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지리 교과서의 지리정보체계(GIS) 내용 및 평가 문항 분석 : 2009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GIS-related Contents and Test Items of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focus on 2009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2009개정 교육과정
한국지리
GIS
Language
Korean
Abstract
오늘날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여 정보의 중요성이 급격하게 부각됨에 따라서, 중등학교 사회과 과정에서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었다. 그리고 이는 학생들의 학습의욕 증진, 이해력과 학습능력 증진, 컴퓨터 관련 지식 습득, 공간인식 능력 향상 등의 지리교육에서 GIS의 교육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사회가 원하던 분위기와는 다르게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도는 극히 미비한 상태이다. 이러한 원인 중 하나는 교과서마다 내용의 상이함으로 인해 학생들이 습득해야 하는 지식의 범위와 깊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 한국지리 교과서 5종을 중심으로 제6차 교육과정부터 GIS에 대한 부분을 학습목표, 지면 배당, 항목‧내용‧시각자료 및 보조자료‧용어 분석으로 나누어서 살펴봄으로서, 교과서별 편차와 전국단위평가에서 GIS 출제 문항의 편중성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GIS 부분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2009개정 교육과정 한국지리 교과서 5종의 GIS 관련 학습목표는 지식, 기능, 가치‧태도, 행동‧실천 영역 간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지식과 기능 위주로 편성 되어있다. 학습 내용의 방향은 GIS를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지식과 기능 위주로 편성되어 있는 문제점의 해결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지리공간적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교과서 내 GIS 지면 배당은 크게 늘어났다. 또한, 지리정보 개념을 수록하여 GIS의 개념 이해를 돕는 방식을 사용하였고, 최신 기술들도 수록되었지만, 평가 위주의 교육환경 때문에 중첩 분석의 중요성만 크게 부각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공간 분석 기법들에 대한 부분도 수록될 필요가 있다. 셋째, ‘2009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해설 사회과(역사)’의 교수‧학습 부분에 수록된 GIS와 관련된 내용을 필수 내용으로 선정하여, 교과서 내용 비교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가 해설에 열거된 필수 내용들을 단순하게 기술하고 있어서 교과서마다 내용의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들의 올바른 GIS 이해를 위해 내용의 깊이를 고려하여 수록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교과서에 수록된 용어들은 현재 사용되는 기술이나 서비스들에 대한 것들이어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있다. 하지만, 공학적인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어서 고등학교 수준에 맞는 단어들이 사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결국,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 단원별로 대강화된 성취 기준만을 제시한 방식의 문제점으로 교과서 집필자에 따라 내용이 편중 현상이 발생하고, 전국단위평가 문항에서도 특정 부분만 출제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방식은 교과서 집필자 및 현장 교사에게 더 많은 자율성을 부여한다는 취지로 도입되었다고 본다면, 교과서는 필수 내용이 모두 채워지고 집필 방식 등에서 차이가 발생했을 때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Today, as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is coming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is highlighte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ontents are included in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courses. And this Contents are expected to have educational effects in Geography Education in terms of students' motivation enhancement, comprehension and study skills enhancement, computer-related knowledge, spatial awareness skills, etc. However, this Contents are not widely used in education. It is because each textbook has included different contents that students should learn. Therefore, I focused on the 5 Korean geography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studied to differences of each textbooks in Learning goal, Page, Item, Contents, Visual Materials, Aid Materials, Used Terms. Also, I analyze the GIS-related test items, and studied to the Preponderance Phenomenon of test items. First, the Learning goals of the 5 Korean geography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re focused on organized knowledge and skills. Direc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how to understand the GIS. So it is necessary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that the Learning goals are focused on organized knowledge and skills. Second, as Geospatial Technology gains importance, the Page of GIS part also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extbooks. Also, the concept of Geographic Information is included in textbook and it used to help to understanding the GIS, and the latest technologies are included in textbooks. However, only the importance of the Overlay Analysis is highlighted in textbooks becaus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nly focused on assess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various Spatial Analysis Technique in textbooks. Third, I compared the Mandatory Contents with the textbooks. The Mandatory Contents is the GIS-related part of Teaching‧learning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ommentary Social Studies (History)’. It showed gaps because of most textbooks are simply descriptive of the Required Contents. So authors should write the textbooks in consideration of the Mandatory Contents for the students' correct understanding about GIS. Fourth, the Terms contained in textbooks is about current technology and services. This Terms has caused the students' interest. However,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because of included engineering terms in textbooks. So it needs to be changed the terms for the high school level. After all, this policy has a problem that the difference content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extbook authors because of this policy presented only roughly achievement standards in each chapter sinc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se problem appears to be a tendency to questions only certain items in the Nationwide Tests. This policy has been introduced to the purport that granting more autonomy to textbook authors and teachers. Thus, this policy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extbooks filled out all the Required Contents and textbooks difference between writing methods. Thus, the Curriculum Commentary will have to be included the criteria for the Mandatory Contents that students must learn, and textbooks will have to be included the Mandatory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