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능성 흰 우유 패키지에서 정보전달요소의 선호와 이해 / A study on preferences and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functional white milk package desig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기능성 우유
패키지 디자인
시각정보요소
브랜드정보요소
기능정보요소
이미지정보요소
선호도
기능이해도
기능연상색채
Language
Korean
Abstract
Globally consumption of milk has been reduced. Food & Beverage trends are changing and the milk market in response to it. Milk companies enhance competitiveness in a variety of concepts and function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ilk market changes in Korea and analysis the information elements of the functional white milk package design. Fisrt of all, through understanding the current white milk package design condition, organized by elements in the package design to the three kinds of information elements which are Brand information elements, Functional information elements and Image information elements. In addition, identify the each information elements and appeal Types. Secondly, validate the preference, Purchase Intention and Features understand of the extracted elements through the survey. In the second survey, found out the reason for the selected answer and extracts the keywords for the response to in-depth analysis of the response of each el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and information elements should be applied to the package layout in consideration of all of the brand power and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Secondly, functional information elements is certainly a key factor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and it found that emotional expression is influencing the preferences. However, it will have to apply to study enough for the target's because of the Understanding differs by gender and age information. Third, image information elements is found that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and good feeling. Fourth, it showed that color is reminiscent of the function. The ingredient removal concept milk redolent low chroma and high brightness but the ingredient added concept milk redolent high chroma and low brightness. In whole milk case, reminiscent of the color is shown that studied frequent exposure milk product color in the market. Lactose-free milk indecated any specific reminiscent of the color. It means that making an attempt to communicate with the new color. In conclusion, design information elements of the functional white milk package has a different effect to the consumer. Therefore, it is determined to require a precise effect analysis and strategic design of each element. In addition, functional drinks market is as functional milk. Therefore, it is expected to utilize to functional beverages design.
세계적으로 우유생산력은 꾸준히 높아지는 반면, 우유의 소비는 감소 추세에 있다. 이는 식음료의 큰 트렌드 변화 중 하나이며, 이에 발맞추어 식음료제품들은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우유 제품들도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며 다양한 컨셉과 기능성 제품의 출시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능성 흰 우유의 시장 현황을 파악하고 문헌연구와 사례분석 및 실증분석을 통해 기능성 흰 우유 패키지 디자인에 사용된 정보전달 요소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우유의 기능에 따른 정보의 시각표현방법과 각 정보요소의 선호도와 기능이해도, 기능연상색채를 살펴보았다. 제 1장에서는 기능성 흰 우유 패키지 디자인에서 정보요소의 이해와 활용을 돕기 위한 본 논문의 목적과, 정보요소의 선호도, 기능이해도, 기능연상색채를 우유의 기능컨셉과 인구통계학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명시하였다. 또한 2014년 업체 매출순위와 판매중인 기능성 흰 우유 제품 개수를 고려하여 선정한 4개 업체의 27개 기능성 흰 우유 제품을 연구 범위로 선정하였다. 제 2장에서는 국내외 시장과 소비 트렌드를 살펴 국내의 가능성 우유의 변화 현황파악을 통해 기능성 흰 우유 패키지디자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제 3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기능성 우유 패키지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개념과 속성, 유형 및 분류방식과 연구범위 내 기능성 흰 우유의 패키지디자인 현황을 살펴보았다. 제 4장과 제 5장에서는 각 정보요소의 이해를 위해 기능성 흰 우유 패키지디자인를 분석하고 각 제품의 디자인 요소를 추출, 분류, 분석하여 정보전달 기능을 중심으로 유형화하였으며, 각 유형에 따라 대표 샘플을 추출하였다. 제 6장에서는 추출된 정보요소를 가공하여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자극물을 제작하여 정량조사와 정성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유패키지에 나타난 디자인 요소를 정보전달의 관점에서 브랜드정보요소, 기능정보요소, 이미지정보요소로 분류하였다. 소비자는 기능성 흰 우유제품의 패키지에서 브랜드정보요소 보다 기능정보요소를 잘 이해하고 선호하며, 기능정보요소에 대한 이해도는 높으나 선호의 면에서는 이미지전달요소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능이해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게 조사되었으며, 남성의 경우 30, 40,대로 나이가 들수록 이미지정보요소를 통한 기능이해도가 높게 나타났다. 기능에 따른 연상색채에 대한 조사에서는 각 기능에 따라 연상되는 색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 흰 우유의 경우 하늘색을 가장 많이 연상하였고 저지방우유는 하늘색과 연두색을, 무지방 우유로는 회색과 하늘색을, 고단백 우유로는 파랑과 진녹색을, 락토프리 우유로는 회색과 노랑, 파랑, 연두색 등 다양한 색을 연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에 대한 이해는 기능정보요소를 통한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음에도 이미지정보요소 자극물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점은 기능성 흰 우유 제품이 아무리 기능성 제품이라고 하여도 식음료 제품으로써 식감이나 신선함과 같은 이미지정보요소가 큰 비중의 중요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기능정보요소의 경우, 타겟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기능이해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기능제품의 타겟에 따라 기능정보요소와 이미지정보요소의 적절한 사용이 요구된다. 기능성 흰 우유 패키지의 색채는 전반적으로 제거컨셉 우유는 저채도 고명도의 색채가, 첨가컨셉 우유에서는 고채도 저명도의 색채 연상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흰 우유의 기능성의 컨셉에 따라 연상되는 색채의 채도와 명도에 기능의 + 개념과 -개념이 연상색채에 반영되어 명도와 채도의 강약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무지방 우유와 락토프리의 경우는 연상색채가 시중제품 색채와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아직 시중의 색채가 많은 소비자들에게 학습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며, 새로운 색채로 기능에 대한 정보전달의 시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흰 우유를 중심으로 패키지디자인에서 정보요소의 선호도, 기능이해도와 기능에 따른 연상색채를 정량조사와 정성조사를 통해 알아보고 설문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능성 흰 우유 패키지 디자인 시, 브랜드정보요소, 기능정보요소, 이미지정보요소가 잘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우유가 포함된 음료시장에서도 기능성식음료의 패키지 정보표현에도 활용 가능 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