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3500cgm a2200457 c 4500 | ||
001 | 0092293705▲ | ||
005 | 20230516111938▲ | ||
007 | vd cvaizs▲ | ||
008 | 140320q2012 ulk294 cvlkor ▲ | ||
035 | ▼a(KERIS)BIB000013177285▲ | ||
040 | ▼a241027▼c241027▼d211009▲ | ||
082 | 0 | 4 | ▼a330.122▼221▲ |
090 | ▼a330.122▼b7▲ | ||
110 | ▼a한국교육방송공사▲ | ||
245 | 1 | 0 | ▼a자본주의▼h[비디오녹화자료] =▼xHow capitalism works /▼dEBS 기획▲ |
260 | ▼a서울 :▼bEBS 미디어센터 [공급],▼c[2012]▲ | ||
300 | ▼a비디오디스크 5매 (294분) :▼b유성, 천연색 ;▼c12 cm▲ | ||
440 | 0 | 0 | ▼aEBS 시대탐구 대기획▲ |
500 | ▼a레이블 표제임▲ | ||
500 | ▼aTV방영일: 1부-2012.9.24, 2부- 2012.9.25, 3부-2012.9.26, 4부-2012.10.1, 5부-2012.10.2▲ | ||
505 | 0 | 0 | ▼nDisc 1.▼t돈은 빚이다 (금융자본주의)▼g(61분) -- ▼nDisc 2.▼t소비는 감정이다 (소비자본주의)▼g(57분) -- ▼nDisc 3.▼t금융지능은 있는가? (금융 교육의 시대)▼g(59분) -- ▼nDisc 4.▼t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아담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g(56분) -- ▼nDisc 5.▼t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케인스 vs 하이에크 그리고 복지 자본주의)▼g(61분)▲ |
508 | ▼a제작진: 연출, 정지은 ; 글/구성, 고희정 ; 촬영, 정재호, 박은상 ; 특수편집, 한명진, 김호식 ; 음악, 최형원▲ | ||
511 | 8 | ▼a내레이션: 황인용, 김상현▲ | |
520 | ▼aDisc 1 : 현대는 금융 자본주의 세상, 즉 돈이 지배하는 세상이다. 그렇기에 돈 없이는 한순간도 살 수 없어 우리는 끊임없이 돈을 좇으며 살고 있다. 돈이 최고의 가치를 갖는 금융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은 어떻게 돌고 도는 것일까? 우리는 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얼마큼 알아야 할까? 은행의 탄생 배경에서부터 은행이 나에게 숨기려 했던 모든 진실을 파헤치고, 금융권력과 정치권력의 결합을 미국이라는 돋보기에 비추어 추적해 본다. 그리고 갚아도, 갚아도 없어지지 않는 빚의 비밀과 우리가 금융의 덫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는 현실을 낱낱이 해부해본다. 또한, 세계 금융위기가 어떻게 사람들을 하루아침에 패배자로 마들 수 있는지 그 놀라운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보고, 위기를 극복하고 살아남아 자본주의 세상의 승리자가 되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 ||
520 | ▼aDisc 2 : ▼a현대 사회에서 소비는 미덕일까? 우리는 왜 소비를 멈출 수 없을까? 브랜드는 어떻게 우리를 유혹할까? 무의식으로 사고, 의식으로 합리화하는 행동인 소비. 넘치도록 쏟아지는 상품과 24시간 시도때도없이 우리를 조종하는 마케팅의 공격에 너무 쉽게 노출된 우리는 끊임없이 소비하고 또 소비한다. 우리 마음을 속속들이 파헤치는 감정 자본주의 공격에 나약해질 수밖에 없는 우리는 과연 어떤 소비를 하고 있을까? 도대체 우리 안의 어떤 감정들이 우리를 자극해 자꾸 소비하게 되는 것인지 그 감정들에 대해 심층 분석해보고, 나는 알맞은 지출을 하는 것인지 소비 유형 체크로 확인해본다. 또한, 나쁜지 알면서도 자꾸 과소비하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과 어떤 소비가 행복한 소비인지 알아보고 그 방법을 모색해본다▲ | ||
520 | ▼aDisc 3 : 우리는 모두 부자가 되고 싶어한다. 하지만 아무나 부자가 될 수는 없다. 부자들은 특별히 돈 버는 머리가 있는 것일까? 금융 자본주의 세상에서 부자로 살려면 도대체 무엇을 알아야 할까?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의 차이점과 은행원도 모르는 수많은 금융상품의 비밀에 대해 살펴보고 펀드의 수익률, 수수료, 회전율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파헤친다. 또한, 보험과 파생상품의 비밀에 대해 알아보며 넘쳐나는 금융상품들 속에서 썩은 사과를 골라내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돈 잘 버는 사람들의 특별한 재주인 금융지능 즉, 금융에 대한 이해력을 말하는 FQ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금융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안한다. 소중한 내 재산을 지키고 어떻게 하면 돈을 벌 수 있는지 그 방법을 모색해본다▲ | ||
