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西岡 柳遠重의 생애와 학문
The life and study of Seogang Ryu Wonjung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南冥學硏究, 0(68), pp.325-348 Dec, 2020
Subject
철학
Language
한국어
ISSN
2713-7767
1226-8925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confirm Ryu Won-joong's Confucianism characteristics and coordinates based on the epistle and miscellaneous writing of the Seogangseonsaengmunjib(西岡先生文集).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which began with Ki Jeong-jin and passed down to him through Jeong Jae-gyu,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his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in the relationship with Choi Ik-hyun and Song Byeong-seon. This is also a way to understand how Confucian scholars who lived in the upheaval of modern times understood the times and how they responded to such changes.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 of his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by paying attention to the two aspects, the external aspect and the internal aspect. First of all, the external aspect of the study is the parts that can indirectly confirm his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and our main targets for confirmation are the actions and attitudes of his life, and the formal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network shown in the sent letter. to be. On the other hand, the inner aspect of the study of course refers to the content itself of writings or epistle that can directly confirm his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The characteristic of his Confucianism, which is confirmed in this aspect, is closely related to his teacher, and it is confirmed that he faithfully inherits the viewpoint of the series. The main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that Ki Jeong-jin showed is the expansion of Li's prerogative to Qi, and such problem consciousness is confirmed in Ryu Won-joong. In this respect, he is understood as one of the last Confucian scholars who consistently defended his conviction as a Confucian scholar and the view of the Confucianism inherited from his teacher despite the confusion of the modern era, when the existing order was destroyed, and the strength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addition, the fact that Confucian scholars can understand how they responded to the changes in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his life is also a major income of his research.
이 논문은 『서강선생문집』의 서간문과 잡저에 기초해 류원중의 성리학적 특징과 좌표의 확인을 목표로 한다. 기정진에서 시작해 정재규를 거쳐 그에게 전승된 성리학에 더해, 최익현이나 송병선과의 관계 속에서 그의 성리학은 어떤 특징을 보여주는지를 확인하는 것, 이것이 바로 이 논문의 목표인 셈이다. 이것은 격변의 근대를 살아간 유학자들이 그 시대를 어떻게 이해했고, 또 그와 같은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이해하는 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학문 외적인 측면과 학문 내적인 측면, 이 두 가지에 주목해서 그가 보여주고 있는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어떤 특징과 지향을 가지는지 분석한다. 먼저 학문 외적인 측면은 그의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들로, 우리의 주된 확인 대상은 그의 삶이 보여준 행적과 삶의 태도, 그리고 발송한 서신이 보여주고 있는 형식적인 정보와 그 관계망 등이다. 반면 학문 내적인 측면은 당연히 그의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저술이나 문헌의 내용 자체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확인되는 그의 성리학이 보여주고 있는 특징은 그의 사승인 노사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또 그 계열의 관점을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기정진이 보여준 주요한 성리학적 특징은 기에 대한 리의 주재성을 확장하는 것이었고, 이와 같은 문제의식은 류원중에서 그대로 확인된다. 이런 점에서 그는 기존 질서가 무너지는 근대 시기의 혼란과 망국, 일제의 강점이라는 현실적 흐름 속에서도 일관되게 유학자로서의 신념과 함께 스승으로부터 계승한 성리학적 관점을 지켜낸 마지막 유학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그의 삶으로부터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의 변화에 유학자들은 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주요한 단서와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 역시 그에 관한 연구의 주요 소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