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2438cgm a2200301 k 4500 | ||
001 | 0009301830▲ | ||
005 | 20230516132055▲ | ||
007 | vd czaizs▲ | ||
008 | 091204n ulk45 z cvlkor ▲ | ||
035 | ▼a(KERIS)BIB000011743690▲ | ||
040 | ▼a241008▼c241008▼d221016▲ | ||
082 | 0 | 4 | ▼a641.595▼221▲ |
090 | ▼a641.595▼b2▲ | ||
110 | ▼aQ Channel▲ | ||
245 | 1 | 0 | ▼a멋이 담긴 맛, 그 오천년의 신비 ▼h[비디오 녹화자료] :▼b한국 /▼dQ Channel 제작.▲ |
260 | ▼a서울 :▼bQ Channel [제작]:▼b중앙방송 [공급원],▼c[발행년 미상].▲ | ||
300 | ▼a비디오디스크 1매 :▼b유성, 천연색 ;▼c4 3/4 in.▲ | ||
490 | ▼a아시아 음식문화기행▲ | ||
500 | 0 | 0 | ▼a녹음: 한국어, 영어▲ |
500 | 0 | 0 | ▼a자막: 한국어▲ |
500 | 0 | 0 | ▼a우리나라 최초, 최고의 교양/다큐멘터리 Q채널▲ |
500 | 0 | 0 | ▼a임의 권차 부여함.▲ |
520 | ▼a국내 최초 다큐멘터리 채널로 시작,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종합 교양채널 Q채널! Q채널이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프로그램과 BBC, NHK, CNN 등 해외 메이저 방송사들의 프로그램을 통해 살아있는 세계, 생생한 리얼리티를 느낄 수 있음.▲ | ||
520 | ▼a동방의 작은 나라 한국. 오 천년의 긴 역사와 단일 민족으로서의 자부심은 ''음식문화'' 속에 고스란히 녹아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세계 속에 내 놓아도 손색없는 한국만의 멋과 맛, 그리고 그 오천년 역사의 숨결을 만나보자. 조선왕조 오 백년의 역사 속에 뿌리 내려온 유교사상은 한국인의 정신문화를 지배하고 있을 뿐아니라 독특한 제례문화를 이어오게 했다. 수확에 대한 감사를 조상께 올리는 추석의 상차림과 제사는그 대표라 할 수 있다. 윤택한 자연환경 덕에 농경사회로 자리 잡아 온 한국의 주식은 밥이다. 이렇듯 무미(無味)에 가까운 밥이 한국인의 주식으로 자리잡은 데에는 다양한 반찬이 밥과 함께 맛의 조화를 이뤄왔기 때문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한국의 뚜렷한 사계절과 산, 들, 바다 등 다양한 지리적 특색은 우리의 밥상에사시사철 다양한 반찬을 올려놓았다. 그리고 같은 재료로 만든 음식이라 해도 맛이 차이를 낼 수 있는 정성은 한국 음식문화만에 신비스런 요소이다.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 한 그릇과 매콤한 김치, 그리고 얼큰하고 구수한 된장찌개 하나면 한끼 식사가 충분한 한국인의 밥상. 김치와 된장은 음식 속에 시간의 흐름을 담아낸 한국의 대표적 발효식품이다. 먹거리가 부족한 겨울을 나기 위해 담근 김장김치는 겨울의 반 양식으로 오늘날까지 대부분 가정의 연중행사로 자리 잡았다. 깨끗한 물과 맑은 공기, 적당한 일조량 등 자연적 조건과 가장 좋은 재료, 그리고 정성으로 만들어진 된장. 이러한 발효식품은 오늘날 의학적 분석을 통해 탁월한 건강식품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또한 김치는 남녀노소 누구라도 가장 즐기는 매운맛의 대표. 매운맛은 한국의 가장 대중적인 간식거리인 떡볶이, 순대볶음에서부터 별미음식인 전주 비빔밥까지 한국인의 음식 속에 폭넓게 자리잡고 있다. 한국전통의 멋과 맛이 살아있는 궁중음식과 사찰음식. 두 음식은 재료와 맛, 음식에 대한 철학까지도 다르지만 전통음식의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한국 팔도의 멋과 맛, 그리고 시식의 법도와 옛 상류 사회의 여유로운 풍류사상까지 엿볼 수 있는 궁중음식은 오늘날까지 전해져 일반인들까지 즐기고 있다. 또한 불교가 한반도에 토착화되면서 점차 자리매김한 사찰음식은 한국 고유의 토속 음식과 섞이며 발전되었다. 이제 사찰음식은 고즈넉한 산사를 벗어나 서울의 복잡한 도심에서 자연의 맛을 일반인들에게 자랑하고 있다. 50여 가지 반찬이 ''상다리가 휘어질 정도''로 한 상에 차려지는 전라도 지역의 한정식. 산과 바다, 들의 다양한 자연환경의 만남으로 한반도 중 가장 풍성한 음식재료. 그리고 같은 재료를 사용해도 천차만별의 맛을 낼 수 있는 양념. 재료와 양념이라는 이 두 가지 만남은 가장 다양한 한국의 맛 속에 삶의 멋을 담아내고 있다. 무한한 생명력이 살아 있는 아침의 나라, 한국... 수도 서울에서 맛보는 흥미로운 맛의 세계... 그리고, 각 지방의 음식문화 속에 담긴 자부심... 정성으로 가득찬 한국 맛의 멋을 느껴보자▲ | ||
521 | ▼a전체관람가▲ | ||
538 | ▼aDVD전용 플레이어 ; 오디오, Dolby Digital 2.0 Stereo ; 화면, 1.33:1 스크린 ; 지역코드, NTSC ; 디스크, Single Layer.▲ | ||
910 | 1 | ▼a큐채널▲ | |
999 | ▼a정영주▲ |

멋이 담긴 맛, 그 오천년의 신비 [비디오 녹화자료] : 한국
자료유형
국내비디오
서명/책임사항
멋이 담긴 맛, 그 오천년의 신비 [비디오 녹화자료] : 한국 / Q Channel 제작.
