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지원 요구 차이 / Differences in Support Need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특수학급; 특수학교; 지적장애학생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aper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upport need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25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and 21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were selected and answered to some questions through the interview and survey. In the end, the result was analyzed by SPSS program. In this process, second part of Support Intensity Scale-Children’s version in Korean was used. With this tool, differences in overall support needs and specific activities’ needs of the two groups. As a result, there was not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sum of need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howev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need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parts of family life activity, health and safety activity, social activity and self-defence activity. The four areas of activities which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support needs for the students of the two groups are over the half of seven major activities which are family life activity, health and safety activity, social activity, self-defence activity, school involvement activity, community activity and school learning activity. Given that the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inversely proportional with their support needs, this result showe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have lower performance levels tha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In conclusion, this paper mean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have lower performance levels tha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and measures are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The SIS should be utilized in the fields of education.
본 논문은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지원 요구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적장애학생의 기능성이 향상되면 장애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은 기능성 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이며 적절한 방법을 취해야 한다. 기능성에 집중하는 교육은 분리된 교육환경인 특수학교와 통합된 교육환경인 특수학급 모두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통합교육의 경우 물리적 통합만으로는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기능성 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기능성 수준을 비교하고 기능성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환경과 그렇지 못한 환경을 밝히고자 한다. 이에 따라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직접적인 기능성 수준을 검사하기는 어려우므로 기능성 수준과 반비례 관계인 지원요구정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의 학생들이 가지는 기능성 수준을 판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슷한 조건을 가진 특수학급에 배치된 지적장애학생 25명과 특수학교에 배치된 지적장애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 및 설문지를 실시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한국판 아동용 지원정도척도 2부를 활용하여 두 집단의 전체적인 지원요구를 알아보았으며 그 하위영역별 지원요구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특수학급과 특수학교 두 집단에 배치된 지적장애학생의 총지원 요구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지만, 일곱 가지 하위 영역 중 네 가지 영역인 가정, 건강과 안전, 사회, 옹호 활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과반의 하위영역에서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의 지원 요구가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기능성에 부족함을 느낄수록 지원요구가 높아진다는 상관관계를 고려하였을 때, 이러한 결과는 통합환경인 특수학급의 지적장애학생들이 기능성 측면에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들보다 수행 수준이 더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특수학급의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지원을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방안이 후속 연구에서 모색되어야 하며 교사를 대상으로 지원정도척도 검사방법을 주지하도록 하고 학교 시스템상으로 이를 진행하도록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