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공립대학교 학생생활관의 기록관리기준표 작성에 관한 연구 : M대학 학생생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in the Student Residence Hall of National Universit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학생생활관
기록관리기준표
Language
Korean
Abstract
우리나라의 기록관리는 10여년이라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2006년 공공기간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의 개정 등의 괄목할 만큼의 성과를 이루어 냈다. 특히, 정부에서 효율적인 기록관리를 위하여 여러 방안들을 고안하였고 이를 법제화하는 등의 발전을 일구어냈다. 기록관리가 도입되기 이전의 시기보다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의 효율성과 기록관리를 밑바탕으로 하여 업무효율성은 제고되었다. 기록관리에서 기록물을 분류하는 방법에서도 기존에 활용되었던 기록물분류기준표를 대신하여 기록관리기준표가 도입되었다. 정부의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2009년부터 도입되어 운용중이며, 대학과 공공기관 등에서도 도입하여야 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공공기관의 기록관리는 기록물분류기준표에 의해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어떤 이유로 기록관리기준표가 도입되었을까?’ 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현재 기록물분류기준표를 사용하고 있는 국공립대학교의 학생생활관, 한 곳을 선정하여 기록관리기준표를 직접 작성해 보는 것을 목표하였다. 먼저, 기록물분류기준표와 기록관리기준표가 어떠한 것인지를 비교․대조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기록물분류기준표의 구조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동시에 기록관리기준표가 도입되게 된 배경과 도입하였을 때의 성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 선정한 대학의 학생생활관의 기록물분류실태와 기록관리기준표 작성을 위한 예비단계로서 업무분석에 관하여 논설하였다. 대학의 학생생활관의 특징과 업무에 대해 분석하여, 기관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이를 근간으로 하여 기록물분류기준표를 적용하고 있는 학생생활관의 기록물현황을 살펴보았고 기록물에 대한 분류 실태에 대하여 지적하였다. 문제의 해소를 위하여 여러 업무분석 방법론을 참고로 하여 새로운 업무분석방법론을 제시․적용하였다. 세 번째로 학생생활관의 업무분석을 통하여 기록관리기준표를 직접 작성해 봄으로써 국공립대학 학생생활관의 전범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단위과제 설정 시 유의사항과 보존기간 및 보존기간의 책정사유 등 기록관리기준표 작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점검하였다. 다음으로 업무에 대하여 소기능과 단위과제를 설정하였고, 단위과제설명과 하위 기록물철을 선정하였다. 단위과제의 보존기간을 책정하였고 그에 따른 근거로서 책정사유를 작성하였다. 기록관리의 효율성과 동시에 업무효율성을 제고하며, 기록의 활용과 투명행정의 성과를 불러 올 수 있는 기록관리기준표는 조속히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록관리기준표를 작성함으로써 국공립대학 학생생활관의 기록관리기준표 라는 통일되고 표준화된 기준을 제시한 점, 둘째, 기록관리기준표의 작성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records management of Korea has accomplished a remarkable performance like new 2006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etc. in spite of its short history of about 10 years. Especially, Korean government has made several plans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records management and then developed it such as legislation and so on. So, the efficiency of records management at public institutions and their job efficiency based on records management has been improved more than before the introduction of records management. In the viewpoint of the way to classify records in records management,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was induced instead of the existing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The central departments and ministries of Korean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has operated it since its introduction in 2009, and now is the time that universities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induce it. This study was examined from the critical mind that 'is the records management of current public institutions operated according to a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and 'What is the reason that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was induced?'. To clarify them, this study aimed at making directly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by selecting one student dormitory of a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currently using a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Firstly, this study analyzed both a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and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through the comparison and contrast and then examined the structure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the analysis. At the same time, the background of the induction of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and the performance after the induction was investigated. Second, this study editorialized the actual status of records classification at the student dormitory and a job analysis as a preliminary stage to make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The characteristics of an institution was clarified by analyzing the features and jobs of a student dormitory.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and analysis, the current status of records that a student dormitory is applying a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was examined and the classification status of the records was pointed out. Also, this study suggested and applied a new work analysis methodology with reference to the existing several work analysis methodologies for the sake of resolution of a problem. Third,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standard model for student dormitories of national universities by making directly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via the job analysis of a student dormitory. For this, requirements to make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such as cautions in fixing a unit task, a preservation period and a reason to fix the preservation period and etc. were examined. Next, a function and a unit task were fixed, a unit task was explained and then a sub records folder was selected. In addition, the preservation period of a unit task was fixed and the reason was also mad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cords management and job efficiency,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which is able to cause application of records and the performance of transparent administration should be induced as soon as possib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is respect that it suggests a united and standard model for student dormitories of national universities by making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and the procedure to mak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