단체저자
발행사항
서울 : Q Channel [제작] : 중앙방송 [공급원] , [발행년 미상].
형태사항
비디오디스크 1매 : 유성, 천연색 ; 4 3/4 in.
총서사항
일반주기
녹음: 한국어, 영어
자막: 한국어
우리나라 최초, 최고의 교양/다큐멘터리 Q채널
임의 권차 부여함.
자막: 한국어
우리나라 최초, 최고의 교양/다큐멘터리 Q채널
임의 권차 부여함.
요약주기
국내 최초 다큐멘터리 채널로 시작,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종합 교양채널 Q채널! Q채널이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프로그램과 BBC, NHK, CNN 등 해외 메이저 방송사들의 프로그램을 통해 살아있는 세계, 생생한 리얼리티를 느낄 수 있음./동방의 작은 나라 한국. 오 천년의 긴 역사와 단일 민족으로서의 자부심은 ''음식문화'' 속에 고스란히 녹아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세계 속에 내 놓아도 손색없는 한국만의 멋과 맛, 그리고 그 오천년 역사의 숨결을 만나보자. 조선왕조 오 백년의 역사 속에 뿌리 내려온 유교사상은 한국인의 정신문화를 지배하고 있을 뿐아니라 독특한 제례문화를 이어오게 했다. 수확에 대한 감사를 조상께 올리는 추석의 상차림과 제사는그 대표라 할 수 있다. 윤택한 자연환경 덕에 농경사회로 자리 잡아 온 한국의 주식은 밥이다. 이렇듯 무미(無味)에 가까운 밥이 한국인의 주식으로 자리잡은 데에는 다양한 반찬이 밥과 함께 맛의 조화를 이뤄왔기 때문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한국의 뚜렷한 사계절과 산, 들, 바다 등 다양한 지리적 특색은 우리의 밥상에사시사철 다양한 반찬을 올려놓았다. 그리고 같은 재료로 만든 음식이라 해도 맛이 차이를 낼 수 있는 정성은 한국 음식문화만에 신비스런 요소이다.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 한 그릇과 매콤한 김치, 그리고 얼큰하고 구수한 된장찌개 하나면 한끼 식사가 충분한 한국인의 밥상. 김치와 된장은 음식 속에 시간의 흐름을 담아낸 한국의 대표적 발효식품이다. 먹거리가 부족한 겨울을 나기 위해 담근 김장김치는 겨울의 반 양식으로 오늘날까지 대부분 가정의 연중행사로 자리 잡았다. 깨끗한 물과 맑은 공기, 적당한 일조량 등 자연적 조건과 가장 좋은 재료, 그리고 정성으로 만들어진 된장. 이러한 발효식품은 오늘날 의학적 분석을 통해 탁월한 건강식품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또한 김치는 남녀노소 누구라도 가장 즐기는 매운맛의 대표. 매운맛은 한국의 가장 대중적인 간식거리인 떡볶이, 순대볶음에서부터 별미음식인 전주 비빔밥까지 한국인의 음식 속에 폭넓게 자리잡고 있다. 한국전통의 멋과 맛이 살아있는 궁중음식과 사찰음식. 두 음식은 재료와 맛, 음식에 대한 철학까지도 다르지만 전통음식의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한국 팔도의 멋과 맛, 그리고 시식의 법도와 옛 상류 사회의 여유로운 풍류사상까지 엿볼 수 있는 궁중음식은 오늘날까지 전해져 일반인들까지 즐기고 있다. 또한 불교가 한반도에 토착화되면서 점차 자리매김한 사찰음식은 한국 고유의 토속 음식과 섞이며 발전되었다. 이제 사찰음식은 고즈넉한 산사를 벗어나 서울의 복잡한 도심에서 자연의 맛을 일반인들에게 자랑하고 있다. 50여 가지 반찬이 ''상다리가 휘어질 정도''로 한 상에 차려지는 전라도 지역의 한정식. 산과 바다, 들의 다양한 자연환경의 만남으로 한반도 중 가장 풍성한 음식재료. 그리고 같은 재료를 사용해도 천차만별의 맛을 낼 수 있는 양념. 재료와 양념이라는 이 두 가지 만남은 가장 다양한 한국의 맛 속에 삶의 멋을 담아내고 있다. 무한한 생명력이 살아 있는 아침의 나라, 한국... 수도 서울에서 맛보는 흥미로운 맛의 세계... 그리고, 각 지방의 음식문화 속에 담긴 자부심... 정성으로 가득찬 한국 맛의 멋을 느껴보자/
이용대상
전체관람가
시스템사항
DVD전용 플레이어 ; 오디오, Dolby Digital 2.0 Stereo ; 화면, 1.33:1 스크린 ; 지역코드, NTSC ; 디스크, Single Layer.
청구기호
641.595 2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