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申采浩의 箕子・箕子朝鮮 인식 / Shin Chae-ho’s perception of Gija and Gija Jose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신채호
기자
기자조선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글에서는 신채호의 대표저서를 중심으로 기자・기자조선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동시대 연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식의 배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독사신론』의 기자・기자조선 인식은 당시 역사교과서의 기자・기자조선 서술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애국계몽기의 역사교과서는 기자동래로 인해 단군이 부여로 천도하였으며 기자가 동래 직후 왕위에 올라 단군의 정통을 잇고 8조교를 펼쳤다고 하였다. 이는 대한제국이 기자조선의 정통을 이었음을 강조함으로써 청에 대한 자주성을 확보하고자 한 것으로, 일종의 소중화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반면 신채호는 이러한 역사는 없는 것만 못하다고 하며 역사교과서의 서술을 비판하였다. 그는 『독사신론』에서 민족을 중심으로 한 역사서술을 강조하였고, 기자는 우리역사의 객족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단군의 후예가 기자를 피해 갔다’는 인식을 부정하고, 동래 직후 기자는 부여 왕에 의해 임명된 평양지역의 수위로서 8조교를 펼쳤다고 하였다. 기자조선은 기자동래 직후가 아니라 기자 후예들에 의해 성립된 것이라고 보았으며, 객족이 세운 나라이므로 우리역사에 절대 포함시킬 수 없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애국계몽기 역사교과서가 기자조선 강조를 통해 청에 대한 자주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것에 반발하여 청 뿐 아니라 전통적인 존화사상 자체에 대한 자주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인식한 것이었다.다음으로, 『조선상고문화사』와 『조선상고사』의 기자・기자조선 인식은 대종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대종교 계통의 저서들은 단군의 천도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인식하였고, 기자는 동래 직후 왕이 되어 8조교를 펼쳤다고 하였다. 또한 민족상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을 분리하여 인식하였으나 김교헌의 경우는 반배달족이라 하여 배달족의 지파로 보았다. 기자조선의 중심지는 한반도 외부에 비정하였다.반면 신채호는 『조선상고문화사』와 『조선상고사』에서 문화 중심의 역사서술을 하였다. 기자의 동래 원인이 단군종교(수두교)에 대한 숭배에 있다고 보았으며, 기자의 8조교는 단군이 전해준 것이라 하였다. 기자의 민족은 명확히 드러나지 않으며, 기자의 후예가 조선 열국에서 상당한 위치를 차지했다고 하여 조선역사에 융합시켜 인식하였다. 그 중심지는 한반도 외부에 비정하였는데, 『조선상고문화사』의 경우 위치가 김교헌의 비정과 거의 흡사하다. 따라서 신채호가 이 시기에 대종교의 영향을 받았으나 단군문화의 우월성에 대한 강조는 그 이상임을 알 수 있다.한편, 신채호의 『조선상고사』 이후 최남선이나 정인보, 이병도와 같은 사학자들은 기자의 동래 자체를 부정하고 기자조선의 내부발전설을 강조하였다. 신채호 이후 부정되기 시작한 기자・기자조선의 의의가 완전히 부정되기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기자・기자조선에 대한 인식전환기에 신채호의 인식이 교두보적인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in Shin Chae-ho’s perception of Gija and Gija Joseon on the basis of the representative collection of his writings. Moreover, this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his perception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contemporary studies.First, his perception of Gija and Gija Joseon in ‘Doksa Sillon’ stemmed from his criticism on the description of Gija and Gija Joseon in the history textbook at the time. The history textbook in the patriot and enlightenment period stated that Dangun had transferred the capital to Buyeo due to Gija who had come to Joseon and that Gija had implemented the ‘8 Rules’ in order to inherit from Dangun by succeeding to the legitimate title to the throne right after coming to the east. The purpose of this historical description was to secure the independence from the Qing Dynasty by emphasizing that the Korean Empire was the legitimate successor of Gija Joseon.In contrast, Shin Chae-ho perceived Gija as an emigrant in the Korean history. Moreover, he denied the perception that the descendants of Dangun had avoided Gija. Instead, he argued that Gija had implemented the ‘8 Rules’ as the governor of Pyeongyang region appointed by the king of Buyeo right after coming to Joseon. He also regarded Gija Joseon as the nation founded by the descendants of Gija rather than the nation founded by Gija immediately after coming to Joseon. He therefore emphasized that Gija Joseon must not be included in the history of Korea because it was founded by an emigrant. Shin Chae-ho instead argued that it was imperative to secure the independence not only from the Qing Dynasty but also from the conventional Sinocentrism.Next, the perception of Gija and Gija Joseon, which was revealed in ‘Joseon Sanggo Munhwasa’ and ‘Joseon Sanggosa’, was influenced by Daejonggyo. The Daejonggyo related writings perceived that it was difficult to accept Dangun’s movement of capital as true. These writings also argued that Gija had become a king right after coming to Joseon and implemented the ‘8 Rules’. In addition, these writings tended to separate Gija Joseon from Dangun Joseon in terms of ethnicity. However, Kim Gyo-hun regarded Gija Joseon as a branch of the Korean race. That is, he regarded Gija Joseon as an anti-Korean race. He also presumed that the central region of Gija Joseon was outside the Korean peninsula.In contrast, Shin Chae-ho advocated the culture-centric historiography in ‘Joseon Sanggo Munhwasa’ and ‘Joseon Sanggosa’. He argued that the cause for which Gija had come to Joseon was the worship for the Dangun religion(Sudugyo). He also said that Dangun passed down the ‘8 Rules’ to Gija. They presumed that the central region of Gija Joseon was locate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r. The location presumed in ‘Joseon Sanggo Munhwasa’ is almost identical to the location presumed by Kim Gyo-hun. Therefore, Shin Chae-ho was influenced by Daejonggyo during this period. Nonetheless, his emphasis on the superiority of Dangun culture was not limited to Daejonggyo.Meanwhile, such historians as Choi Nam-seon, Jeong In-bo and Lee Byeong-do highlighted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of Gija Joseon. The meaning of Gija and Gija Joseon were completely denied after Shin Chae-ho started denying it. On that account, it can be seen that Shin Chae-ho’s perception served as a bridgehead in the transition period of perception for Gija and Gija Jos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