520 | ▼aDisc 4 : ▼a자본주의의 역사는 끊임없이 번영과 위기의 파도를 넘어왔다. 그리고 위기의 순간에 나타나 새로운 아이디어로 세상을 구하고자 했던 사람들이 있다. 아담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 그런데 과연 그들이 주장한 자본주의의 본질과 모순에 대해 우리는 제대로 알고 있었던 것일까? 그들이 진정 꿈꾸었던 세상은 지금의 세상일까? 경제학의 창시자이자 자본주의의 아버지라 불리며 국부론을 쓴 아담 스미스와 유물론적 변증법으로 세상을 해석하고 자본주의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자본론을 쓴 경제학자 칼 마르크스. 이 두 경제학자의 업적과 삶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그들이 쓴 책을 통해 그들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파헤친다. 그리고 그들의 위대한 사상을 다양한 시각으로 재조명하고 현재의 금융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모색해본다▲ | ||
520 | ▼aDisc 5 : 탐욕, 실업, 빈부격차, 불평등으로 가득한 세상. 우리가 살고 있는 금융 자본주의는 그리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에 정부냐, 시장이냐, 100년에 걸친 논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정부의 계획적인 정책으로 가계와 기업을 움직여야 한다는 케인스의 거시경제학과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장의 조정 능력을 신뢰해야 한다는 하이에크의 신자유주의! 되풀이되는 경제 위기를 해결할 경제 원리는 과연 무엇일까? 세계적인 석학들도 의견이 분분한 이 논쟁을 통해 그 핵심이 무엇인지 짚어보고, 지금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위기를 이겨낼 새로운 자본주의의 이론은 무엇이 되어야 할지 생각해본다. 또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우리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알아보는 한편, 대한민국의 미래를 예측하며 복지 자본주의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복지 자본주의로 가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 ||
521 | ▼a[전체관람가]▲ | ||
538 | ▼aDVD ; 오디오, Dolby Digital 2.0 Stereo ; 화면비율, 16:9 ; 지역코드, ALL NTSC ; 디스크, Single Layer▲ | ||
546 | ▼a언어: 한국어▲ | ||
700 | 1 | ▼a정지은▲ | |
700 | 1 | ▼a황인용▲ | |
700 | 1 | ▼a김상현▲ | |
710 | ▼a한국교육방송공사.▼b미디어센터▲ | ||
910 | 0 | ▼aEBS▲ | |
910 | 0 | ▼a이비에스▲ | |
910 | 0 | ▼aEBS미디어센터▲ | |
910 | 0 | ▼a이비에스미디어센터▲ | |
949 | ▼a이비에스 시대탐구 대기획▲ | ||
999 | ▼a이은해▼c이은해▲ |

자본주의[비디오녹화자료]
자료유형
국내비디오
서명/책임사항
자본주의 [비디오녹화자료] = How capitalism works / EBS 기획
발행사항
서울 : EBS 미디어센터 [공급] , [2012]
형태사항
비디오디스크 5매 (294분) : 유성, 천연색 ; 12 cm
총서사항
일반주기
레이블 표제임
TV방영일: 1부-2012.9.24, 2부- 2012.9.25, 3부-2012.9.26, 4부-2012.10.1, 5부-2012.10.2
TV방영일: 1부-2012.9.24, 2부- 2012.9.25, 3부-2012.9.26, 4부-2012.10.1, 5부-2012.10.2
내용주기
Disc 1. 돈은 빚이다 (금융자본주의) (61분) -- Disc 2. 소비는 감정이다 (소비자본주의) (57분) -- Disc 3. 금융지능은 있는가? (금융 교육의 시대) (59분) -- Disc 4.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아담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 (56분) -- Disc 5.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케인스 vs 하이에크 그리고 복지 자본주의) (61분)
제작진주기
제작진: 연출, 정지은 ; 글/구성, 고희정 ; 촬영, 정재호, 박은상 ; 특수편집, 한명진, 김호식 ; 음악, 최형원
연주자와 배역진
내레이션: 황인용, 김상현
요약주기
