has the same origin with the works, dealt with 'various dimension journey', 'hyperspace' and 'time travel' that appeared from the middle of 19th century, when the traditional space-time concept started to disappear. The fictional webtoon world is created and the narrative spreads out through dimensional travels between the webtoon world and the real world. The dimensional travel motif causes feeling of tension with a dramatic structure. The most notable point in a narrative structure of drama is a creation of the fictional world that enables dimensional travel. The existence of the fictional world causes episodes while the characters move to webtoon world, which is indepedent from the real world.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 world(exterior space) and webtoon world(interior space) is crumbling down according to the character's travel. The narrative unfolds while characters grasp the relation between two worlds. Several characters including Kang Chul, the hero of drama , are described to have a strong desire for existence. The story of drama continues with characters realizing 'the real world', struggling to prove their existence. Webtoon world is changed by hero's realization. While characters realize 'the law of the world', unexpected events happen and the story is completely twisted from the story so far. The story is temporarily cut off at this point and segmental flot appears with an entirely new story. Drama accepts the 'complex narrative' trend appeard from 1990s. It deconstructs chronological time and pursues fantasies being across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unlike a general narrative based on the cause-and-effect relation. It also gives viewers both confusion and fun at the same time with a twisting story. The interesting feature of drama is a dynamic narrative. It is working effectively with placing 'Dimensional Travel motif' by creating the new fictional world(webtoon world), making characters who have a strong desire to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fictional world and the real world and producing segmental episodes due to the newly revealed law of the webtoon world. The present study, analyzing an experimental attempt in terms of materials and forms of the Fantasy drama , may contribute to the works of creators and story-telling researchers of Korean Fantasy dramas.
‘환상 서사’를 도입한 이른바 ‘판타지 드라마’가 활발히 제작되고 있다. 본고는 화제의 판타지 드라마 (MBC,2016)의 차원 이동 모티프에 주목하여 내러티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는 한국 판타지 드라마 중 드물게 ‘웹툰’이라는 가상 세계를 창조하여 차원이 다른 두 세계 간의 이동을 주요 설정으로 삼은 드라마다. 는 시간 여행·타임슬립 설정과 닮았으나 ‘시간’ 대신 ‘공간’을 환상성의 요소로 삼은 ‘차원 이동’을 모티프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판타지 드라마 중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예측불허’의 스토리 전개를 보여 화제가 됐던 드라마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차원 이동 모티프가 이 드라마의 역동적 서사를 가능케 했다고 보고, 모티프가 내러티브 속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살펴보며 분석을 진행했다. 가 보이고 있는 차원 이동 모티프는 주인공이 차원이 다른 미지의 세계를 방문하게 되는 모티프로 설화나 민담의 ‘타계 여행’, ‘이계 방문’ 모티프를 계승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시공간에 대한 개념이 무너지기 시작한 19세기 중반부터 등장한 다차원 여행, 초공간, 시간 여행을 다룬 작품들과 같은 뿌리에서 나왔다. 의 서사는 가상의 웹툰 세계를 창조하여 현실 세계와 웹툰 세계, 두 공간 사이의 차원 이동을 통해 전개되어 나간다. 차원 이동 모티프는 극적 구조를 만들어 극에 팽팽한 긴장감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의 내러티브 구조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차원 이동을 가능케 한 가상 세계의 창조이다. 웹툰 라는 가상 세계의 존재는 극중 인물이 현실 세계와 독립된 세계인 웹툰 세계로 이동하면서 ‘사건’을 발생케 한다. 외부 공간인 현실 세계와 내부 공간인 웹툰 세계 사이의 경계는 등장인물의 차원 이동에 따라 해체되며, 등장인물이 두 세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면서 극의 서사가 진행된다. 드라마 의 주인공이자 웹툰 의 주인공인 강철을 포함해 극중 여러 인물들은 존재에 대한 강한 욕망을 가진 것으로 그려진다. 드라마 는 ‘존재 증명’을 향해 고군분투하는 등장인물들이 세계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사건이 발생하고 스토리가 전개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웹툰 의 세계는 주인공의 인식에 따라 변형되는 세계로서, 등장인물이 ‘세계의 법칙’을 하나씩 깨달음에 따라 예상치 못했던 사건이 발생하면서 지금까지 쌓아왔던 스토리를 뒤집는 반전이 일어나고 있다. 이때 이야기가 일시적으로 단절되며, 전혀 새로운 이야기가 진행되는 분절적 서사가 나타난다. 드라마 는 1990년대부터 나타난 이른바 ‘복잡한 내러티브’ 경향을 수용한 작품들 중 하나로서 연대기적 시간을 해체하고, 인과 관계를 따르기보다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환상성을 추구하며, 반전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혼란과 동시에 재미를 안겨주는 내러티브를 선보인다. 드라마 의 특징으로 꼽혔던 역동적 서사는 웹툰 세계라는 새로운 가상 세계의 창조로 인한 차원 이동(배경),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간의 숨겨진 관계를 파악하는 등장인물(인물), 새롭게 드러나는 웹툰 세계의 법칙으로 인한 분절적 에피소드의 생성(사건) 등 내러티브의 요소들이 효과적으로 기능하면서 가능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판타지 드라마 의 소재, 형식면에서의 실험적 시도를 분석한 이 연구가 향후 한국 판타지 드라마를 제작하는 창작자와 드라마 스토리텔링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