Disc 1 : 현대는 금융 자본주의 세상, 즉 돈이 지배하는 세상이다. 그렇기에 돈 없이는 한순간도 살 수 없어 우리는 끊임없이 돈을 좇으며 살고 있다. 돈이 최고의 가치를 갖는 금융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은 어떻게 돌고 도는 것일까? 우리는 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얼마큼 알아야 할까? 은행의 탄생 배경에서부터 은행이 나에게 숨기려 했던 모든 진실을 파헤치고, 금융권력과 정치권력의 결합을 미국이라는 돋보기에 비추어 추적해 본다. 그리고 갚아도, 갚아도 없어지지 않는 빚의 비밀과 우리가 금융의 덫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는 현실을 낱낱이 해부해본다. 또한, 세계 금융위기가 어떻게 사람들을 하루아침에 패배자로 마들 수 있는지 그 놀라운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보고, 위기를 극복하고 살아남아 자본주의 세상의 승리자가 되는 방법을 모색해본다/Disc 2
: 현대 사회에서 소비는 미덕일까? 우리는 왜 소비를 멈출 수 없을까? 브랜드는 어떻게 우리를 유혹할까? 무의식으로 사고, 의식으로 합리화하는 행동인 소비. 넘치도록 쏟아지는 상품과 24시간 시도때도없이 우리를 조종하는 마케팅의 공격에 너무 쉽게 노출된 우리는 끊임없이 소비하고 또 소비한다. 우리 마음을 속속들이 파헤치는 감정 자본주의 공격에 나약해질 수밖에 없는 우리는 과연 어떤 소비를 하고 있을까? 도대체 우리 안의 어떤 감정들이 우리를 자극해 자꾸 소비하게 되는 것인지 그 감정들에 대해 심층 분석해보고, 나는 알맞은 지출을 하는 것인지 소비 유형 체크로 확인해본다. 또한, 나쁜지 알면서도 자꾸 과소비하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과 어떤 소비가 행복한 소비인지 알아보고 그 방법을 모색해본다/Disc 3 : 우리는 모두 부자가 되고 싶어한다. 하지만 아무나 부자가 될 수는 없다. 부자들은 특별히 돈 버는 머리가 있는 것일까? 금융 자본주의 세상에서 부자로 살려면 도대체 무엇을 알아야 할까?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의 차이점과 은행원도 모르는 수많은 금융상품의 비밀에 대해 살펴보고 펀드의 수익률, 수수료, 회전율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파헤친다. 또한, 보험과 파생상품의 비밀에 대해 알아보며 넘쳐나는 금융상품들 속에서 썩은 사과를 골라내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돈 잘 버는 사람들의 특별한 재주인 금융지능 즉, 금융에 대한 이해력을 말하는 FQ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금융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안한다. 소중한 내 재산을 지키고 어떻게 하면 돈을 벌 수 있는지 그 방법을 모색해본다/Disc 4
: 자본주의의 역사는 끊임없이 번영과 위기의 파도를 넘어왔다. 그리고 위기의 순간에 나타나 새로운 아이디어로 세상을 구하고자 했던 사람들이 있다. 아담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 그런데 과연 그들이 주장한 자본주의의 본질과 모순에 대해 우리는 제대로 알고 있었던 것일까? 그들이 진정 꿈꾸었던 세상은 지금의 세상일까? 경제학의 창시자이자 자본주의의 아버지라 불리며 국부론을 쓴 아담 스미스와 유물론적 변증법으로 세상을 해석하고 자본주의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자본론을 쓴 경제학자 칼 마르크스. 이 두 경제학자의 업적과 삶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그들이 쓴 책을 통해 그들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파헤친다. 그리고 그들의 위대한 사상을 다양한 시각으로 재조명하고 현재의 금융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모색해본다/Disc 5 : 탐욕, 실업, 빈부격차, 불평등으로 가득한 세상. 우리가 살고 있는 금융 자본주의는 그리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에 정부냐, 시장이냐, 100년에 걸친 논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정부의 계획적인 정책으로 가계와 기업을 움직여야 한다는 케인스의 거시경제학과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장의 조정 능력을 신뢰해야 한다는 하이에크의 신자유주의! 되풀이되는 경제 위기를 해결할 경제 원리는 과연 무엇일까? 세계적인 석학들도 의견이 분분한 이 논쟁을 통해 그 핵심이 무엇인지 짚어보고, 지금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위기를 이겨낼 새로운 자본주의의 이론은 무엇이 되어야 할지 생각해본다. 또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우리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알아보는 한편, 대한민국의 미래를 예측하며 복지 자본주의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복지 자본주의로 가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 현대 사회에서 소비는 미덕일까? 우리는 왜 소비를 멈출 수 없을까? 브랜드는 어떻게 우리를 유혹할까? 무의식으로 사고, 의식으로 합리화하는 행동인 소비. 넘치도록 쏟아지는 상품과 24시간 시도때도없이 우리를 조종하는 마케팅의 공격에 너무 쉽게 노출된 우리는 끊임없이 소비하고 또 소비한다. 우리 마음을 속속들이 파헤치는 감정 자본주의 공격에 나약해질 수밖에 없는 우리는 과연 어떤 소비를 하고 있을까? 도대체 우리 안의 어떤 감정들이 우리를 자극해 자꾸 소비하게 되는 것인지 그 감정들에 대해 심층 분석해보고, 나는 알맞은 지출을 하는 것인지 소비 유형 체크로 확인해본다. 또한, 나쁜지 알면서도 자꾸 과소비하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과 어떤 소비가 행복한 소비인지 알아보고 그 방법을 모색해본다/Disc 3 : 우리는 모두 부자가 되고 싶어한다. 하지만 아무나 부자가 될 수는 없다. 부자들은 특별히 돈 버는 머리가 있는 것일까? 금융 자본주의 세상에서 부자로 살려면 도대체 무엇을 알아야 할까?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의 차이점과 은행원도 모르는 수많은 금융상품의 비밀에 대해 살펴보고 펀드의 수익률, 수수료, 회전율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파헤친다. 또한, 보험과 파생상품의 비밀에 대해 알아보며 넘쳐나는 금융상품들 속에서 썩은 사과를 골라내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돈 잘 버는 사람들의 특별한 재주인 금융지능 즉, 금융에 대한 이해력을 말하는 FQ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금융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안한다. 소중한 내 재산을 지키고 어떻게 하면 돈을 벌 수 있는지 그 방법을 모색해본다/Disc 4
: 자본주의의 역사는 끊임없이 번영과 위기의 파도를 넘어왔다. 그리고 위기의 순간에 나타나 새로운 아이디어로 세상을 구하고자 했던 사람들이 있다. 아담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 그런데 과연 그들이 주장한 자본주의의 본질과 모순에 대해 우리는 제대로 알고 있었던 것일까? 그들이 진정 꿈꾸었던 세상은 지금의 세상일까? 경제학의 창시자이자 자본주의의 아버지라 불리며 국부론을 쓴 아담 스미스와 유물론적 변증법으로 세상을 해석하고 자본주의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자본론을 쓴 경제학자 칼 마르크스. 이 두 경제학자의 업적과 삶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그들이 쓴 책을 통해 그들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파헤친다. 그리고 그들의 위대한 사상을 다양한 시각으로 재조명하고 현재의 금융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모색해본다/Disc 5 : 탐욕, 실업, 빈부격차, 불평등으로 가득한 세상. 우리가 살고 있는 금융 자본주의는 그리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에 정부냐, 시장이냐, 100년에 걸친 논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정부의 계획적인 정책으로 가계와 기업을 움직여야 한다는 케인스의 거시경제학과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장의 조정 능력을 신뢰해야 한다는 하이에크의 신자유주의! 되풀이되는 경제 위기를 해결할 경제 원리는 과연 무엇일까? 세계적인 석학들도 의견이 분분한 이 논쟁을 통해 그 핵심이 무엇인지 짚어보고, 지금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위기를 이겨낼 새로운 자본주의의 이론은 무엇이 되어야 할지 생각해본다. 또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우리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알아보는 한편, 대한민국의 미래를 예측하며 복지 자본주의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복지 자본주의로 가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이용대상
[전체관람가]
시스템사항
DVD ; 오디오, Dolby Digital 2.0 Stereo ; 화면비율, 16:9 ; 지역코드, ALL NTSC ; 디스크, Single Layer
언어주기
언어: 한국어
청구기호
330.122 7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